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인공간 시스템 적용을 위한 돼지 간세포의 대량 분리 및 배양

        정유정,이혁준,고영택,김상범,김성훈,최석호,이남준,장성환,양은란,서경석,이윤신,이건욱 대한간학회 2002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대한간학회지) Vol.8 No.3

        목적: 전격성 간부전 환자의 유일한 치료법인 간 이식술은 공여간의 부족으로 제한된 환자에게서만 시술이 가능하다. 이러한 이유로 여러 가지 간기능 보조 장치가 개발 중인데 이중 체외 순환형 인공간 시스템 연구가 가장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인공간 시스템의 연구에 있어서는 간 고유의 기능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는 간세포의 분리, 배양법이 집중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진은 돼지에서 간세포 분리 및 배양 방법을 확립하고 단층 배양과 구 상체 배양의 기능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10kg내외의 암퇘지에서 전간을 적출한 후 2단계 효 소관류 분리 방법에 의해서 간세포를 분리한 후 생존율을 검사하고 단층배양과 구상체 배양을 시도하였다. 암모니아 농도와 요소 농도를 측정해서 배양된 간세포의 기능을 규명하였다. 결과: 총 23마리 돼지 실험 결과 86.84± 8.04%의 생존율과 7.82± 5.40×109개의 세포 수를 얻었고, 단층 배양과 구상 체 배양 결과 암모니아 제거율과 요소 생성능에 있어서 구상체 배양이 단층 배양에 비해 우수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대량의 돼지 간세포 분리법을 확립하였고, 배양한 간세포는 기능상으로 안정된 세포로 인공간에 적용 가능하였다. 하지만 이상적인 인공간의 세포 충진 형태인 구 상체 간세포를 적용하기 위한 더욱 다양한 시도가 요구되리라 사료된다. Background/Aims: Acute hepatic failure is a serious problem. Its mortality reaches up to 80%. Only liver transplantation has been accepted as a definite treatment for patients with hepatic failure but shortage of donor organs is the main obstacle of this approach. A possible solution to this problem is a bioartificial liver system, perfusion of patients blood to isolated hepatocyte. In this study, we performed the isolation and culture of pig hepatocyte in large scale for the application of bioartificial liver system. Methods: Hepatocyte isolation was performed by two-step collagenase method via portal vein perfusion in 10kg female pigs. After that, we compared the functional differences of the spheroid culture to the monolayer culture of hepatocyte. The viability and the function of hepatocyte were assessed using trypan-blue exclusion test and the measurement of the rate of ureagenesis and ammonia removal. Results: The average viability and yield of hepatocyte were 86.8±8.0 % and 7.8±5.4×109, respectively. The spheroid culture was superior to the monolayer culture in functional aspect of hepatocyte, and their differences, especially for ammonia removal, were more apparent in parallel with culture time. Conclusions: For hepatocyte isolation, we obtained sufficient viability and yield of hepatocyte for clinical usage of bioartificial liver system. The function of hepatocyte seems to be better in the spheroid culture than in the monolayer culture. Further studies are needed for application of bioartificial liver system in clinical setting. (Korean J Hepatol 2002;8:249-255)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