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일통상항해조약의 폐지와 미국무부의 극동정책 전환

        안재익 한국미국사학회 2022 미국사연구 Vol.55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examine how the U.S. government's decision to abolish the treaty of commerce and navigation between the U.S. and Japan (1911) was made within the Department of State. The fact that Japan relied heavily on foreign trade, especially scrap metal and oil, has been noted by U.S. State Department officials since the early 1930s, and the Japanese government was fully aware that if foreign trade was suspended by powers such as the U.K. and the U.S., the Japanese economy would succumb to a major crisis. However, when the Sino-Japanese War erupted in 1937, the U.S. government adopted a wait-and-see attitude without initiating actions to restrain Japan's aggressive continental policy. It was due to the existence of isolationist public opinion in the U.S. symbolized by the enactment of the Neutrality Act (1935). In this situation, a political adviser of the Department of State, Stanley K. Honbeck argued that Japan should be prevented from engaging in aggression towards East Asia by imposing bold economic sanctions, with active economic support for China. As a prerequisite for this, Honbeck demanded the abolition of the treaty of commerce and navigation between the U.S. and Japan. Honbeck's assertion of abolition of the treaty rapidly gained support within the Department of State after the Japanese government declared the East Asian New Order in November 1938. In July 1939, the U.S. notified the Japanese government of the abolition of the treaty, and after 1940, the U.S. actively imposed trade sanctions against Japan. In examining the above process, it is necessary to focus on the following three aspects regarding the abolition of the treaty of commerce and navigation between the U.S. and Japan. First, the abolition of the treaty signaled a significant change in U.S. Far Eastern policy. Second, discussions on the abolition of the treaty had been held within the State Department for more than a year, and in this process, the opinion had spread within the department that strong measures against Japan were needed. Third, strong economic sanctions against Japan actually were implemented since the treaty had been abolished. The U.S. increased the degree of intervention in Far East issues, including the Sino-Japanese War, through economic sanctions against Japan and support for the Chinese economy, and the abolition of the treaty of commerce and navigation between the U.S. and Japan was the beginning of such a policy shift. 본 논문에서는 미 정부가 미일통상항해조약 폐기를 일본 정부에 통고하는 결정이, 국무부 내에서 어떻게 이루어졌는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일본이 대외 무역, 특히 대미 무역에 고철과 석유 등 주요 자원의 획득을 크게 의존하고 있었다는 사실은 1930년대 초반부터 미국의 국무부 관료들에 의해 주목받았으며, 일본 정부도 영국, 미국 등 열강에 의해 대외 무역이 중단되면, 큰 경제적 위기에 빠지게 될 것이라는 점을, 충분히 의식하고 있었다. 하지만 1937년 중일전쟁이 발발하자, 미 정부는 일본의 대륙 침략적 정책을 제지하기 위한 적극적 행동에 나서지 않고 관망적인 태도를 취했다. 그것은 중립법의 제정으로 상징되는 미 국내의 고립주의적 여론의 존재 때문이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국무부의 정치고문 스탠리 혼벡은 중국에 대한 적극적인 경제 지원과 함께 일본에 대한 과감한 경제 제재를 실시해서, 동아시아 지역에 대한 일본의 침략적 행보를 막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를 위한 전제 조건으로서 혼벡은 미일통상항해조약의 폐지를 요구했다. 혼벡의 조약 폐지론은 1938년 11월, 일본 정부가 동아 신질서론을 선언하게 된 뒤, 국무부 내에서 급속히 지지를 넓혀 갔다. 그리고 1939년 7월, 결국 미 정부는 조약의 폐기를 일본 정부에게 통고하였고, 1940년 이후 미 정부는 적극적으로 대일 무역 제재 조치를 취하게 되었다. 이상의 과정을 살펴볼 때, 미일통상항해조약의 폐지와 관련해서 다음 세 가지 측면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첫 번째로, 조약의 폐지가 미 정부의 중대한 극동정책 기조 변화를 의미했다는 점이다. 두 번째로, 조약 폐기를 위한 논의가 국무부 내부에서 1년 이상에 걸쳐 진행되었고, 그 과정에서 일본에 대한 강경한 조치가 필요하다는 여론이 확산되었다는 점이다. 세 번째로, 조약이 폐기된 이후 실제로 강력한 대일 경제 제재가 시행되었다는 점이다. 미국은 대일 경제 제재와 대중 경제 지원을 통해 중일전쟁 문제를 포함한 극동 문제에 대한 개입의 정도를 높여 갔고, 그러한 정책 전환의 효시로 볼 수 있는 것이 바로 미일통상항해조약의 폐지였다.

