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발해 동모산 비정에 대한 중국 학계의 최근 논의

        양시은 고구려발해학회 2022 고구려발해연구 Vol.72 No.-

        This paper examined various views on the location of Dongmosan, which Daejoyeong founded Balhae in 698, and Mopancun Mountain Fortress, which emerged as Dongmosan through recent excavations. There are not many clues related to Dongmosan, but what is clear is that it is acidic and that it will be located in the area where the early remains and relics of Balhae are identified. In this respect, the Yukjeongsan burials in Dunhua, where Princess Jeonghye's tomb is located, and the Yongdusan burials in Helong, where Princess Jeonghyo's tomb is located, can be important clues regarding the location of Dongmosan. However, unlike Princess Jeonghyo's tomb, which is a pagoda tomb, Princess Jeonghye's tomb is a horizontal stone chamber according to the tradition of Koguryo tombs, and the traditional Koguryo style’s roof-end tile, is likely to be contrasted compared to Yongdusan burials. However, despite the high possibility of the Chengshanzi Mountain Fortress, which has been designated as Balhae Dongmosan since early on, further discussion is impossible because excavation has not yet been conducted. Recently, in China, Tumen Mopancun Mountain Fortress, which was called Chengzishan Mountain Fortress in Yanji, has been connected to Dongmosan. It is believed that it may be Dongmosan because it was found to have been used from the end of Koguryo to the beginning of Balhae, which has been excavated annually since 2013. However, even if Mopancun Mountain Fortress was used in the early Balhae, additional data are needed to connect to Dongmosan, and the problem of the distance from Sanggyeong to the country mentioned in the literature must also be solved. Balhae, which succeeded Koguryo, possessed national power and cultural capabilities enough to be called Haedongseongguk by Tang. However, due to the absence of its own historical books and the limitations of access to archaeological materials, related research is still not easy. Continuous concern and research are needed in the future. 본고는 대조영이 698년 발해를 건국하였다는 동모산의 위치와 관련한 여러 견해와 최근 발굴조사를 통해동모산으로 부각된 투먼 마반촌산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동모산과 관련한 단서는 그리 많지 않지만, 분명한 것은 산성이라는 점과 발해 초기 유적과 유물이 확인되는 지역에 소재할 것이라는 점이다. 이러한 점에서 발해 3대 문왕의 둘째 딸이었던 정혜공주(貞惠公主) 무덤이있는 둔화 육정산고분군 일대와 발해 3대 문왕의 비인 효의황후(孝懿皇后) 무덤과 넷째 딸인 정효공주(貞孝公 主) 무덤 그리고 발해 9대 간왕(簡王)의 비인 순목황후(順穆皇后)의 무덤 등이 있는 허룽 용두산 고분군(龍頭山 古墳群) 일대는 동모산의 위치 비정과 관련하여 중요한 단서가 될 수 있다. 다만 전실탑묘인 정효공주의 무덤과는 달리 정혜공주 무덤은 고구려 무덤의 전통을 따른 횡혈식석실분이고, 육정산 고분군에서는 유정문 와당을 비롯하여 고구려 전통 양식이 확인된다는 점에서 용두산 고분군에 비해 조영 시기가 이를 가능성이 있다. 다만 일찍부터 발해 동모산으로 비정된 둔화의 성산자산성은 그 가능성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발굴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은 관계로 더 이상의 논의는 불가한 상황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투먼 마반촌산성(옌지 성자산산성)을 발해 동모산과 연결시키고 있다. 2013년부터 연차적으로 발굴조사 한 마반촌산성이 고구려말기에서 발해 초기에 사용된 것으로 밝혀졌기 때문에 동모산일 가능성이 있다고 본 것이다. 그렇지만 마반촌산성이 발해 초기에 사용되었다고 하더라도 동모산과 연결시키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자료가 필요하고, 문헌에 언급된 상경에서 구국까지의 거리 문제도 해결해야 한다. 고구려를 계승한 발해는 당으로부터 해동성국(海東盛國)으로 불릴 만큼 국력과 문화적인 역량을 소유하고 있었다. 그렇지만 자체 역사서의 부재와 고고 자료 접근의 한계로 인해 관련 연구는 여전히 쉽지 않은 상황이다. 앞으로도 지속적인 관심과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몽골지역 흉노 토기의 제작기법 연구

