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ON T(u)-UNIFORM STABILITY OF THE PERTURBED LINEAR DIFFERENTIAL EQUATIONS

        AN, JEONG-HYANG,OH, YOUNG SUN 慶山大學校 基礎科學硏究所 1997 基礎科學 Vol.1 No.2

        O. Perron은 미분방정식의 해에 관한 안정성을 섭동이 있는 선형미분방정식의 해에 관한 안정성 문제로서 보다 단순화하여 O. Perron 안정성 정리를 발견하였다. 최근에 1990년 T. Taniguchi가 Perron 안정성 정리를 부분적으로 일반화하였으며 S.K. Chang, H.J. Lee, Y.S. Oh 등이 페론 안정성 정리를 더욱 일반화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S.K. Chang, H.J. Lee, Y.S. Oh의 안정성 정리중 어떤 질적성질을 갖는 조건에 대해서 조사하였으며, 주된 결과는 선형미분방정식 dy/dx=KF(t,y)의 자명해가 T(μ)-일양(점근적)안정이 성립하면 섭동을 수반한 미분방정식 dy/dx=A(t)x + f(t,x)이 T(μ+ν)-일양(점근적)안정이 될 충분조건을 찾았으며 또한 섭동이 있는 미분방정식의 자명해가 여러 가지 일양안정성일 충분조건에 관한 몇 가지 성질을 얻었다. We investigate the zero solution of the perturbed linear differential equation dt/dx=A(t)x + f(t,x) and we find some sufficient conditions to ensure T(μ)-uniform stability T(μ)-uniform asymptotical stability of the zero solution of it.

      • Some Conditions of Stability Soltions in Differential Systems

        An, Jeong-Hyang,Oh, Young-Sun 경산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2001 基礎科學 Vol.5 No.1

        O.Perron은 미분시스템의 해에 관한 안정성을 섭동이 있는 선형미분시스템의 해에 관한 안정성 문제로서 보다 단순화하여 Perron 안정성 정리를 얻었다. 본 연구에서는 선형미분시스템에서의 영해(零解;zero solution)가 안정할 필요충분조건과 보조시스템 □의 영해가 Φ(t)-점근적 안정 가능하면 섭동을 수반한 □가 Φ (t)-안정 가능할 충분조건에 대한 성질을 얻었다. 또한, 보조시스템 □의 영해가 Φ (t)-평등 점근적 안정가능하면 그 섭동을 수반하는 미분시스템의 영해도 Φ (t)-평등 점근적 안정가능하게 되는 조건을 얻었다. In this paper, we find the necessary and/or sufficient conditions of stability of solutions of the given differential systems by using the auxiliary system.

      • ON SOME RELATIONS OF SOLUTIONS IN LINEAR DIFFERENTIAL EQUATIONS

        AN, JEONG-HYANG 慶山大學校 基礎科學硏究所 1997 基礎科學 Vol.1 No.2

        선형미분방정식의 해에 대한 안정성 문제는 A.M. Lyapunov(1892)에서 O.Perron(1930)을 거쳐 최근까지 세계 여러 나라에서 여러 분야에 걸쳐 이 이론의 연구가 활발히 전개되어왔다. 본 논문에서는 선형미분방정식에 있어서 자명해의 안정성 문제에 대한 관계를 조사하였으며, 또한 유계성 문제에서 어떤 안정성이 되는지를 아울러 밝혔다. 주된 결과는 선형미분방정식 dy/dt=g(t,y)의 자명해가 임의의 실수 μ에 대해서 T(μ)-일양 자명해이면, 그 해는 T(μ+|ν|)-준 일양 점근적 안정하고, 그 자명해가 T(μ)-일양 유계일 때 그 해가 T(μ+|ν|)-준 일양 점근적 안정함을 찾았다. 그 외에도 몇 가지 (준)일양 점근적 안정성이 될 충분조건을 찾았는데 이들 관계는 여러 형태의 안정성 문제를 해결하는데 사용된다. In this paper, we present to ensure that if the zero solution of a linear differential equation is T(μ)-uniformly stable, then the solutions of its perturbed linear differential equation is T(μ+|ν|)-quasi-uniformly asymptotically stable. And also, we find some sufficient conditions for T(μ)-uniformly asymptotical stability of the zero solution of the perturbed linear differential equation.