      • 머신러닝을 이용한 중단기 국내 체감경기 예측에 관한 연구 : 거시변수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안재익,임규건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2021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6

        최근 우리 사회는 거시변수 기반의 지표경기와 사회 구성원들의 체감경기 간의 괴리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괴리 현상은 기업 경영 의사결정 혹은 정부의 경제 정책 방향에 혼동을 준다. 특히 소비자의 구매 지수는 체감경기에 수렴하기에 소비자 구매 동향에 체감 경기 흐름을 파악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머신러닝 방법론으로 체감경기 대표 지수인 소비자 심리지수 예측하는 체감경기 예측 모델을 설계한다. 이를 통해 거시변수와 체감경기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중단기적인 체감경기 예측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1941년 미국의 대일 자산 동결 조치에서 실질적 대일 금수 조치까지: 영국, 네덜란드와의 협력과정을 중심으로

        안재익(Jaeik Ahn)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24 아시아리뷰 Vol.14 No.1

        이 논문에서는 1941년 7월, 미국에 의한 대일 자산동결이 이루어지고 그것이 전면적 금수 조치로 확정되기까지의 과정을 재검토하고, 대일 석유 수출에 대한 미국 정부 지도자들의 견해를 다시 읽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과연 통설에서 설명하는 것처럼 정책 결정과 실행 사이에 괴리가 존재했는지를 판단해 볼 것이다. 이에 더해, 일본에 대한 석유 금수 조치가 제대로 시행되기 위해서는, 미국 한 국가만의 수출 제한 조치로는 충분치 않고, 영국과 네덜란드령 동인도 등 다른 산유국들의 협조가 필요했다는 점을 감안할 때, 이들 국가들 간에 어떠한 논의를 거쳐 일본에 대한 공동 금수 조치가 취해질 수 있었는지, 그 과정에 대한 충분한 검토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이를 통해, 석유 금수 조치라는 일본의 강력한 반발을 불러올 가능성이 높은 경제 제재가 어떻게 시행되어 갔는지를 살피고, 그러한 제재의 시행이 지니는 정치적·외교적 의미에 관해 논의해 보고자 한다. 대일 자산 동결조치가 대일 금수 조치로 확정되기까지는, 대략 2개월에 걸친 점진적인 정책의 진전이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은 미국의 주도하에, 영국과 네덜란드라는 두 동맹국과 긴밀한 협의를 통해 진행되었다. 이처럼 일본에 대한 경제 제재가 점진적인 과정을 거쳐야 했던 이유는, 급격한 석유 금수조치가 가져올 일본의 반발을 우려한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한 이유였을 것이다. 애치슨을 비롯한 미국 내 정책 집행자들은, 경제 제재에 대한 일본의 반응을 조심스레 살피고, 경제 제재에 필수적인 동맹국의 협력을 얻기 위한 노력을 충분히 기울이면서 조심스레 석유 금수 조치라는 정책적 목표로 나아갔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통설과는 달리 루즈벨트 대통령과 헐 국무장관 등 정책 결정자들의 의향이 실제 정책 집행 과정에서 완전히 무시되기보다는, 이러한 점진적인 과정에 대해 간접적, 혹은 묵시적인 지지를 보냈던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1941년 7월 말, 일본의 남부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점령에 의해 시행된 미국 주도의 석유 금수 조치는, 미국 정부내 정책 결정자들이 의도하지 않은 우연의 산물로서 이해되기 보다는, 오랜 기간에 걸쳐 미 정부 내에서 논의되고, 영국, 네덜란드 등 주변국과의 충분한 협의 끝에 탄생한 국제적·국내적 합의의 결과로 이해하는 것이 역사적 사실에 좀 더 부합하는 해석일 것이다. 