        양시은 호서고고학회 2017 호서고고학 Vol.0 No.38

        The Xiongnu pottery is the most frequently artifact in the Xiongnu relics, but the preceding researches have mainly focused on the structure, character, and chronology of the Xiongnu tombs.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anufacturing techniques and the research issues of the Xiongnu pottery. The Xiongnu pottery can be classified into many types, such as deep bowl, jar, large jar, bottle, lamp and so on. Deep bowl and jar are most commonly found in tombs, and large jar is found only in large tombs. The location of pottery in the tomb is mainly the northern space. The Xiongnu pottery was formed by coil and paddle method on the turn table. The shape of the pottery was adjusted with a wheel(turn table), then the surface was trimmed by bone and wooden tools, and finally the pattern was decorated. In the deep bowl, the surface of pottery is looked the mark of fire and attached soot, and some animal bones for ceremonial food is contained in tombs. So it tis indicate that used as a cooker. Jar, which is made with fine clay, is characterized by a shape in which the shoulder part is emphasized. And a jar is smoothly polished and often has single wave line between straight lines on its shoulder. A large jar, which is a large pottery above the height of 45cm, is the same manufacturing techniques as a jar. That pottery has a small hole just above the bottom. The fact that the basic morphology and manufacturing techniques are the same spread all over Mongolia shows that Xiongnu pottery was produced by professional manufactures who shared the same tradition. However, even in the same Xiongnu tomb group, there is no standardized pottery that conforms to the deformity of each type. Therefore, it is estimated that the pottery workshop of Xiongnu was not a large scale system for mass production. And dark polished marks(暗文) are especially characteristic of Xiongnu pottery. That decoration technique of the Xiongnu is found also in the pottery of various northern ethnic groups such as Xianbei(including Samyun), Koguryo, Balhae, Nothern Wei, Kitan, and so on. 흉노 토기는 유적에서 가장 빈번하게 출토되지만, 그간의 연구는 주로 무덤의 구조와 성격 및 편년이 중심이었다. 본 연구는 몽골 지역에서 출토된 완형의 흉노 토기를 대상으로 기종별 제작기법을 검토하고 논의가 필요한 몇가지 문제를 검토하여 흉노 토기에 대한 종합적인 연구의 기초 자료를 확보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흉노 토기는 심발형 토기, 호, 옹, 동이, 시루, 두형 토기, 병, 대부호, 등잔 등으로구분할 수 있다. 무덤에서는 심발형 토기와 호가 가장 많이 확인되며, 옹은 대형 무덤에서만 발견된다. 무덤 내의 북쪽 부장 공간이나 동쪽 벽에서 주로 확인되는데, 모두 훼기 풍습이 적용되었다. 흉노 토기는 기본적으로 회전대 위에서 테쌓기와 타날을 기본으로 성형하고, 이후 회전대를 이용하여 기형을 조정한 후 정면하며 마지막으로 견부 등에 문양을 장식하는 순서로 제작된다. 조질 태토의 심발형 토기는 불을 직접적으로 맞아 토기 표면이 박락되거나 그을음이 부착된 경우가 많고, 일부에는 제사를위한 음식물(동물뼈)이 담겨져 있어서 일종의 동복과 같은 취사용 용기로 활용되었으며 그 연장선상에서 무덤에 부장된 것으로 판단된다. 호는 니질계 태토로 제작되며, 동체의 상부가 부풀어 견부가 강조되는 형태이다. 경부에 파상문 1조만 시문되는 심발형 토기와는 달리 견부에 2조의 횡침선을 두르고 그 사이에 1조의 파상문을 새긴것을 기본으로 하며, 견부와 경부에는 암문으로 장식 효과를 내는 것이 특징이다. 옹은 기고가 45cm 이상의 대형 토기인데, 호의 제작기법과 유사하지만, 동체 하단부에 작은 원형 구멍이 뚫려 있는 것이 특징적이다. 흉노 토기에는 바닥에 회전대의 방형 축흔이 남아있는 경우가 많으며, 일부에서는 제작 집단을 표시하는 인장 부호가 찍혀있다. 몽골 지역에서는 동쪽의 헤를렌강을 따라 5개의 성터와 함께 이들 유적에 토기, 기와, 철을 공급하였던 것으로 추정되는 호스틴 볼락 유적이 발견되어, 흉노의 수공업 생산과 관련한 매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고 있다. 이들 생산 주체에 대해서는 논의가 진행 중이지만, 몽골 전역에 퍼져있는 흉노 토기는 기본적인 기형이나 제작기법이 동일한 바, 공방에서 기본적인 인식은 공유하였던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같은 무덤군 내에서도 규격화된 토기가 보이지 않고 있어서 대량 생산을 위한 대규모 공방시스템을 갖추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흉노 토기의 기원과 계통 문제 역시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호나 옹의 경부와 견부에 암문을 이용하여 시문한 기법은 매우 특징적인데, 이러한 암문 장식 기법은선비, 고구려, 북위, 발해, 거란 등 시기를 달리하는 여러 북방 민족의 토기에서도 발견된다.

