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형식의미론의 국어 시간요소 의미 분석 검토

        양정석 배달말학회 2015 배달말 Vol.56 No.-

        It was argued in Yang(2008a) that, contrary to the previous mainstream view on Korean language as a tensed language, it is a tenseless language, and that the so-called ‘tense morphemes’ are in fact aspect and mood morphemes. Based on the morphosyntactic facts discussed in Yang(2008a), and on the temporal interpretations of Korean complex sentences in Yang(2008b), recent approaches to the description of the temporal precedence relations in Korean are critically examined, with special attention to ‘-ess-’, which is a key temporal element to decide between tensed or tenseless nature about Korean language. Approaches depending on the ambiguity of the meaning of ‘-ess-’ eventually fall prey to the complementarity argument, i.e., two supposedly distinctive morphemes, ‘-ess-1’ and ‘-ess-2’ are in complementary distribution in Korean morphosyntactic structures, and they have a certain common meaning, so they are the one and the same morpheme. Approaches depending on the assumption that ‘-ess-’ is just a tense marker maintain the semantic representation containing precedence relation, but they can not ultimately capture the perfect meaning which ‘-ess-’ has as its essential component. In this paper, I propose a temporal interpretation system based on aspect morphemes which contain temporal precedence relations in their formal semantic descriptions. 양정석(2002, 2004, 2008a, 2012)에서 논한 국어의 형태통사론적 사실을 기본 인식으로 시간요소들의 의미 기술을 시도한 형식의미론적 연구들을 검토해 보았다. ‘-었-’의 범주적 성격에 대한 판단이 시제 체계의 유무에 대한 판단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고 보고, 이를 단일한 시제 요소로 간주하는 견해와 중의적 요소로 간주하는 견해로 나누어 그 형식의미론적 의미 규정의 실례들을 비판하였다. ‘-었-’의 중의성에 기반한 이론들은 궁극적으로 공통된 의미를 가지는 두 요소가 상보적으로 분포할 때 결국 하나의 단위로 증명된다는, 상보성 원리에 의한 해석과 관련한 문제점을 피할 수 없다. 단일한 ‘-었-’에 기반한 시제 가설의 견해들은 이것이 시간적 선후관계 의미와 함께 완결상의 의미를 가진다는 점을 설명할 수 없다. ‘-었-’의 완결상 의미는 중국어를 비롯한 무시제 언어들에서 그러한 것처럼 시간적 선후관계 의미를 포함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무시제 언어의 완결상 의미 기술을 ‘-었-’ 의미 기술에 원용하고, 이 외의 시간적 선후관계 해석을 도출하는 구문들, ‘-었었-’ 문장, 중화상 ‘∅’의 문장, 명제태도 동사 구문, 시간 부가어 구문의 형식의미론적 의미 기술 방법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낙동강 유역의 기후변화를 고려한 경향성 분석과 Delphi 기법을 이용한 가뭄 취약성 지수 개발

        양정석,김일환,Yang, Jeong-Seok,Kim, Il-Hwan 대한토목학회 2013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3 No.6

        기후변화로 인한 이상기후 현상 중 가뭄에 대한 취약성 지수를 자료의 경향성 분석과 Delphi 기법을 이용하여 개발하였다. 낙동강 유역 자료를 이용하여 수문학적, 강우 사상적, 인문학적 자료를 바탕으로 총 12개의 지표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지표를 Mann-Kendall trend test, Hotelling-Pabst trend test, Sen's trend test 등 3가지 경향성 검정을 통해 표준화하고, 델파이 기법을 통해 국내의 수자원 전문가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각 지표에 가중치를 부여하였다. 최종적으로 산출된 가뭄에 대한 취약성 지수에서 낙동강 유역 중에서 합천 주변 지역이 가뭄에 가장 취약하다는 결과가 나왔다. 이 취약성 지수 개발을 통해 우리나라 전 지역에 적용하게 되면 향후 수자원 정책 수립에 있어서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 사료된다. A vulnerability index was developed for drought by using trend analysis and Delphi method. Twelve indicators were selected based on three groups, i.e., hydrological, meteorological, and humanistic groups. Data were collected from Nakdong river watershed. Three trend tests, i.e., Mann-Kendall, Hotelling-Pabst, and Sen's trend tests, were performed for standardizing the indicators and Delphi method was used to estimate the weights for individual indicators. The drought vulnerability index was calculated for seven regions in the Nakdong watershed and Hapcheon turned out to be the most vulnerable region among the study regions. The drought vulnerability index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other regions in Korea for establishing national water resources management plan.

      • KCI등재

        Delphi 기법을 이용한 해수담수화 플랜트 유망 국가 분석

        양정석,김일환,Yang, Jeong-Seok,Kim, Il-Hwan 대한토목학회 2013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3 No.6

        해수담수화 플랜트 시장 진출 유망 국가 분석을 위한 지수를 개발하였고 이를 위해서 관련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자료의 특성상 국가별로 편차가 커 스케일 재조정 방법을 통해 각 지표별로 표준화를 실시하였고, 해수담수화 플랜트에 대한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Delphi 기법을 통한 설문 조사를 통해 가중치를 결정하였다. 총 23개의 지표를 3가지 요소로 나누어 각각의 항목별로 가중치를 결정하였으며, 사우디아라비아, UAE, 쿠웨이트, 이란, 카타르, 중국, 싱가포르, 인도, 알제리, 터키, 미국 등 11개 국가, 즉 해수담수화 플랜트 해외 시장 유망 국가들에 대해서 지수를 산정하였다. 산정된 지수를 비교하였을 때 미국이 0.537, 중국이 0.490, 사우디아라비아가 0.329로 나타났다. 현지 사정을 고려하였을 때는 미국과 중국은 해외 시장 진출을 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을 수 있지만 그 외에 국가에 대해서는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전략적으로 시장 진출을 도모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An index was developed for analyzing the promising countries for seawater desalination plant and related data set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Each indicators was standardized by scale readjustment method and Delphi method was used to calculate the weights for indicators from questionnaire survey by experts in seawater desalination plant field. Twenty three indicators were selected and they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economic, social, and environmental indicator groups. Eleven countries (Saudi Arabia, UAE, Kuwait, Iran, Qatar, China, Singapore, India, Algeria, Turkey, United States) were selected considering present data availability and index for each country was calculated. The results show United States and China took the first (0.537) and second (0.490) place for the most promising country for seawater desalination plant. However it will not be easy to play a significant role in the markets because of present seawater desalination technology level and national policy, etc. Saudi Arabia took the third (0.329) place and other countries which has more than 0.2 index value can be considered as a promising countries for seawater desalination plant. We can establish a strategy to export our seawater desalination technology and plant using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developed index can be applied to other countries, which were not included in this study, when their data is available.

      • KCI등재

        개념의미론과 합성성

        양정석 한국어의미학회 2013 한국어 의미학 Vol.40 No.-

        In this paper I introduce the model-theoretic reconstruction of Jackendoff’s(1990) Conceptual Semantics by Zwarts & Verkuyl(1994), and show that, combining with some formal semantic devices like λ-expressions and functional application rule, it can be successfully implemented in the description of Korean locomotive verb constructions and manner-of-motion verb constructions. Three kinds of adjunct correspondence rules are formulated along with the argument linking principle, and it is elucidated how those rules and the principle are interconnected with syntactic procedur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