이러한 해석을 통해 1941년 8월 영국과 미국이 합의한 세계 전략이 지니는 의미와 제2차 세계대전에 대한 미국의 참전 결정이 지니는 역사적 의미를 좀 더 깊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아시아 태평양 전쟁 개전 직전, 미국과 일본 양국이 지닌 입장의 차이는 외교적 노력을 통해 해소될 수 없는 것이었고, 이는 본질적으로 양국이 그리는 동아시아 질서가 상충하는 것이었다는 점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In this paper, we examine the events leading up to the United States’ asset freeze on Japan in July 1941 and its evolution into a comprehensive embargo. We also analyze the perspectives of US government leaders regarding oil exports to Japan. This analysis aims to assess whether there was a significant gap between policy decisions and their implementation, as commonly believed. Additionally, since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the oil embargo against Japan necessitated cooperation from other oil-producing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Kingdom and the Dutch East Indies, we explore the discussions among these nations and the process for enacting a joint embargo against Japan. Through this examination, we aim to understand the execution of an economic sanction expected to elicit a strong response from Japan, like the oil embargo, and to discuss its political and diplomatic consequences. Prior to the implementation of Japan’s asset freeze as a full embargo, there was a gradual evolution of policy over approximately two months, conducted in close collaboration with allies, namely the United Kingdom and the Netherlands. This cautious approach to imposing economic sanctions on Japan was driven largely by concerns over a potential Japanese retaliation to a sudden oil embargo. It can be argued that US policymakers, including Dean Acheson, advanced cautiously towards an oil embargo, carefully monitoring Japan’s response to the sanctions and striving to secure the support of crucial allies. This approach, contrary to popular belief, suggests that policymakers such as President Roosevelt and Secretary of State Hull provided indirect or tacit approval for this measured process, rather than their intentions being overlooked in the policy’s actual execution. Therefore, the US-led oil embargo initiated in late July 1941, in reaction to Japan’s occupation of southern French Indochina, should be understood as the culmination of an international and domestic consensus that had been forming over an extended period within the US government and in consultation with countries like the United Kingdom and the Netherlands. This perspective offers a more nuanced understanding of the global strategy agreed upon by the United Kingdom and the United States in August 1941 and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United States’ entry into World War II. Recognizing that the divergent positions of the United States and Japan on the eve of the Pacific War were irreconcilable through diplomacy, and essentially constituted a clash over their visions for East Asia’s future, is crucial.

