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산성도금폐수 감압증발 과정에서 발생하는 악취물질 제거를 위한 습식저온플라즈마의 적용

        안해영,김진성,송지현 한국냄새환경학회 2016 실내환경 및 냄새 학회지 Vol.15 No.1

        The metal plating industry produces a large amount of wastewater generally containing heavy metals with various chemical compounds; as such, treating the wastewater is both an environmental and an economic challenge. A vacuum evaporation system has been developed to effectively reduce the volume of plating wastewater. However, the gas stream discharged from the distillation unit of the evaporator is often contaminated with high concentrations of odorous compounds such as ammonia and dimethyl disulfide (DMDS). In this study, a non-thermal plasma process operated in wet conditions was applied to remove the odorous compounds, and it showed high removal efficiencies of greater than 99% for ammonia and 95% for DMDS. However, the gas flowrate more substantially affected the efficiency of ammonia removal than the efficiency of DMDS removal, because the higher the gas flowrate, the shorter the contact time between the odorous compound and the mist particles in the wet plasma reactor. The analyses of the maximum removal capacity indicated that the wet non-thermal plasma system was effective for treating the odorous compounds at a loading rate of less than 20 mg/m3/min even though the lowest amount of electrical power was applied. Therefore, the wet-type non-thermal plasma system is expected alleviate to effectively abate the odor problem of the vacuum evaporator used in the treatment of plating wastewater.

      • 소규모 인쇄업에서 배출되는 VOCs 제거를 위한 흡착-오존산화촉매 통합시스템의 성능 평가

        안해영,조윤정,이가원,차호영,송지현 한국대기환경학회 2021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10

        인쇄업에서 사용되는 잉크, 용제, 희석제에는 다양한 휘발성유기화합물(VOCs)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그러나 소규모 인쇄시설은 대기오염물질 배출시설로 규정되어 있지 않아, 별도의 방지시설이 설치되어 있지 않고 관리대책도 소홀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규모 인쇄소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흡착-오존산화촉매 통합시스템을 제작하고 오프셋 인쇄소 현장에 설치하였다. 융합시스템은 흡착배기 모드와 촉매재생모드로 운전모드를 구분하여, 유무기 흡착제를 통해 인쇄소에서 배출되는 VOCs를 1차 처리한다. 촉매재생모드에서는 흡착된 VOCs를 탈착시키고 오존촉매로 산화시킨다. 이때 탈착된 VOCs를 포함한 기체는 시스템 내부에서 순환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VOCs 및 오존이 없도록 하였다. 실제 인쇄소 현장에서 배출되는 VOCs 농도는 인쇄량에 따라 THC 기준으로 100~500 ppm이었고, 융합시스템의 흡착배기모드를 거쳐 배출되는 농도는 15 ppm 미만이었다. 흡착배기 모드에서 배출되는 농도를 15 ppm 이하로 유지하기 위해서 2~3일에 한번씩 촉매재생모드를 6시간 가동하여 흡착제를 재생시킨 후 흡착배기모드 운전을 반복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흡착-오존촉매산화시스템을 적용하여 소규모 인쇄소에서 배출되는 VOCs를 효과적으로 제거가 가능하다. 단, 현장에 따른 최적 운전 및 재생주기에 대하여 추가 실험을 진행 중이며, 이를 통해 시스템의 최적화 조건을 확인하고자 한다.