      • KCI등재

        한국정당 조직의 상대적 불안정성: 집단행동이론과 계파갈등

        이종곤,안정 한국사회과학연구회 2015 동향과 전망 Vol.- No.95

        우리나라 정당들, 특히 새누리당계 및 민주당계 정당들은 공통적으로 오랜 기간이합집산을 반복하여 정당조직의 불안정성을 노출시켜왔다. 하지만, 이러한 공통점에도 불구하고 두 정당의 조직적 불안정성은 상대적 차이점이 존재한다. 1990년 자유민주당의 3당합당 이후, 새누리당계 정당들은 비록 통합과 분열을거듭하며, 신한국당, 한나라당으로 변화했지만, 민주당계 정당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안정된 조직을 유지하여 왔다. 이 글에서는 슈와르츠(Schwartz)와 알드리치(Aldrich)가 제시한 정당과 관련한 집단행동이론을 기반으로 하여 두 당의 상대적 안정성의 차이를 당내 처벌기제 및 장기적 관계 유지 문제와 관련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민주당계 정당들은 공식지도부와 계파 선거영향력이 불일치하여 처벌기제가 제대로 작동하지 못 하고, 새로운 계파의 잦은 유입으로 인해주류계파에 대한 정치적 지분이 불확실한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원인에 의해 민주당계 정당들은 새누리당계 정당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조직을 유지하는데 실패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The organizational structures of Korean political parties have been highly unstable for several decades. Two major Korean political parties, the New Frontier Party (NFP) and the New Politics Alliance for Democracy (NPAD), have failed to maintain robust party organizations in common. Nevertheless, NFPᐨrelated parties have established more stable party organizations in a relative manner. This article analyzes the internal factors to affect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political parties, based on the theoretical framework suggested by Thomas Schwartz and John Aldrich. The party leaderships of NPADᐨrelated parties have been more likely to lose electoral influence and adopt new political factions, compared with NFPᐨrelated parties. These behaviors of the party leaderhships have generally weakened the effectiveness of punishment mechanism and longᐨterm trustful relationships among party members. As a consequence, NPADᐨrelated parties have failed to maintain stable party organizations in recent decades.

      • KCI등재

        숙련형성 시스템의 동학과 분절에 대한 연구

        안정화 ( Ahn Jung-hwa ) 한국산업노동학회 2016 산업노동연구 Vol.22 No.3

        본 연구는 한국의 숙련형성 시스템에 대한 정량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임금, 고용안정성, 숙련, 생산성으로 구성된 숙련형성의 기본 순환고리를 설정하고, 이 순 환고리와 자본, 노동, 국가의 전략이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 숙련 형성 시스템이 기업규모별로 분절되어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숙련형성의 기본 순환고리에 대한 분석 결과는 교육훈련의 증가가 숙련-생산성-임금-이직률로 이어지는 순환관계 속에서 선순환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둘째, 숙련형성 순환고리와 자본, 노동, 국가 전략의 상호작용을 보면, 신제품개발에 적극적인 혁신적인 기업일수록 교육훈련에 대한 투자를 많이 하며, 이는 숙련수준의 상승, 생산성 향상, 임금 상승, 고용안정성 제고라는 선순환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노동조합은 교육훈련을 직접 증가시키지는 않지만 임금상승과 고용안정성을 통해 간접적으로 숙련형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이것은 숙련지향적인 전략을 통해 얻어낸 결과라기보다는 임금과 고용안정 노력에 대한 부산물로 해석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정부의 직업능력개발 정책의 지원은 기업의 교육훈련 증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업규모별로 숙련형성의 특성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소기업 집단 에서는 숙련형성의 순환고리가 작동하지 않고 있을 가능성이 있어 현재와는 다른 정책적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quantitatively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kill Formation System in Korea. We set correlations of skill formation variables such as vocational training, skill, productivity, wage and turnover. We then analyzed how the correlations interacted with the strategies of the employer, union and government and whether or not segmentation of skill formation differs depending on the firm siz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e found that the correlations of skill formation variables can lead to a low-skill or high-skill equilibrium. Second, the companies which are active and innovative in new products are more likely to invest in training, positively leading to skill improvement, increased productivity, a rise in wages and job security. Also, unions have positive, indirect effects on skill formation through wage increase and job security. Third, the characteristics of skill formation was found to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firm size. Particularly,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circle of skill formation does not work in small and medium-sized firms.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variables associated with the process of skill formation in small and medium-sized firms become disconnecte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re is a disconnect within the variables associated with the process of skill formation in small and medium sized firms.