      • KCI등재

        마쓰오카 요스케(松岡洋右) 외무대신의 전시(戰時) 외교 전략 - 대미 정책을 중심으로 -

        안재익 ( Ahn Jae Ik ) 성신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1 人文科學硏究 Vol.44 No.-

        1940년 7월부터 1941년 7월까지 제2차 고노에 후미마로(近衛文麿) 내각의 외무대신으로 재직한 마쓰오카 요스케(松岡洋右)의 외교 정책은 일찍부터 주목받아 왔다. 그것은 그가 재직하는 기간 동안, 일독이(日獨伊) 삼국 동맹 조약과 소련과의 중립 조약이 체결되고, 미국과 미일 교섭이 진행되는 등 태평양 전쟁이 발발하기 직전 단계에서 중요한 외교 정책이 추진되었기 때문이었다. 마쓰오카의 외교 정책에 대한 일반적인 평가는, 제2차 세계 대전이 격화되어 가는 가운데, 삼국 동맹 조약과 일소 중립 조약의 체결을 통해 일본-소련-독일-이탈리아의 4국이 제휴 관계를 맺고, 이를 바탕으로 대미 협상에 나선다고 하는 이른바 4국 협상의 구상을 그가 지니고 있었다는 점이 강조되었다. 그러나 이 같은 견해는 주로 전후 마쓰오카 자신과 그 측근들이 남긴 증언에 의거한 것이기 때문에, 실제 마쓰오카가 그러한 구상을 지니고 대미 외교 정책을 폈는지에 대해서는 그가 취한 구체적인 정책 결정을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 마쓰오카는 독소 관계가 파국을 맞이할 것이라는 점을 충분히 알고 있었고, 그의 대미 정책은 반드시 대화에만 집중하는 것도 아니었다는 점을 생각할 때, 마쓰오카에게 있어서 4국 협상의 구상이 어떠한 의미를 지니고 있었는지를 재검토할 필요성은 더욱 높아진다. 이에 따라 본 발표에서는 일본이 중일 전쟁을 수행하고 있고, 유럽에서 제2차 세계대전이 진행 중인 상황에서 마쓰오카가 어떠한 외교 전략을 지니고 있었는지를 살펴보고, 그러한 관점에서 그의 대미 외교 정책이 어떠한 성격을 지니고 있었는지를 고찰할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삼국 동맹 조약과 일소 중립 조약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마쓰오카가 유지했던 외교 전략을 검토할 것이다. The foreign policy of Yosuke Matsuoka, who was in office as Foreign Minister of the Second Konoe Cabinet from July 1940 to July 1941, has been attracting attention. Because during his tenure, the Japan-Germany-Italy Tripartite Pact and the Soviet-Japanese Neutrality Treaty were signed, and Japan-US negotiations with the United States were promoted. Matsuoka's general evaluation of foreign policy is based on the fact that the four countries of Japan, the Soviet Union, Germany and Italy formed a partnership through the conclusion of the Tripartite Pact and the Soviet-Japanese Neutrality Treaty amid the intensification of World War II. Many historians emphasized that he had the so-called Shikoku Kyosho (4 powers partnership) concept of engaging in negotiations with the United States. However, such a view is mainly based on the testimony left by Matsuoka himself and his aides after the war, and in fact, whether Matsuoka had the idea of Shikoku Kyosho (4 powers partnership) at the time of his tenure and implemented the policy toward the United States accordingly. Need to consider the specific policy decisions he made. Matsuoka is fully aware of the potential for catastrophic German-Soviet relations, and given that his policy toward the United States did not necessarily focus on dialogue with the United States, there is an increasing need to reconsider what Matsuoka's vision for Shikoku Kyosho was. Therefore, in this paper, I examine what kind of wartime foreign policy Matsuoka had under the circumstances where Japan was engaged in the Sino-Japanese War and World War II was underway in Europe, considering what it has to do with his foreign policy towards the United States. For this reason, I will first consider the diplomatic strategy that Matsuoka maintained in the process of promoting the Tripartite Pact and the Soviet-Japanese Neutrality Treaty. Matsuoka has an attitude of restraining the United States' support for Britain through the Tripartite Pact, creating an environment favorable to Germany through this, and taking advantage of Germany's victory after the war to expand Japan's dominance in East Asia. At the same time, he sought to restore the deteriorated relationship with the Soviet Union and thereby eliminate Japan's strategic dangers. Next, I will examine Matsuoka's policy toward the United States. He has shown his willingness to use the Tripartite Pact to minimize US support for Britain and participation in World War II. At the same time, he had an attitude of demanding American concessions to solve the Sino-Japanese War problem. His policy was understood by US government officials as a tough attitude, and as a result, it acted to worsen US-Japan relations. Finally, I will focu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suoka and the Japanese military, especially the Army. At that time, the Japanese Army was hoping for an armed advance into Southeast Asia. However, Matsuoka maintained an attitude against the use of force against the South, consistently that such actions could stimulate the United States. Such a policy is an example of Matsuoka's efforts to prevent the situation from worsening relations with the United States more than necessary and expanding into a head-on collision between Japan and the United States. Summarizing the above, we can understand Matsuoka's policy toward the United States as follows. With Japan facing the serious challenge of solving the Sino-Japanese War problem, and the world-historical event of World War II, Matsuoka supported Germany's victory. He had a wartime diplomatic strategy to establish Japan's dominance in East Asia through Germany's victory. Matsuoka prefered to take time until the end of the war in Europe and guide the outcome of the war to develop in Japan's favor, to a direct military actiontoward southward in the situation of world war. Therefore, it can be understood in connection with his wartime diplomatic strategy that Matsuoka consistently opposed the Army's rapid military action toward Southeast Asia for it has possibility of a collision with the United States. However, his attitude to restrain US actions to help Germany win the war resulted in worsening US-Japan relations and failure to prevent their aid to the United Kingdom.