      • 국내에서 발생하는 고로슬래그 및 플라이애쉬를 활용한 알칼리 활성 시멘트의 역학적 특성 연구

        안해영,송지현,박철우,박희문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2013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학술대회 Vol.2013 No.2

        최근 화력발전소나 철강 산업에서 발생하는 산업폐기물의 재활용 방법 및 사용처에 대한 연구가 주목을 받고 있다. 기존의 산업폐기물의 경우 해안 및 육상 매립에 의해 처리되고 있어서 매립지 확보에 어려움이 있고, 매립 시 발생하는 침출수 및 분진이 많은 환경문제를 유발하여 환경적・경제적 부담이 되고 있다. 이에 산업폐기물을 자원으로써 재활용하려는 방안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 산업폐기물은 주로 시멘트 대체물로써 사용되고 있으며, 이는 최근에 국제적으로 주목을 받고 있는 이산화탄소 방출량을 감소하기 위한 방안 중 하나로 주목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1 ton의 시멘트를 생산할 때 0.8 ton의 이산화탄소가 발생하는 것으로 기존의 연구들을 통해 알려진 바 있다. 국내외에서 시멘트를 대신할 수 있는 재료로써 화력 발전소에서 대량으로 발생하는 플라이애쉬나 철강 산업에서 발생하는 고로슬래그와 같은 폐자원 활용을 통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현재 발생하는 석탄회 중 58% 정도를 시멘트 대체물 혹은 콘크리트용 혼화재 등으로 재활용하고 있고, 고로슬래그의 경우는 발생하는 양의 대부분을 재활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산업폐기물을 시멘트 대용으로 적용한 알칼리 활성 시멘트에 대한 활용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실제 현장에서 시멘트 대체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이산화탄소 흡수능과 압축강도를 동시에 확보하고자 하였다. 이에 콘크리트 제조 시에 첨가되는 시멘트를 고로슬래그 및 플라이애쉬로 대체함으로써, 시멘트 사용량 저감을 통해 간접적으로 이산화탄소의 배출을 줄이고, 활성화시킨 고로슬래그를 활용하여 직접적으로 이산화탄소를 포집하고자 하였다. 알칼리 흡수제를 제작함에 있어 바인더로써는 고로슬래그 및 플라이애쉬를 적용하였고, 활성화제로써 수산화칼슘 및 규산나트륨을 투입하였다. 제조된 알칼리 시멘트의 이산화탄소 흡수제로써의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실험실 규모의 column test를 통해 CO₂ 흡착능을 평가하였다. 또한 시멘트 대체용으로써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알칼리시멘트를 사용한 페이스트와 모르타르의 배합실험을 진행하고 60℃의 고온 양생과 항온 양생의 두 조건에서 양생시키고 3일 후의 압축강도를 측정하였다. 플라이애쉬의 경우 20 mg-CO₂/㎏-흡수제 이상, 고로슬래그의 경우 27 mg-CO₂/㎏-흡수제 이상의 이산화탄소 흡착능을 보였다. 플라이애쉬의 경우 양생 조건에 상관없이 약간의 외력에도 변형이 생기는 정도로 경화가 진행되지 않아서 강도 발현이 불가하였으나, 고로슬래그의 경우 두 양생 조건에서 모두 15 ~ 17 MPa의 압축강도를 나타내었다. 실제 구조물로써 사용하기 위해서는 최소 20 MPa 이상의 압축강도가 요구되어지므로 향후 CO₂ 흡착능을 증대시키고 동시에 보다 높은 압축강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배합수 비율, 활성화제 종류, 배합비율에 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제 6차교육과정 초등미술교과서분석 연구1 : <꾸미기와 만들기>영역을 중심으로

