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폐경후 및 폐경 주변기 여성에서 골밀도와 호모시스테인간의 연관성

        서희선 ( Heuy Sun Suh ),양근석 ( Kyn Suk Yang ),김경곤 ( Kyung Kun Kim ),이규래 ( Gyu Rae Lee ) 대한폐경학회 2009 대한폐경학회지 Vol.15 No.2

        연구목적: 최근 골대사와 혈청 호모시스테인 농도와의 관계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으나, 골밀도 (BMD)와 혈청 호모시스테인 농도간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폐경후 및 폐경 주변기 여성을 대상으로 골밀도와 혈청 호모시스테인 농도간의 연관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2006년 8월부터 2007년 1월까지 가천의과학대학교 길병원 가정의학과 외래 방문한 폐경후 및 폐경 주변기 여성 10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들은 혈액검사, 요추 및 대퇴경부의 골밀도, 흡연, 음주, 카페인, 우유섭취를 조사하였다. 대상자들은 골밀도에 따라 세 군 (골다공증, 골감소증, 정상)으로 나누어 분산분석이나 Fisher`s exact test를 통하여 세 군 간에 차이를 분석하였다. 혈청 호모시스테인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분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그리고 다중회귀분석결과 호모시스테인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보정하였을 때 골밀도와 혈청 호모시스테인 농도의 연관성은 상관 분석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골밀도에서 세 군 (골다공증, 골감소증, 정상)간에 연령, 우유섭취 측면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P<0.05), 혈청 호모시스테인은 세 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혈청 호모시스테인은 혈당, 혈청 크레아틴,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 대퇴경부 골밀도와 각각 독립적으로 유의한 연관성 (P<0.05)을 보였다. 혈당, 혈청 크레아틴,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을 보정한 후 대퇴경부 골밀도와 혈청 호모시스테인 사이에 상관관계가 성립하였으나 (β=-0.25, P=0.01), 요추 골밀도와 혈청 호모시스테인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β=0.027, P=0.786). 결론: 폐경후 및 폐경 주변기 여성에서 혈청 호모시스테인의 증가는 대퇴경부 골밀도 감소와 상관관계를 보인다. 따라서 폐경후 및 폐경 주변기 여성에서 증가된 혈청 호모시스테인은 골다공증의 위험요소 중의 하나로 볼 수 있다. Objectives: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rum homocysteine concentration and bone mineral density (BMD); however, few such studies have been published. Hence,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rum homocysteine concentration and BMD in perimenopausal and postmenopausal women. Methods: One hundred nine perimenopausal and postmenopausal women who attended the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at a university hospital between August 2006 and January 2007 were recruited. The blood was sampled, the lumbar and femur neck BMD were measured, smoking habits were established, and the alcohol, caffeine, and milk consumption of the participants were determined.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BMD (osteoporosis, osteopenia, and normal),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hree groups were analyzed with ANOVA or Fisher`s exact tes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factors affecting serum homocysteine.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rum homocysteine concentration and BMD adjusted by factors affecting homocysteine in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Results: With respect to BMD, the three groups exhibited some differences (P<0.05) in terms of age and milk consumption, but the serum homocysteine level was not different between the three groups. The serum homocysteine level was individually associated (P<0.05) with serum glucose, serum creatinine, HDL-cholesterol, and femur neck BMD. Although a correlation was established (β=-0.25, P=0.01) between the femur neck BMD and homocysteine concentration when adjusted for serum glucose, serum creatinine, and HDL- cholesterol, there was no such relationship present (β=0.027, P=0.786) between the lumber BMD and the homocysteine concentration. Conclusion: An increased serum homocysteine concentration in perimenopausal and postmenopausal women is associated with the reduction in the femur neck BMD. Hence, the increase in the serum homocysteine level can be considered to be one of the risk factors for osteoporo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