      • KCI등재

        연변 지역 고구려 유적의 현황과 과제

        양시은 동북아역사재단 2012 東北亞歷史論叢 Vol.- No.3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rchaeologically consider the Koguryo remains in the Yanbian Region. Yanbian was the important area for the construction of fortresses (Chaekseng, 柵城) by Koguryo. But the direct evidence of Koguryo’s methods of control do not exist in historical records. This issue can be solved only by archaeological approaches to Koguryo relics and artifacts. To do this, excavations and archaeological investigations must be conducted. However, in reality it is impossible to do that. Thus I investigated the artifacts held at the Institute of Balhae History at Yanbian University and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Museum to find Koguryo remains. As a result, more than ten Koguryo remains in the Yanbian Region were found. There also exist the remains of eight Koguryo fortresses built in flatland areas and two mountain fortresses. are bigger than other Koguryo’s flatland fortress except for those in the capital area. These patterns of Koguryo fortress in Yanbian differ from other regions in China. To better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Koguryo fortresses in Yanbian, this paper focuses on local governing strategies. Fortress construction presumes a need to reinforce defense on traffic routes and to protect the local residents. 본 연구는 연변지역에 위치한 고구려 유적에 대한 고고학적인 연구 현황을 검토해보고자 하였다. 고구려에서 연변지역은 책성이 설치되는 등 국가발전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음에도 불구하고, 연변지역의 고구려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도 시작단계에 머물러 있다. 연변지역은 발해를 중심으로 고고학적인 조사와 연구가 진행되고 있을 뿐, 고구려와 관련된 조사는 전무한 실정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연변지역 고구려 유적의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기존에 보고된 자료 외에 1930년대 후반 일본인 연구자들에 의해 채집된 연변지역의 고구려 및 발해 유물을 추가 검토하고, 이를 집안이나 평양, 그리고 길림 등지에서 출토된 서울대학교박물관 소장 고구려 유물 및 서고성이나 상경성과 같은 발해 도성에서 출토된 서울대학교박물관 소장 발해 유물과 비교 검토하였다. 채집된 유물자료만을 근거로 판단해본 결과 연변지역에서는 10개의 고구려 성 유적이 분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고분의 경우 수남고분군과 동청고분군이 고구려와 관련된 것으로 보고된 바 있으나, 검토결과 고구려 보다는 발해 시기에 속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하였다. 또한 연변지역에서 채집된 고구려 와당의 경우 전형적인 고구려 양식이 아니라 변형된 것들만 확인되고 있다는 점도 특이하다. 한편, 연변지역의 고구려 성곽은 산성이 아닌 평지성 중심의 분포를 보여주고 있는데, 이 역시 다른 지역들과는 다른 점이다. 도성지역을 제외한다면, 규모도 다른 지역에 비해 상당히 큰 편으로, 이러한 평지성의 분포 양상은 고구려의 지배방식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 KCI등재

