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커뮤니케이션 과정으로서의 공연 관람 경험의 탐색 - 예매부터 경험의 공유까지 -

        양소은,고예나,이중식,김은미 한국예술경영학회 2020 예술경영연구 Vol.0 No.56

        This study starts from an experience-oriented perspective that raises the need to examine the individual’s cultural consumption experience with qualitative approach. In particular, this study aims to analyze in-depth the journey of the performance experience by connecting with offline-based social relationships as well as online-based informative and communicative behaviors. For thi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5 teams (30 people) by setting up two people as research units, and self-recorded data using the mobile application were collected. Results showed that social media and online communication play an important role before and after the performance in amplifying the performance experience and the consumer’s taste developments. This study also found that relational aspects of the performance experience by identifying the significance of the partners and the existence of the cultural taste leader. For each result, there was a difference among audience proficiency: enthusiastic, interested, and indifferent audiences.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 that the performance experience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performance itself, but should be understood in a comprehensive manner before and after the performance, and that the consumption of the performance takes place in a social relationship, not in an individual’s own experience only. 본 연구는 문화소비에서 개인의 경험을 질적으로 살필 필요성을 제기하는 경험 중심의 관점에서 출발한다. 특히, 오프라인 기반 사회적 관계 뿐 아니라 온라인 기반의정보 탐색 및 교류 행동을 공연 경험으로 연계시켜 공연 경험의 여정을 심층적으로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명을 연구 단위로 설정하여 15팀(30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특히, 공연 여정을 포착하기 위하여 공연 전과 후 2회의 인터뷰를 하고 모바일앱 기반 자기기록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공연경험을 증폭시키고 취향을 공고화하는데 소셜플랫폼 기반의 미디어와 그 안에서의교류가 공연전후로 중요한 기능을 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공연동반자의 가치 및 취향 리더와 팔로워 관계를 발견함에 따라 공연 관람에서의 관계적 측면을 이해할 수 있었다. 그리고 각각의 발견마다 열성 관객, 관심 관객 및 무관심 관객의 차이가 관찰되었다. 이로부터 공연 경험을 공연 그 자체에만 국한된 것이아니라 그 전후의 커뮤니케이션 활동을 포괄하여 이해해야 하며, 개인 혼자의 경험이 아닌 사회적 관계 속에서 공연 관람이라는 소비가 발생한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소셜미디어 이용이 청소년의 대인적 위험 경험과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양소은(So-eun Yang),이혜미(Hye-mi Lee),김은미(Eun-mee Kim)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17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34 No.3

        이 연구는 청소년들의 개인화 미디어 기기가 보편화되고 소셜미디어 이용이 일상화된 현시점에서 온라인 상에서 청소년들이 경험하고 있는 위험의 양상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전제 첫 번째는 청소년들은 온라인 위험으로부터의 피해자인 동시에 자신 및 타인에게 피해를 유발하는 행위자일 수 있다는 점이다. 두 번째로는 소셜미디어 이용 자체가 해악이라는 공포에서 벗어나 특정 소셜미디어 이용 양상을 살펴야 한다는 점을 전제하였다. 특히 이 연구는 청소년의 자기노출적인 이용에 주목하였다. 연구결과, 청소년의 대인적 위험에 미치는 자기표현적 소셜미디어 이용과 프로필 노출이 중요한 예측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인적 위험의 피해와 행위자로서 문제행동에 참여의 관계가 매우 높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특정한 소셜미디어 이용 양상이 대인적 위험의 경험을 증가시키고 이로부터 온라인 상의 문제행동이 증가될 수 있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변화되고 있는 미디어 환경에서 청소년들이 경험할 수 있는 위험에 대하여 어떠한 대안을 모색해야 하는지에 대한 시사점을 던져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isks faced by young people on the Internet in a time when personalized media devices are popular and the use of social media is prevalent among them. The first premise of this study is that adolescents can be both victims of online risks and actors who cause harm to themselves and others. The second is that specific social media usage patterns are associated with online risks more than the use of social media itself-adolescents’ self-disclosure in social media. The results generally supported the assumptions. The study found that self-expressive social media use and profile exposure were important predictors of adolescents’ contact risks. In addition, there was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the exposure to contact risks and the involvement in problematic behavior. A possible explanation is that a certain social media usage patterns increase the likelihood of experiencing contact risks, which can lead to problematic behavior online. The present findings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possible solutions to adolescents’ online risks in the changing media environment.

