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난소암의 2차 항암제 내성 아세포주에서 다약물 내성을 억제시키는 Cyclosporine A의 역할

        안춘산,김성엽,박철민 대한부인종양학회 2006 Journal of Gynecologic Oncology Vol.17 No.4

        Objective: Resistant, recurrent ovarian cancer patients who had first chemotherapy with Cisplatin have showed low reactivity and high recurrence in the secondary chemotherapy. Therefore, multi-drug resistance(MDR) to chemotherapy is a major obstacle in attempts to improve the clinical outcome of ovarian cancer patients. The aim of our study is to analyze the sensitivity of some chemotherapy drugs when we co-use Cyclosporine A (CsA), which suppresses MDR, in the secondary drug resistant cell line. Methods: After establishing the secondary drug resistant cell line, drug sensitivity was measured by MTT assay. MDR gene and protein were analyzed by RT-PCR and western blotting assay. Results: MDR gene(MDR1) and protein(P-gp) were overexpressed in the secondary drug resistant cell line. When we measured the sensitivity of some chemotherapy drug after using the amounts of CsA that can suppress MDR1/P-gp, the sensitivity of Paclitaxel was highest. Conclusion: CsA has a role that makes the sensitivity of chemotherapy drug higher in the secondary drug resistant cell line by suppression of multi-drug resistance. Therefore, we could expect that the proper use of MDR suppresser like CsA with secondary chemotherapy drug would help to cure resistant, recurrent ovarian cancer patients. 연구목적: 1차 항암제로 Cisplatin 제제를 사용한 저항성, 재발성 난소암 환자에서는 2차 항암제에 대한 반응률 역시 낮고 재발률 또한 높다. 그러므로 악성 종양 환자의 항암 치료에 있어서 항암제에 대한 내성은 계속되는 걸림돌이라 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저항성 난소암 조직에서 흔히 나타나는 다약물 내성 유전자인 MDR1은 대표적인 내성 기전의 하나로 잘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MDR1이 과발현된 2차 항암제 내성 아세포주에서 다약물 내성 억제제인 Cyclosporine A (CsA)를 사용하였을 때 다른 2차 항암제들에 대한 감수성을 관찰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2차 항암제 내성 아세포주에서 RT-PCR 과 western blot 방법으로 다약물 내성 유전자와 단백질의 발현을 확인하고 MTT assay로 CsA 투여 전후의 5-Fluouracil(5-FU), Doxorubicin, Paclitaxel에 대한 감수성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2차 항암제 내성 아세포주에서 다약물 내성 유전자와 단백질인 MDR1과 P-gp이 과발현된 것을 관찰할 수 있었고, CsA를 처리하여 MDR1/P-gp을 억제한 후 다른 항암제에 대한 감수성을 측정한 결과 Paclitaxel에 대한 감수성 변화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결론: CsA는 다약물 내성을 억제하는 기전으로 내성 세포에서 항암제의 감수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CsA를 처리한 후 Paclitaxel의 감수성이 제일 높아진 것을 볼 때 저항성, 재발성 난소암 환자에게 CsA와 같은 다약물 내성 억제제를 2차 항암제와 적절히 사용함으로써 치료에 상당한 도움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Cisplatin 내성 난소암 세포주로부터 2차 내성 아세포 수립과 성격규명

        안춘산 ( Chun San An ),김성엽 ( Sung Yob Kim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0 No.1

        목적: 난소암에서 1차 항암치료로 백금제제를 사용한 저항성 재발 난소암 환자는 2차 항암제에 반응율이 낮고 또한 재발율도 높다. 본 논문에서는 2차 항암제에 대한 내성 난소암 아세포주를 수립하여 항암제 내성기전을 규명고자 하였다. 방법: 2차 항암제 내성 아세포주 SNU-8/Fac를 수립하여 MTT assay로 항암제 감수성을 측정하였고 RT-PCR방법과 western blot방법으로 내성 기전을 규명하였다. 결과: 2차 항암제 내성 아세포주 SNU-8/Fac를 수립하여 항암제 감수성을 측정한 결과 multidrug resistance를 보였다. 내성 관련 유전자를 관찰한 결과 mRNA수준에서는 LRP는 발현 정도를 관찰할 수 없었고 MRP1, BCRP, TS와 MT는 SNU-8/Fac에서 SNU-8/WT보다 더 과발현되지 않았으나 MDR1와 ATP7B는 더 과발현되었고 protein수준에서는 P-gp와 ATP7B가 더 과발현되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cisplatin 내성 난소암세포로부터 항암제 5-FU에 내성이 있는 세포주 SNU-8/Fac을 수립하였고 수립한 세포에서 P-gp/MDR1과 ATP7B유전자가 과발현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Objective: Multidrug resistance to chemotherapy is a major obstacle in attempts to improve the clinical outcome of ovarian carcinoma patient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secondary anticancer drug resistant cell line from original SNU-8/WT resistant to cisplatin and characterize it. Methods: After establishing secondary drug resistant cell line (SNU-8/Fac), drug sensitivity was measured by MTT assay. Multidrug resistance (MDR) was analyzed by RT-PCR and western blotting analysis. Results: MTT assay data demonstrated that MDR was expressed in SNU-8/Fac. In addition, mRNA expression of MDR1, ATP7B in SNU-8/Fac was increased. However, overexpression of MRP1, BCRP, TS and MT mRNA was not observed. At the protein level, protein P-gp, ATP7B were overexpressed in SNU-8/Fac. Conclusion: We established a new anticancer drug resistant cell line from original SNU-8/WT. Overexpression of P-gp and ATP7B was observed in SNU-8/Fac.