      • KCI등재

        전헌체제(典憲體制)의 운용과 원로(元老)의 정치적 활동 : 다이쇼(大正) 후기 섭정(攝政) 설치 문제를 중심으로

        안재익(Ahn, Jae-Ik) 일본사학회 2022 일본역사연구 Vol.57 No.-

        이 논문에서는 먼저 근대 일본의 섭정(攝政) 설치에 관한 규정이 어떻게 완성되었는지에 대해 살펴보고, 다음으로 다이쇼(大正) 천황의 건강 문제가 어떠한 정치적 공백을 가져왔는지에 대해 검토했고, 마지막으로 그러한 공백이 섭정 설치를 통해 어떻게 극복되었는지를 알아보았다. 섭정 제도를 만드는 과정에서 제도의 기안자들은 의회가 섭정을 비롯한 왕위 계승 문제 전체에 관여할 수 없도록 하고, 이 문제가 가능한 한 정치적 쟁점으로 부각되는 일이 없게 하도록 노력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이쇼 천황의 건강이 오랜 시간에 걸쳐 서서히 악화되어감에 따라, 섭정 설치 문제는 정치 문제로 비화되게 되었다. 다이쇼 후기 정부를 이끈 지도자들에게 있어서, 천황의 건강 문제는 황태자를 섭정으로 임명하는 것을 통해 극복될 수밖에 없는 것으로 인식되었고, 황태자의 혼인 문제와 같은 황실 내부 문제는 천황의 빈 자리가 정치 지도자들의 협력만으로는 완전히 채워질 수 없는 것임이 명백히 드러났다. 이에 일본 정부 지도자들은 섭정의 설치를 결의하였고, 1921(다이쇼 10)년 11월 25일, 황태자 히로히토(裕仁)는 섭정에 임명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과정에서 중대한 모순이 발생했다. 섭정 임명의 이유를 국민에게 설명하기 위해, 천황이 정무를 볼 수 없는 상태임을 10월 4일 이미 공표했음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수상을 임명한다는 중요한 결정이 강행되었던 것이다. 이를 통해 섭정을 임명할 정도로 천황의 상태가 좋지 않다는 사실과, 흐려진 판단력 하에서 수상 임명이라는 중요한 국무 행위가 이루어졌다는 사실이 서로 모순된다는 사실이 드러나게 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점은 논란으로 비화되지 않았고, 황태자의 섭정 임명은 그대로 국민들에게 받아들여졌다. 이렇듯 섭정 임명 과정이 정치적 쟁점으로 부상하지 않았던 것은 다음과 같은 이유에서였다. 첫째로, 섭정 설치 과정에서 보인 정부 지도자들의 정치적 지도력을 들 수 있다. 원로들과 하라 수상, 마키노 궁내대신 등 지도자들은, 미리 완성된 제도를 충분히 이해하고 이를 따라 매끄럽게 일을 처리하였으며, 섭정 설치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황족과 추밀고문(樞密顧問)들의 동의를 이끌어내는 데 성공했다. 두 번째는 황태자에 대한 여론의 기대와 지지를 이유로 들 수 있다. 유럽 순방을 통해 젊고 건강하며 국제적인 감각을 지닌 지도자로서의 이미지를 갖추게 된 황태자는, 국민들의 큰 지지를 받았다. 천황의 건강 문제가 사실로 드러난 상황에서, 황태자가 천황을 대신해 섭정으로 통치한다는 것에 대해, 반대 의견은 거의 없었다. In this paper, we first examined how the regulations on the establishment of a regent in modern Japan(攝政, Sessho) were completed, and secondly reviewed political vacuum which Emperor Taisho s(大正天皇) health problems brought, and finally looked at how such a gap was overcome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 regent. The creaters of Constitution tried to prevent the Congress from engaging in the entire issue of regency and succession to the throne. Nevertheless, as Emperor Taisho s health gradually deteriorated over a long period of time, the issue of regent installation became a political issue. The health problems of the emperor made it no choice but to nominate the Crown Prince Hirohito(裕仁) as a regent, and all leaders who led the late Taisho government, agreed to that. Therefore, Japanese government leaders decided to establish a regent, an on November 25, 1921, Crown Prince Hirohito was appointed. However, there was a problem during this procedure. Even though it had been already announced on October 4, that the emperor was unable to decide political affairs, in order to explain to the public the reason for the appointment of the regent, an important decision to appoint a new prime minister was enforced after that. This revealed that the emperor s condition worsened enough to appoint a regent, and that the important state affairs of the appointment of the prime minister were carried out under the Emperor’s blurred mentality, at the same time. But the crown prince s appointment as a regent was accepted by the Japanese people. The process of appointing a regent did not emerge as a political issue for the following reasons. First, we can point out the political leadership of government leaders shown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regent. The leaders fully understood the pre-completed system, followed it smoothly, and succeeded in obtaining the consent of the most important imperial family members and privy councilors(樞密顧問官) in establishing a regent. The second reason is public expectations and support for the crown prince. The crown prince, who gained an image as a next-generation leader with a young, healthy, and international sense through his trip to Europe, received great support from the Japanese people. With the emperor s health problems revealed to be true, few voices opposed the Crown Prince ruling as a regent on behalf of the emperor.