        대학 구성원으로서 박물관의 역할과 과제

        양시은 한국대학박물관협회 2014 고문화 Vol.84 No.-

        The University Museum is the important educational support facility in university and the public cultural facility. The task was focused on academic activities such as excavation and research in the past, but nowadays has been focused on cultural activities such as exhibitions and educational programs. But university museum are facing the serious crisis due to the reduction of budget support. S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roles and tasks of the University Museum. To overcome this situat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the university museum itself. It is need to develop a differentiated medium-and long-term development plans for the museum. Second, it is need to strengthen further the artifact collection management capability. The special exhibition of donated artifacts is the one of good plans. Third, we must strengthen the exhibition features more. We can achieve the goal effectively even with a small budget, through the cooperation within the campus institution which have the many good researcher and outstanding outcomes. Fourth, The museum's educational support should be strengthened. And Fifth, We also must keep the collection study and research activities such as excavation. 대학박물관은 대학의 중요 교육지원 시설이자 일반 시민들에게도 공개된 문화 시설이다. 과거에는 발굴조사와 소장품 연구와 같은 학술 활동에 업무가 집중되었으나, 근래에는 특색 있는 전시회나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의 마련 등과 같은 문화 활동에 초점이 맞추어지고 있다. 그렇지만 대학 본부에서의 예산 지원이 점차 축소됨에 따라 대학박물관의 활동 역시 많은 제약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본고에서는 변화하는 시대를 맞아 위기에 처한 대학박물관이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대학 구성원으로서의 역할과 지역의 대표적인 문화 교육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부단한 노력을 기울여야할 것임을 주장하였다. 이를 위해서는 가장 먼저 대학박물관으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할 필요가 있는데, 차별화된 특성화 전략이 담긴 중장기 및 단기 발전계획을 수립해야할 것임을 지적하였다. 다음으로는 박물관의 가장 기본이라고 할 수 있는 유물의 수집 및 관리 능력을 강화해야할 것임을 강조하였다. 특히 기증 유물 특별전 개최 등을 통해 유물 기증자의 대우 및 추가 확보 방안에 대해 언급하였다. 세 번째로는 전시 기능의 강화 부분으로, 교내 여러 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우수한 연구 인력과 연구 성과를 적극 활용하거나, 여러 박물관과의 협력을 통한 공동 전시 내지는 순회전의 개최 등을 통해 작은 예산으로 효과적인 전시가 가능할 수 있음을 주장하였다. 네 번째로는 전공 및 교양 교육과의 연계뿐만 아니라 교양 강좌나 체험 학습 등의 사회 교육 활동을 통해 박물관의 교육 지원 기능을 강화해야할 것임을 언급하였다. 마지막으로는 교내 연구 인력을 활용한 소장품 연구나 학술 발굴조사 등의 연구 활동 또한 꾸준히 유지해야할 것임을 지적하였다.

      • KCI등재

        해남지역 관방유적의 역사적 의미와 활용방안

        양시은 호남고고학회 2020 湖南考古學報 Vol.66 No.-

        서남해안의 모서리에 위치하여 일찍부터 바닷길을 통한 이동과 교류가 활발하였던 해남지역에는 해로를 통제할 수 있는 곳에 다양한 시기의 관방유적이 분포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해남지역 관방유적의 현황과 그 역사적 의미를 살펴보고, 이를 역사교육 및 문화관광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해남지역의 관방유적 중에는 최근 <역사문화권 정비 등에 관한 특별법>의 제정으로 조사에 탄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는 마한시기의 옥녀봉토성과 보존상태가 양호하고 접근성도 편리한 삼국시대의 고다산성에 대해서는 우선적인 발굴조사가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대몽항쟁과 왜구 침입에 대비했던 고려시대 입보성에 대한 체계적인 조사도 요구되는데, 조망이 뛰어난 금강산성과 국가사적인 윤선도유적에 포함된 현산고성이 적합하다. 조선시대의 유적은 왜적에 대한 해안방어시설인 전라 우수영과 수군진성, 봉수 등이 연계하여 분포하고 있으므로, 보존상태가 양호한 이진진성이나 인근의 달마산봉수 등을 조사할 필요가 있다. 해남군에 분포하고 있는 관방유적은 지금까지 제대로 조사된 유적이 많지 않다. 전체적인 현황조사와 함께 중요 유적에 대한 발굴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보존 및 활용방안을 마련한다면 역사 교육 및 관광 자원으로 충분히 활용가능하다. 물론 유적의 역사성과 경관을 고려한 진정성 있는 복원도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한편, 일련의 추진 과정에서 문화유산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가 필수적이며, 여러 관방유적과 함께 삶을 영위해 온 해남군민들의 깊은 관심과 전폭적인 지지가 바탕이 되어야할 것이다.