      • On quasi-asymptotic and uniformly asymptotic stability of the form y'= Α(t)x+h(t, x)+f(t, x)

        안정 慶山大學校 1997 論文集 Vol.15 No.1

        0. Perron은 미분방정식의 解에 관한 안정성을 攝動을 수반한 미분방정식의 해에 관한 문쟤로서 보다 단순화하여 0. Perron 안정성 정리를 발견하였으며, 최근에는 S.K. Chang, H. J. Lee, Y. S. Oh 등이 패론의 정리를 일반화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섭동을 수반한 미분방정식 y'=A(t)x+h(t.x)+f(t,x)이 준 점근적 또는 준일양 점근적 안정성이 될 충분조건을 보조방정식 y'=F(t.k(t)y(t)) 또는 y'-=h(t)^(-1)F(t, k(t)y(t))을 사용하여 얻었다. We investigate quasi-asymptotic stability of the zero solution for the perturbed differential equation dx/di = A(t)x + h(t_(1),x) + f(t_(1), x) and we also find some sufficient conditions to ensure T(v)-quasi-(uniform1y) asymptotic stability of the zero solution of it.

      • [발제6] 자본 이동과 노동시장의 변화

        안정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2007 한국노사관계학회 학술대회 Vol.2007 No.12

        본 연구에서는 자본 이동이라는 자본 축적의 공간적 확장이 노동시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분석을 위해서 자본 이동이 노동시장에 미치는 간접적인 영향으로서 자본 이동과 자본 축적률 사이의 관계를, 노동시장에 미치는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으로서 자본 이동과 노동시장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로의 자본 이동인 외국인 직접투자는 자본 축적률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그 유입의 불안정성은 1997년 위기 이후 자본 축적을 구축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외국인 직접투자와 노동시장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외국인 직접투자는 생산성을 증가시키지만 임금을 하락시키고 비정규직 노동자의 비율을 증가시킴으로써 분배를 악화시키고 고용을 불안정하게 만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인 직접투자가 생산성 향상을 가져오지만 이것이 장기적인 성장으로 연결될 것으로 단정 지을 수 없는 이유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이유에서이다. 첫 번째는 외국인 직접투자가 생산성을 증가시킴에도 불구하고 앞에서 분석한 바와 같이 자본 축적률을 증가시키지 않을뿐더러 자본 이동의 불안정성은 오히려 축적률을 구축시키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증가된 생산성이 실물자본에 대하 투자를 통해서 축적률을 증가시키는데 기여하지 못한다면 분배의 악화만 가져올 뿐 장기적인 성장을 담보하지 못한다. 두 번째는 외국인 직접투자가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임금을 감소시키고 비정규직 비율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현재와 같은 성격의 외국인 직접투자가 장기적인 성장의 동력으로 작용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임금 증가와 비정규직의 감소가 생산성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이러한 두 가지 이유로 인해서 불안정한 이동과 소득재분배의 악화 그리고 단기고용을 선호하는 현재와 같은 성격의 외국인 직접투자가 장기적인 성장을 가져올 것이라 판단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번스타인의 생애를 통해 살펴본 그의 음악교육철학과 교육관

        안정아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20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ighlight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in music education by reflecting upon the life of Leonard Bernstein as an educator gifted in communicating with the public. As a musical genius, Bernstein’s life can be approached from many different angles, but this study will focus on his relationships with friends, teachers and mentors that had influenced his understanding and teaching of music. It is evident that Bernstein’s outstanding ability to communicate and empathize with others was cultivated through his relationships as a youth, as well as with his peers and teachers while studying music and conducting research as a student. As a composer, Bernstein’s choice of eclectic music and Broadway musicals reflects his philosophy that communication with the audience is essential. As an educator who valued communication and empathy over simple transfer of knowledge, he used questions and analogies as a means to meet students at eye-level. Such findings support the claim that Bernstein’s passion for relating and empathizing with the public was key to his success as an educator. In Korea, we also need such musicians who not only study music but others so that his or her view may broaden dynamically. It is also recommended that teachers need communication with student all the time as Bernstein did. Finally, it is imperative that further study be conducted on Bernstein’s many assets so that the findings may be applied to devising successful methods of music education. 본 논문은 소통이 음악 교육의 효율화에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보고 소통의 달인이라 불리는 레너드 번스타인의 삶을 연구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레너드 번스타인을 그의 천재적인 음악성을 통해서 연구할 수도 있지만, 그와 함께 성장한 친구들, 그를 음악의 세계로 인도한 선생들, 그리고 그가 음악 분야와 비음악 분야를 연결할 수 있도록 시야를 넓혀 준 교수들의 영향에 중점을 두어 연구했다. 그 결과 번스타인의 성장 과정에서 체험한 인간관계와 그의 학창 시절 음악 교육과 학문 연구 등을 통해 습득한 사람들과의 진솔한 소통과 공감의 능력이 그를 위대한 소통의 음악가로 탄생시켰음을 밝혔다. 한편 작곡가로서 그가 선택한 절충적 음악 양식과 뮤지컬 장르는 대중과의 소통을 우선시한 번스타인의 철학에서 기초했음을 확인했고 질문과 비유를 통한 눈높이 음악교육 또한 그가 전문적 지식전달보다는 인간 간의 소통을 우선시했음을 밝혔다. 위의 내용이 본 논문의 핵심이며 끝으로 우리나라에서도 번스타인과 같은 폭넓고 위대한 음악가를 배출하기 위해서는 성장에서 전문가가 되는 전 과정에서 일방교육이 아닌 소통에 기초한 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음을 밝힌다.