      • KCI등재후보
      • 생쥐 안구에서 산화적 손상에 의한 superoxide dismutases와 metallothionein의 나이에 따른 유도의 차이

        이홍영,이태범,안춘산,변익건,최석민,권대승,최철희 朝鮮大學校 附設 醫學硏究所 2003 The Medical Journal of Chosun University Vol.28 No.2

        The basal levels and inducibility of superoxide dismutases (SODs; Mn-SOD and Cu/Zn-SOD) and metallothionein (MT) was investigated in the eyes of mice with age. Oxidative stress was induced by paraquat, an intracellular superoxide generator, in 1, 4, 8, and 12 months of age and then mRl\As of SODs and MT in the eyes were determined by RT-PCR assay. The basal level of Mn-SOD mRNA increased from 1 month to 8 months but decreased thereafter. Mn-SOD mRNA was induced by paraquat until 4 month but not after 8 months. On the other hand, the basal level of Cu/Zn-SOD mRNA decreased with age. Cu/Zn-SOD mRNA was not induced by paraquat until 4 months. The basal level of MT mRNA declined with age whereas its inducibility by paraquat was intact at all ages. Taken together, the results indicate that SODs and MT are differentially expressed and induced according to the age. It could be also implicated that failure in induction of Mn-SOD with age may be one of causative factors in the aging process whereas induction of Cu/Zn-SOD and MT may be one of important factors in defense against oxidative stress in the eyes. 서론: 최근 노화는 반응성 산소종에 의한 산화적 손상의 축적결과라는 설이 각광을 받고 있다. 노화과정에서 노화와 관련된 질병을 비교적 잘 나타내는 안구를 선정하고, 정상생쥐의 안구에서의 superoxide dismutases (SODs) 와 metallothionein (MT) 의 함량 뿐 아니라 산화성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paraquat에 의한 SODs와 MT의 유도능과 나이와의 상호관계를 조사하여 이들의 노화과정에서의 역할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 본 연구에서 1, 4, 8, 12개월된 정상생쥐의 안구에서 반응성 산소종 생성의 초기에 중요한 방어기전인 SODs mRNA와 hydroxy radical (OH·)에 의한 산화적 손상의 마지막 방어기전인 MT mRNA의 함량과 산화성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paraquat에 의한 유도능을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 (RT-PCR) 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정상생쥐의 안구의 노화과정에서 Mn-SOD와 Cu/Zn-SOD, 그리고 MT mRNA의 항정상태 함량을 조사한 결과, Mn-SOD mRNA는 8개월까지는 증가하다가 12개월에서 감소하였으나, Cu/Zn-SOD mRNA는 나이와 함께 감소하였다. 그러나 MT mRNA 는 8개월까지는 감소하다가 12개월에서 약간 증가하였다. 산화성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parraquat에 의하여 Mn-SOD mRNA는 1개월과 4개월에서만 유도되었고, Cu/Zn-SOD mRNA는 8개월과 12개월에서만 유도되었으며, MT mRNA는 관찰한 전 기간에서 유도되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SODs와 MT는 안구에서 나이에 따라 서로 다르게 발현되고 유도되는 것으로 생각되며, 노화과정에서 Mn-SOD유도의 이상이 노화의 원인이 되는 인자로 작용하고, 반면에 Cu/Zn-SOD와 MT의 정상적인 유도능이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하여 방어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와 같이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Mn-SOD, Cu-Zn-SOD, 및 MT의 발현과 유도능의 차이가 있게 되고, 그 결과 반응성 산소종에 의한 산화적 손상의 정도의 차이로 노화의 속도가 조절되지 않나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