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뇌 과학과 교육학 분야 간 융합연구를 통한 예비교사교육의 뇌 기반 교수-학습 전략 개발

        양수영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학논집 Vol.20 No.3

        This study aimed to suggest the effective teaching-learning strategies for preservice teachers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for the future knowledge-based society. For developing brain-based teaching-learning strategies, interdisciplinary research between brain science and education was conducted. It has been mentioned as the method for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existing studies for brain-based education. Accordingly, a total of six experts who three in each part were selected for interdisciplinary research and conducted delphi method and focus group interview three times for each method. And two external auditors who a professor in each part were selected and the validity of the final brain-based teaching-learning strategies was verified. The results suggested the brain-based teaching-learning strategies including motivating strategy in the introduction step, cognitive strategy and experience strategy in the development step, and compensation strategy in the consolidation step that could be applied in every week of almost subjects. Through this study, the process and methods of interdisciplinary research which following studies of brain-based education have to be considered was presented. And the common teaching-learning strategies which could be applied almost subject of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was presented. So it was expected that brain-based teaching-learning strategies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will be of utility great value for teacher education in the future. 본 연구는 미래 지식기반 사회에 대비한 효과적 교수-학습 전략을 제안하고자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뇌 과학 연구 결과에 기초한 교수-학습 전략을 개발하였다. 뇌 기반 교수-학습 전략을 개발하기 위하여 기존 뇌 기반 교육 연구의 한계점으로 지적되어 온 것을 극복하고자, 그 해결방안으로 언급되어왔던 뇌 과학 분야와 교육학 분야 간의 융합연구를 통해 개발하였다. 융합연구를 위해 뇌 과학 전문가 3인, 예비교사 교육 관련 교육학 전문가 3인을 선정하고, 델파이 조사와 포커스 그룹 면담을 각각 3회씩 실시하였다. 또한 이후 융합연구 결과에 대한 타당성을 최종 검증 받고자 뇌 과학 분야 교수 1인, 교육학 분야 교수 1인에게 외부 감사를 받아 최종 뇌 기반 교수-학습 전략을 개발하였다. 연구 결과, 대부분의 교과목에서 매 차시 공통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수업단계별 뇌 기반 교수-학습 전략을 개발하였는데, 도입단계에서의 동기화전략, 전개단계에서의 인지전략과 경험전략, 마무리단계에서의 보상전략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향후 뇌 기반 교육 연구들이 고려해야 할 융합연구의 절차와 방법을 제시할 수 있었고, 또한 교사양성과정의 대부분 교과목 수업에서 적용 가능한 공통된 교수-학습 전략을 제시함으로써 그 활용가치가 클 것이라고 기대된다.

      • 실생활 관련 수학학습자료의 개발 및 적용

        양수영,김인수 全南大學校 師範大學 科學敎育硏究所 2003 科學敎育硏究誌 Vol.2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development of learning materials of mathematics from real life in order to motivate the students in studying the mathematics text book of the 7th curriculum of the 10th grade. The study is designed using following procedures. First, we analyzes each unit of the 7th curriculum mathematics of grade 10 through textbooks. Second, the types of teaching-learning materials that can give learners more interest and familiarity are suggested with specific examples in the way of historically generated principles, prominent figures, major topics in mathematics history and practicality. And the last, we investigate the effect of teaching-learning materials obtained from real life for motivating the 10th grade students learning mathematics through the textbook of the 7th curriculum.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뇌 기반 과학교육 강좌 수강경험의 교육적 의미와 개선 요구: 뇌 기반 과학교육 수업모형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양수영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4 유아교육학논집 Vol.18 No.2

        본 연구는 유아과학교육 활성화를 위하여 교사교육 연구에 있어서 새로운 접근법인 뇌 기반 교육 이론에 기초한 효과적 과학교육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실시되었다. 1차로 개발된 뇌 기반 과학교육 수업모형을 예비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2012년 2학기 유아과학교육 과목을 통하여 적용하였다. 이후 뇌 기반 과학교육 수강경험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자기보고식 평가가 작성된 저널을 수집하였고, 심층면담 참여를 희망한 4명과 포커스 그룹면담을 실시해 뇌 기반 과학교육 수강경험에 대한 교육적 의미와 요구를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 뇌 기반 과학교육 수강경험을 통해 예비유아교사들은 뇌 기반 과학교육에 대해 과학 및 과학교육에 대한 긍정적 태도 및 인식변화, 사고기술의 변화, 미래 과학교육을 운영하는 교사로서의 역할 다짐을 할 수 있었음을 알 수 있었고. 요구로는 흥미로운 과학탐구 주제 선정, 직접 탐구활동 제공, 탐구활동의 강의 내용과의 연계 및 실제 적용 방안 안내를 원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preliminary study in order to develop the quality brain-based science methods course. A brain-based science methods course developed by this study primarily applied to pre-service teachers during the 2012 second semester. After the semester, every teacher submitted their journal which included their own opinion about experience of the brain-based science methods course. A total of 4 pre-service teachers who wanted to participate in in-depth interviews were interviewed in a group. Through journals and interviews, educational meaning and requirements regarding the brain-based science methods course were analyzed. Findings included the following: pre-service teachers recognized the change of their perception on science education, the change of cognitive skill, and could confirm their role as a teacher to operate science education. Additional, pre-service teachers required the selection of interesting topics, the offer of inquiry activity, the explanation of the link between the inquiry activity and the lecture contents, and the guidance for application in the real site for developing the brain-based science methods course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