      • KCI우수등재

        미일 교섭의 개시 - 미일 양해안의 성립과 미 국무부 관료들의 대응 -

        안재익(Ahn Jaeik) 동양사학회 2021 東洋史學硏究 Vol.156 No.-

        In 1940, when France surrendered in Germany and the transition of World War II was greatly changed, the Japanese government tried to contributes to the victory of the German war through the Tripartite Pact, and to establish dominance to the whole East Asian region. The most important challenge for this was the solution of the Sino-Japanese War. Japan tried to keep Japan-China Basic Relations Treaty, and wanted to maintain political and economic dominance in the China continent after the end of the Sino-Japanese War. Meanwhile, the US government cooperated with the British, engaged in European battlefield to respond to the threat of Germany in the Atlantic Ocean, and they established a war plan to defeat Germany. In addition to Germany, the United States was prepared for the attacks of Japan, and established concurrent war performance plans over the Atlantic and Pacific, and shared it with the UK. Japan-US relationships were deteriorated by Tripartite Pact, a Military Alliance for the purpose of attack America, and America’s selecting the support for China and the strengthening of economic sanctions against Japan. In such a situation, American and Japanese people who have felt a sense of crisis are promoted between the intergovernmental dialogue for the Japan and US, and such efforts made US-Japan appreciation document established and Japan-US negotiations start. The John Doe Associates, a semi-official and a semi-civillian organization wrote US-Japan appreciation document. It shows that Japan will reduce the possibility of attacking US by she interprets Triparite Pack more generously. In order to solve the Sino-Japanese war problem, the US Government will promise to cooperate Japanese government, so she can maintain paramount status in the continental China. Most of the Japanese government officials were satisfied with the document, but the Matsuoka Yosuke Foreign Minister, who thought the Tripartite Pact is critical for Japan’s future, denied this ‘give-and-take’ proposal. Meanwhile, the bureaucrats in the Division of Far Eastern Affairs, thought that the expansion of Japan"s influence to Far East will infringe American national interests. And under the circumstance of World War II has broke out, they thought that it is possible that Japan launches additional military action to South East Asia. For this reason, they opposed to accept the contents of US-Japan appreciation document by John Do Associates. They thought that US government should not recognize Japan’s control over the Chinese continent, and it can not deter Japan"s additional military advance for regions other than China. Therefore, the bureaucrats in the Division of Far Eastern Affairs refuse to the ‘give-and-take’ proposal which presented in the document, and they claimed that the Japanese army should be withdrawn from the Chinese territory completely, and that after the end of the Sino-Japanese War, Japan"s influence to the China should be limited. As seen above, in the process of Japan-US negotiations that began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US-Japan appreciation document, the most important issue on the surface was a solution for the Sino-Japanese War problem. However, considering the historical meaning of this problem, disagreement between Japan and the US are not limited to only China"s continental area, but the entire order of the entire East Asia after the World war was over. Japan"s intentions was advancing southward to attain natural resources and maintaining the influence on the Chinese continent after the war was end. But the bureaucrats in the Division of Far Eastern Affairs understood Japan’s intention as an invasive and predatory policy, so their conclusion was that the US gervernment should stop Japan’s invasive policy. The bureaucrats in the Division of Far Eastern Affairs, including Stanley Hornbeck, opposed for American gevernment to yield China issues, and tried to deter Japan’s military advance to southward, from day April 9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