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제중심학습(PBL)기반 유아수학교육이 예비유아교사의 자기주도학습, 문제해결력 및 수학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안영혜,김정은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24 한국영유아보육학 Vol.- No.14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on Problem-Based Learning (PBL) on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self-directed learning, problem-solving abilities, and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The participants included 64 third-year students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a four4-year university, with 30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received PBL-based instruction and 34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who received traditional lecture-style instruction. The research procedure consisted of PBL problem development, pretesting, the experimental treatment, and post-testing.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using ANCOVA with SPSS (ver. 21.0).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PBL-based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self-directed learning. Second, PBL-based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regard to the overall problem-solving abilities of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though it was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problem recognition, analysis abilities, and feedback in certain sub-areas. Third, PBL-based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positively affected the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of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 KCI등재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건강성과 학교적응의 관계: 실존적 영적 안녕감과 자아탄력성의 순차적 매개 효과

        안영혜,허난설 한국청소년학회 2020 청소년학연구 Vol.27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piritual existential wellbeing and ego-resilience in the influence of adolescents' perceived family functioning on school adjustment.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660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living in Incheon and Choongcheongnam-do area.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2.0 and AMOS.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piritual existential wellbeing and ego-resilience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family functioning and school adjustment. Second, spiritual existential wellbeing and ego-resilience were mediated sequentially in the influence of adolescents' perceived family functioning on school adjustment. Third, single mediation effect of each spiritual existential wellbeing and ego-resilience were significant in the influence of adolescents' perceived family functioning on school adjustment. This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perceived family functioning and spiritual existential wellbeing of adolescents when seeking intervention to improve their school adjustment.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이 지각하는 가족건강성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영적 안녕감과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자료는 인천과 충청남도 지역에 재학 중인 중고등학생 660명에게서 수집되었다. 수집된 데이터의 분석은 SPSS 22.0 및 AMOS를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순차적 이중 매개효과의 개별 경로 유의성은 팬텀변수를 사용해 Bootstrapping 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가족건강성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실존적 영적 안녕감과 자아탄력성의 부분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가족건강성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실존적 영적 안녕감과 자아탄력성이 순차적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가족건강성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실존적 영적 안녕감과 자아탄력성의 순차적 매개효과 경로가 유의한 가운데, 실존적 영적 안녕감과 자아탄력성 각각의 단순 매개효과 경로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가족건강성과 실존적 영적 안녕감 측면에서 청소년들의 학교적응력을 높이기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COVID-19 상황에서 가정의 양육환경 및 양육스트레스가 자녀의 아동학대 노출 위험에 미치는 영향

        안영혜,김래은 국제차세대융합기술학회 2024 차세대융합기술학회논문지 Vol.8 No.4

        본 연구는 COVID-19 상황에서 가정의 양육환경과 부모의 양육스트레스 정도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이것 들이 자녀의 아동학대 노출 위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아동학대 예방을 위한 부모의 양육지원 서비 스 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C시의 영유아 교육기관에 재원 중인 영유아 학부모 250명을 연구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김지현 등이 개발한 3~5세 유아용 가정환경 척도, 서은미의 양 육스트레스 척도, 구경희와 홍영근의 아동학대 척도를 연구목적에 맞게 재구성한 연구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 료는 SPSS 2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Covid-19 상황에서의 양육 환 경과 아동학대는 부적인 상관관계 있은 것으로 나타났고 아동학대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Covid-19 상황에서의 양육스트레스와 아동학대는 부적인 상관관계 있은 것으로 나타났고 아동학대에도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COVID-19 상황에서의 양육환경은 부모들의 양육스트레스를 증가시키고, 이는 아동학대에도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COVID-19 펜데믹 상황으로 가정에서의 양육환경이 많은 변화가 있 었으나 아동학대 예방을 위해서는 긍정 양육문화 확산을 위한 개인적, 국가적 차원에서의 지속적 노력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parental support services to prevent child abuse by examining the child-rearing environment and the level of parenting stress at home in the COVID-19 situation and examining sub-factors of child-rearing environment and parenting stress that affect child abuse. It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finding solution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250 parents of young children enrolled in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in C city as the research subject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parenting environment and child abuse in the Covid-19 situation, and it was also found to have an effect on child abuse. Second, it was found that parenting stress and child abuse in the Covid-19 situation had a negative correlation and also had an effect on child abuse. Through thes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parenting environment in the COVID-19 situation increases parents' parenting stress, which affects child abuse. Due to the COVID-19 pandemic, there have been many changes in the parenting environment at home, but continuous efforts at the individual and national level are required to spread a positive parenting culture to prevent child abuse.