        안해영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1999 한국초등교육 Vol.10 No.1

        It seems rather late to make an analysis of the Elementary school Art-textbook of the 6th Art curriculum A thorough analysis of the current 6th curriculum is necessary as basic data for the 7th<윗첨자/>curriculum It is regrettable that such an analysis has not been performed Now it is actually an era of cultural competition Now under a special situation of IMF program, the development of the 7th<윗첨자/>curriculum for 21st century has been started Therefore, the Art educators of present age, who are studying, managing and accomplishing current Art curriculum, must bear the principles of Economics in there mind Considering about current situation, the Art text book of the 7th curriculum must be a text book with intensive content to help children in 21C's world wide art culture without being stressed The purpose of this paper to be basic research data for the 7th curriculum Because Art textbook is a visual material in which thinking and feeling is emphasized, it must contain contents that give 'thinking and feeling' visually when the learner read it In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covers the 'design and craft' part in the 6th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Art-textbook and also covers the Part of 'happy life' for the 1st and the 2nd grade students that is considered to be a kind of 'decoration and making' The subject contains, 1) Ratio analysis table of 'design and craft' part in each grade 2) Analysis about distinction between two and three dimension of illustrated works 3) Analysis about continuity and connection of each sections from 1st grade to 6th grade And the analysis contains (1) Composition of each section of each grade (2) Continuity of each section (3) The differences (4) The remedy of exiting Art text book 4) Comparative analysis table about pupil's preparations for study presented in teachers' books 5) Propriety of illustrated works The analysis table presents the propriety and novelty of materials presented in textbook as illustration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 Some Parts of 'happy life' for the 1st and the 2nd grade - that can be considered to be a kind of 'design and craft'- fall short of social standard that we began to doubt if children liked to decorate and make when they studied the existing Art textbooks * The quality of paper was good, but the layout was too indiscriminate for children to find their interests * The selection of title is also of doubt if Ii could invoke children's interests and new peculations * The purpose of each section was not clear enough Because the Art textbook is the field of visual materials, illustrations in each pages should have given a clear image of subjects to be delivered in that section at a glance * In comparison, the textbook of the 4th grade gives a clear image of subjects in each pictures and illustrations * Especially, the textbook of the 5th grade was the best of all, except for proper explanations of each pictures and illustrations However, explanations of production was quite satisfactory * In the viewpoint of continuity, the gap between of the 4th and the 5th grade was so big that the connection between them can hardly foun

      • KCI등재

        인쇄업에서 배출되는 반응성 VOCs 종류와 흡착 제거 방법의 적용

        안해영,송지현,이윤경 한국냄새환경학회 2018 실내환경 및 냄새 학회지 Vol.17 No.4

        In this study,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emitted from printing industries were analyzed, and an inorganicadsorbent, γ-alumina, was selected for the effective control of the VOC emissions. Printing processes commonlyrequire inks, thinners, and cleaners, and they were mixed organic solvents containing aromatic compounds, ketones,and alcohols. Therefore, toluene, methyl ethyl ketone (MEK), and isopropyl alcohol (IPA) were selected as modelcompounds for this study. The adsorptive properties using γ-alumina were determined for the model compounds. Both batch isotherm and continuous flow column tests demonstrated that the adsorption capacity of MEK andIPA was 3~4 times higher than that of toluene. The column test performed at an inlet toluene concentration of100 ppm showed that an 80% breakthrough for toluene was observed after 3 hours, but both MEK and IPA werecontinuously adsorbed during the same time period. A numerical model simulated that the γ-alumina could removetoluene at a loading rate of 0.4 mg/min only for a 4-hour period, which might be too short of a duration for realapplications. Consequently, lifetime enhancement for γ-alumina must be implemented, and ozone oxidation andregeneration would be feasible options.

      • KCI등재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structures of metaverse platform development tools

        안해영,김정윤 (사)한국컴퓨터게임학회 2023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 Vol.36 No.4

        Nowadays,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content that people enjoy together in virtual spaces. In line with this trend, people are decorating their own avatars and enjoying game content in virtual spaces. These virtual spaces are called metaverses, and representative mega-platforms are ZEPETO and ROBLOX. The content that can be enjoyed on the Metaverse platform is called Metaverse content, and it also supports content creation tools that are convenient for users to create their own content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platform. However, the contents created by general users are not consistently successful compared to the released contents, as they are insufficient to attract the attention and interest of various users who are active in the metavers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is paper aim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content creation tools for content developers who utilize existing game engines to create metaverse content, and compares them in terms of interface, development language, and development process, referring to the selection criteria of game engin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