      • KCI등재

        초ㆍ중등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프레임워크 연구

        양소은(Soeun Yang),이지선(Jeesun Lee),김아미(Amie Kim),변경가(Kyung-ga Byun)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24 교육논총 Vol.44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초ㆍ중등학교에서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위해 미디어 리터러시 프레임워크를 개발하는 데 있다. 초ㆍ중등학교 교육을 위해서는 학습자가 경험하는 미디어 환경 특성이 빠르게 변화한다는 점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유관 분야가 다양하다는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헌 연구, 전문가 자문, 연구진 회의 등을 연구 방법으로 활용하였다. 먼저 문헌 연구를 통해 학습자의 능력을 중심으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영역과 하위 핵심 능력 등 미디어 리터러시를 구성하는 요소를 밝히고, 요소 간 관계를 위계적으로 구성하였다. 다음으로 미디어 커뮤니케이션 분야, 교과 교육 분야 등 다양한 유관 분야 전문가 자문진의 검토 의견을 수집해 반영하였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미디어 리터러시 프레임워크는 뉴 미디어가 지속적으로 출현하면서 미디어 환경이 변화하는 상황을 고려하여 세로축과 가로축을 지닌 2차원 확장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프레임워크의 내용 영역은 ‘수용하기’, ‘생산하기’, ‘살아가기’로 구분된다. 각 영역별로는 기능적 리터러시(functional literacy)→비판적 리터러시(critical literacy)로 위계화되는 세부 핵심 능력을 설정하여, ‘수용하기’ 영역은 ‘(기능적) 소비→분석→평가’, ‘생산하기’ 영역은 ‘(기능적) 표현→확산ㆍ공유 →참여적 창작’, ‘(시민으로) 살아가기’ 영역은 ‘자기조절ㆍ안전→디지털 자아 구축→디지털 권리 이해ㆍ성찰→협력적 문제 해결’로 구성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인 미디어 리터러시 프레임워크는 초ㆍ중등학교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과정의 조직자로 활용될 수 있다. 특히 2022년 개정 고시된 국가 수준 교육과정에서 미디어 관련 교육 내용이 대폭 확대되고 전 교과와 전 학년군에 편재해 있는 교육 상황을 고려할 때, 이 연구의 결과는 학교 현장에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체계적으로 설계하고 운영하는 과정에서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framework for teaching media literacy in elementary, secondary, and high schools by considering the rapidly changing characteristics of learners’ mediaenvironments and various related fields of this subject. The research method includes literature research, expert advice, and researcher meetings. We conducted literature research to revealthe sub-elements constituting media literacy and the hierarchically constructed relationships between these elements. Furthermore, the review opinions of 11 expert advisors from the media communication and subject education domain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 two-dimensional expansion structure with vertical and horizontal axes is characteristic of the framework developed in this study. Moreover, the media literacy framework’s content areas are divided into “consuming”, “prosuming”, and “being”. For each area, detailed core competencies organized into functional and critical literacy were established. The consuming area includes “functional consumption → analysis → evaluation”; the prosuming area consists of “functional expression → diffusion/sharing → participatory creation”; and the being area includes “self-regulation and safety → digital self-building → digital rights understanding and reflection →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The media literacy framework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used to organize a media literacy curriculum. Particularly, the results are expected to be useful in systematically designing and implementing media literacy education in schools as media-related educational content is significantly expanded in the national curriculum, which was revised in 2022, and related educational content is ubiquitous in all subjects and grades.

      • KCI우수등재

        누구와 소통하는가 : 연결된 청소년의 공동체적 삶 역량 계발

        양소은(So Eun Yang),김은미(Eun-mee Kim) 한국언론학회 2014 한국언론학보 Vol.58 No.1

        It has been discussed in the social capital studies that increased online communication would increase people’s involvement in communities and civic life. This study started from the concern about low social competencies of Korean adolescents. We focused on who these youths communicate with in online network. This study attempted to separate the object of online communication into offline-based friends and online-based friends, and to investigate the discriminative effects on competencies of civic life along with the context of Korean youths’ life - family, school, friendship. The results show that they communicate mainly with offline-based friends on the internet as expected.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role of communication with online-friends in contribution to competencies of civic life. Communication with offline-based friends had no impact on civic competencies. Communication with online-based friends contributes to netizen trust, bridging network and new type of participation: alternative participation and civic engagement. The effects of bridging network and netizen trust on participation provide a better explanation of the role of network media on mobilizing people to civic engage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who they interact and communicate with cause differences in socialization. It is time to pay attention to the role of daily media use on social outcome, and media education concerning online social activ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