      • 일 지역 요양병원간호사의 임종간호수행 영향 요인

        안영혜,서순림 한국장기요양학회 2018 한국장기요양학회 추계학술대회자료집 Vol.2018 No.-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일 지역 요양병원간호사를 대상으로 임종간호수행, 공감역량, 임종간호장애요인, 연명의료태도의 정도와 임종간호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요양병원간호사의 임종간호수행 향상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방법: 대상자는 D광역시에 소재한 의료기관평가인증원으로 부터 인증평가를 획득한 200병상 이상의 요양병원에 근무하는 일반간호사로 210명을 편의 표집한 후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WIN24.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로,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요양병원 간호사의 공감역량은 5점 만점에 3.73(±.43)점이였으며, 임종간호장애요인은 5점 만점에 3.00(±.49)점, 임종간호수행은 4점 만점에 2.70(±.42)점, 연명의료 태도는 5점 만점에 3.37(±.39)점으로 나타났다. 요양병원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과 임종간호수행 정도는 연령(F=8.42 ρ=.000), 결혼(t=-3.234, ρ=.001), 종교(t=-3.239, ρ=.001), 총 임상경력(F=3.703, ρ=.026),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종간호수행과 공감역량(r=.654, ρ<.001)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임종간호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1단계 위계에서는 일반적 특성을, 2단계 위계에서는 독립변수를 투입하는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1단계 모형에서 근무형태가 3교대 인 간호사가 영향을 주는 것으로, 19%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2단계 모형에서는 공감능력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52% 설명력으로 나타났다. 결론: 요양병원 간호사의 임종간호수행 요인으로 공감역량이 가장 영향을 주는 요인이었으며, 그 다음으로 근무형태에서 3교대근무 간호사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를 토대로 요양병원간호사의 임종간호수행을 높이기 위하여 공감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를 제언한다.

      • KCI등재

        포토보이스를 활용한 놀이중심교육 운영사례연구

        안영혜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5

        A Case Study of Operating the Play-centeredEducation Using PhotovoiceYounghae A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 case of operating the play-centered education using photovoice with the focus on daily routin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To this end,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selected as 5 inservice teachers who are working at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A research method was advanced with the research procedure of photovoice, namely, 4 phases such as preparation stage, investigation stage, analysis stage, and sharing stage. The qualitative analysis was made on data such as photo materials, focus interview materials, and individual interview data that were collected through th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veryday life play was being performed during the daily routine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Second, a ready game was being played during the daily work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Third, a free play was being made during the daily schedule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likely helpful for understanding the play-centered education setting, which is being implemented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site, and for providing basic data. Key Words: Photovoice,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Play, Play-centered Education, Daily Schedule 포토보이스를 활용한 놀이중심교육 운영사례연구안 영 혜** 연구 목적: 본 연구는 포토보이스를 활용하여 영유아 교육기관에서의 하루일과를 중심으로 놀이중심교육운영사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이를 위해 영유아 교육기관에 근무 중인 현직교사 5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연구방법은 포토보이스 연구절차 즉 준비단계, 조사단계, 분석단계, 공유단계의 4단계의 진행되었으며, 이를 통해 수집한 사진자료, 포커스 인터뷰 자료, 개별면담자료 등의 자료를 질적 분석하였다. 연구 내용: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 교육기관의 하루일과 중에는 일상생활 놀이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둘째, 영유아 교육기관의 하루일과 중에는 준비된 놀이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셋째, 영유아 교육기관의 하루일과 중에는 자유로운 놀이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결론 및 제언: 본 연구결과는 영유아 교육현장에서 실행되고 있는 놀이중심교육 현장이해 및 기초자료 제공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핵심어: 포토보이스, 영유아 교육기관, 놀이, 놀이중심교육, 하루 일과 □ 접수일: 2022년 8월 29일, 수정일: 2022년 9월 26일, 게재확정일: 2022년 10월 20일* 이 논문은 2022학년도 창신대학교 교내연구비에 의해 연구되었음(창신-2022-023). ** 창신대학교 유아교육과 조교수(Professor, Changshin Univ., Email: ayh1018@cs.ac.kr)

      • KCI등재

        은유 분석을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장애인식 연구

        안영혜 구성주의 유아교육학회 2024 구성주의유아교육연구 Vol.11 No.1

        본 연구는 은유 분석을 통해 나타난 예비유아교사의 장애 및 장애 영유아 교사에 대한 인식유형을 살펴보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예비유아교사 85명을 대상으로 장애(장애 영유아 교사)는 (이)다. 왜냐하면 (이)기 때문이다.’로 문장을 완성하게 하는 개방형 질문지 조사를 하였고, 수집된 자료 분석은 Saban(2010)과 Saban 외(2006)의 연구절차에 따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장애에 대한 인식유형은 개인적 관점과 사회적 관점에 따라 개인적-한계 유형, 개인적-다양성 유형, 사회적-한계 유형, 사회적-지지 유형, 사회적-다양성 유형의 5가지 유형으로 나타났고 개인적-다양성 유형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장애 영유아 교사에 대한 인식유형은 긍정적 관점과 부정적 관점에 따라 긍정-보호역할 유형, 긍정-사회역할 유형, 긍정-교사역할 유형, 부정-사회역할 유형의 4가지 유형으로 나타났고 긍정-교사역할 유형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예비유아교사 양성과정에서 특수 관련 교과목 운영 방향 설정 및 장애인식 개선을 위한 예비유아교사 교육방향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는데 의의를 두고자 한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recognition type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regarding disabilities and teacher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rough metaphor analysis.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n open-ended questionnaire survey in which 85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completed sentence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following the research procedures of Saban (2010) and Saban et al. (2006).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personal and social perspectives, the recognition typ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regarding disability was divided into five types: personal limitation, personal diversity, social limitation, social support, and social diversity, where personal diversity appeared most frequently. Second, according to positive and negative perspectives, four recognition types were identified: positive protection, positive social, positive teacher, and negative social role types, of which the positive teacher role type appeared most frequentl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ignificant in providing basic data for the establishment of directions for the operation of special-related subjects and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to improve the awareness of disabilities i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training courses.