      • KCI등재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텍스트 구성 능력 연구-일기 텍스트를 중심으로

        안정아 배달말학회 2013 배달말 Vol.5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ext organization ability of 1st grade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In chapter2, we investigated the generative principal in their diary text. As a result, the first grade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completed the diary text using the story structure. They showed gradual improvement on the text organization ability, so they organized <setting-episode-comment> structure. In chapter3, we investigated the unique structure of the diary, i.e. <setting-episode-comment> structure. According to development of text organization ability, they produced various types derived from <setting-episode-comment> structure. As a result, three types are induced : <episode> type, <setting-episode> type, <setting-episode-comment> type. Although they can organized <setting-episode-comment> structure, they can't handle this structure skillfully because they made mistake occasionally in sequencing relationships among the episodes or events, or reversing the constituent of <setting-episode-comment>. 이 연구에서는 학령기에 들어서는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일기 텍스트를 중심으로 텍스트 생성 원리와 구성 방식에 대해 고찰해보았다. 이 시기 학생들은 구어 문법에는 익숙하지만, 텍스트를 생성하는 데 필요한 문어 문법에는 아직 익숙지 않아서 맞춤법, 띄어쓰기는 물론이고, 어휘의 선택이나 문장 쓰기, 나아가 텍스트 층위의 의미 내용과 구조를 구성하는 모든 일에 어려움을 겪는다. 이 시기 학생들은 아직까지 글의 목적과 의도에 맞게 의미 내용을 조직하는 방법을 학습하지 않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기 텍스트를 완성할 수 있었던 것은 일기의 기술 방식이 이들에게 너무나 익숙한 ‘이야기’와 닮아 있기 때문이다. 즉 학생들은 이야기 구조를 활용하여 일기 텍스트를 생성해내는데, 이 이야기 구조를 문어 텍스트(written text) 형식으로 구성하는 과정에서 텍스트성이 점차 발달하면서 일기 텍스트의 전형적인 구조인 <배경-일화-논평> 구조가 확립되었다. 즉, 텍스트 구성 능력이 미숙한 시기에는 일기 텍스트의 구성 요소인 <배경>, <일화>, <논평>이 모두 출현하지 못하고 결여된 구조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았는데, 초기에는 구성 요소들 간에 특별한 관계를 부여하지 못하고 <일화> 범주로만 텍스트를 구성하다가, 사건과 사건을 나열하는 데 인과적 연결에 집중하면서 <배경-일화> 구조로, 다시 이 구조에 필자의 주관적인 견해를 덧붙임으로써 일기를 마무리하는 방식인 <배경-일화-논평> 구조로 발달해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텍스트 구성 능력에 따라 1단 구성에서 3단 구성으로 발전하는 양상을 띠지만, 한편으로는 아직까지 <배경>, <일화>, <논평>의 순서를 뒤바꾸어 배열하기도 하고 다른 구성 요소 중간에 삽입시키기도 하며, 어느 한 범주를 생략하거나 지나치게 단순하게 기술하는 등 의미적 결속성을 위배하는 현상들도 자주 관찰되었다. 이야기를 구성하는 능력은 일기뿐만 아니라 모든 장르의 글쓰기에 적용될 수 있는 기본적인 원리이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 관찰되는 텍스트 구성 방식의 다양한 유형과 결속성을 위배하는 오류 양상들은 다른 장르의 텍스트 구성 연구에도 활용될 수 있으리라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