      • KCI등재

        청주 테크노폴리스유적 사례를 통해 본 매장문화재 조사의 현상진단

        양시은 한국문화유산협회 2017 야외고고학 Vol.0 No.28

        청주 테크노폴리스 산업단지 부지 내 유적은 근래 청주 지역 내에서 행해진 가장 큰 규모의 매장문화재 조사로, 구석기시대부터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여러 중요한 문화유적이 확인되었다. 특히 Ⅶ지구에서는 각종 생산시설을 포함한 원삼국~삼국시대의 대규모 취락유적이 발견됨으로써, 주변의 고분군과 함께 청주의 고대 문화를 밝힐 수 있는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게 되었다. 그러나 발굴조사 성과와는 별개로 청주 테크노폴리스유적은 매장문화재 조사 진행 과정에서 여러 문제점이 노출되었다. 특히 중립을 지켜야할 지방자치단체가 사업행자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는 점은 가장 큰 문제가 아닐 수 없는데, 인・허가권자인 지자체가 문화재의 보호나 보존 보다는 지역경제활성화의 측면을 강조하면서 다양한 문제가 생겨나게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문화재보호법 개정을 비롯한 실질적인 제도 개선이 시급한 부분이라 하겠다. 청주 테크노폴리스유적 내 Ⅶ지구는 충적지 지표조사의 한계점을 분명하게 드러낸 바, 앞으로는 대규모 개발에 앞서 고지형 분석을 의무적으로 시행하여 유적의 존재 가능성을 사전에 검토하고, 표본조사 등을 통해 유적의 존부 여부를 확인하는 등 보다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지표조사 방안이 필요한 현실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대규모 개발에 따른 문화재 훼손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사업 계획 단계부터 문화재 관련 전문가가 참여하여, 부득이하게 기관 연합 발굴조사가 실시되는 상황에서는 현장 조사뿐만 아니라 보고서 작성 과정에서도 각 기관의 소통과 긴밀한 협력이 필수라고 판단된다. 국가 소유인 매장문화재는 공공재라는 점에서, 발굴조사 정보 역시 국민의 알권리를 위해 공개되는 것이 당연하며, 발굴조사 현장 마찬가지인데, 물론 이를 위한 제도 개선이 뒤따라야 한다. 청주 테크노폴리스유적의 사례를 통해 본 우리나라 매장문화재 조사와 관련한 여러 문제는 발굴조사 기관, 문화재청, 지자체, 사업시행자, 학계 등이 함께 소통하면서 앞으로 개선방향을 모색해야 한다. The archaeological investigation of the Cheongju Technopolis site was the largest excavation in Cheongju city recently. Various important cultural sites were identified in their site, from the Paleolithic to the Joseon Dynasty. Especially, large-scale settlement remains including the various production facilities were found from the Proto Three Kingdoms period to the Three Kingdoms period in the district VII. So, it was possible to provide an important clue to reveal the ancient culture of Cheongju. Despite these remarkable excavation records, the problems of Cheongju Technopolis site was exposed during the archaeological investigation. S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problems of the Case of Cheongju Technopolis site in detail and to avoid similar problems in the future. The following problems were identified as a result of the review: the role of the local government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ject, problems in the process of survey and union excavation, Massive development and preservation of cultural properties, open to the public and so on. The above problems should be improved gradually as the excavation research institute, cultural property administration, local governments and academic circles with each oth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