      • KCI등재

        영유아 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창의적 인성 간의 관계

        안영혜(An, Young-Hye),김형재(Kim, Hyoung-Jai),홍순옥(Homg, Soon-Ohk)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3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78

        본 연구는 영유아 교사를 대상으로 자아탄력성의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와 자아탄력성과 창의적 인성 간의 관계 및 자아탄력성이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영유아 교사의 질 향상을 위한 교사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부산시의 유치원과 어린이집 영유아 교사 3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 퍼센트, Cronbach"s α, 독립표본 t-검증, 일원변량분석, Scheffe 사후검증, Pearson 상관분석, 단순선형회귀분석, 단계적 다중선형회귀분석을 통하여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 교사의 자아탄력성은 근무기관의 유형과 학력에서는 분노조절, 결혼유무에서는 자신감, 낙관적 태도, 분노조절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연령에서는 모든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영유아 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창의적 인성 간의 관계는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영유아 교사의 자아탄력성은 창의적 인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자아탄력성의 하위요인 중 낙관적 태도와 대인관계 효율성이 창의적 인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분노조절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potential differences in ego-resilience of nursery and kindergarten teachers (who care for infants and children) depending on background factors, and examine possible associations between their ego-resilience and creative personality, as well as potential effects of ego-resilience on their creative personality, so that it could make reference materials available for educating those teachers to improve their quality. To achieve these goals, this study used a questionnaire survey on total 350 teachers who worked for nursery schools and kindergartens in Busan metropolitan city. Any valid data collected from the survey were analyzed in terms of frequency, percentage, Cronbach"s alpha (α),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Scheffe"s post-hoc test, Pearson"s coefficient of correlation, sim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this study could come to the following findings: First, in terms of the ego-resilience of nursery and kindergarten teachers, it was found that their anger control vari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workplace type and academic career; their self-confidence, optimistic attitude and anger control vari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marital status; and every subfactor of their ego-resilience vari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age. Secondly, it was found that the ego-resilience of infant and kindergarten teachers had significantly positive associations with their creative personality. Thirdly, it was found that the ego-resilience of nursery and kindergarten teachers had positive effects on their creative personality.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positive attitud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efficiency - two subfactors of ego-resilience - had positive effects on creative personality of teachers, but anger control had negative effects on their creative personality.

      • KCI등재

        놀이중심교육에 대한 장애유아 교사의 인식

        안영혜 ( Younghae An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유아 교사들의 놀이중심교육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P시의 D장애전문어린이집 교사 5명을 대상으로 오지연(2020)이 개발한 면담 질문지를 활용하여 심층면담을 실시하였고, 이를 통해 수집한 자료를 질적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첫째, 개정 누리과정과 장애 유아 놀이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은 높으나 일반 유아와는 달리 적용해야 한다고 하였다. 둘째, 장애유아들의 발달특성과 놀이상황에 따라 다양한 놀이지원과 교사역할수행을 하면서도 놀이중심교육에 대한 딜레마를 경험하였고 장애 특성에 따른 다양한 놀이 요구 및 지원 등의 어려움이 있었다. 셋째, 교사계획놀이 중심에서 장애유아 흥미중심의 놀이환경제공에 중점을 두었고 전문화된 장애유아 놀이중심 교육과정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으며, 성공적인 놀이중심교육 실행을 위해 현장중심의 지원체계 강화 및 학부모를 위한 놀이이해교육, 특수보육교직원 인력충원, 다양한 체험활동을 위한 예산지원 등의 정책적 지원을 요구하였다. 본 연구는 장애유아 교육현장에서의 개정 누리과정의 현장 적용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gure out the awareness of play-based education in child care teacher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by using the interview questionnaire developed by Oh (2020) targeting 5 teachers at D specialized child-care center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P city. The qualitative data that were collected through thi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is study, first, the awareness on the importance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and of the play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was high. But they perceived that it should be applied differently from general young children. Second, while performing various play support and teachers roles according to developmental characteristic and a play situation in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y experienced dilemma for play-based education, and there were difficulties in various play requests and support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abled. Third, in terms of centering on the teacher planning play, the offer of the interest-oriented play environment for disabled toddlers was emphasized. The necessity was perceived for the specialized play-based curriculum for disabled toddlers. and to implement the successful play-based education, a policy-based support was requested such as the strengthening of the field-centered support system, the play understanding education for parents, the recruitment of special child care staff, and the budget support for a variety of the experience activitie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helpful in providing basic data for the field application of the revised Nuri course in the educational field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