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고등학교 운동선수의 사회적 지지가 문제해결 능력에 미치는 영향

        안수운(Ahn Soo Woon),이철화(Lee Chul Wh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12

        본 연구는 중․고등학교 운동선수의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문제해결 능력과의 관 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사회적 지지와 문제해결 능력을 알 아보고, 사회적 지지에 따른 사회적 문제해결 능력의 정도를 측정하여 그 차이를 조 사 분석함으로써 중․고등학교 운동선수의 올바른 가치관 형성과 지도 육성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C도와 D광역시에 거주하고 있는 중․고등 학교 운동선수를 모집단으로 설정하고 비확률적 표본추출방법의 하나인 할당표집으 로 350명을 표집 하였다. 설문지의 타당성 확보를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을 이용하여 타당도 검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일원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중․고등학교 운동선수의 사회적 지지에 서 성별, 학교급별, 운동경력, 경기유형, 입상실적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인구통계 학적 특성에 따른 중․고등학교 운동선수의 문제해결 능력에서 학교급별, 운동경력, 경 기유형, 입상실적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지지에 따라 문제해결 능력에 영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적 지지는 문제해결 능력의 3개요인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정보적, 물질적 지지는 인지, 행동척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으며 정서적 지지는 인지 척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classified the social support into emotional, evaluative, informative and material support and the problem-solving ability into cognition scale, emotional scale and behavior scale in order to identify the relations between social support and problem-solving ability. Based on this, this study is aimed at providing basic material for the formation of correct value system and fostering of middle and high school athletes by investigating the social support and problem-solving ability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and measuring the degree of social problem-solving capacity in accordance with social support. To achieve the goal, a population was set with middle and high school athletes in C Province, D City. Among them, 350 students were selected in quota sampling which is one of 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s. The statistical methods used for this study ar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by the use of SPSS 18.0 statistics program.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investigated that the factors affecting social support of middle and high school athlete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zation were gender, school grade, exercise period, game type, winning a prize performance. Second, It was investigated that the factors affecting problem-solving ability of middle and high school athlete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zation were school grade, exercise period, game type, winning a prize performance. Third, social support made the significant impact on the formation of problem-solving ability. It was identified that evaluative support influenced all three variables of problem-solving ability. It was found that the informative support and material support influenced cognition scale and behavior scale. In addition, it was investigated that emotional support influenced cognition scale.

      • KCI등재

        남자 청소년의 미디어스포츠 관여경험과 운동몰입 및 학교생활적응의 관계

        안수운(Ahn Soo-Woon),이철화(Lee Chul-Hw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

        목적 이 연구는 남자 청소년의 미디어스포츠 관여경험이 운동몰입 및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간접적 스포츠 참여에 따른 올바른 운동몰입을 함양하도록 하여, 건강한 학교생활적응 뿐 아니라 사회생활에도 활력을 불어넣어 줌으로써 건전하고 건강한 학교생활 문화 및 원만한 인간관계 문화를 형성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2021년 C도에 거주하고 있는 남자 청소년을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해서 360명의 표본을 추출하여, 연구 목적에 적합한 351명의 유효 표본을 확보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설문지는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타당성을 확보였으며, 자료분석은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결과 첫째, 미디어스포츠 관여경험은 운동몰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학교생활적응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둘째, 운동몰입은 학교생활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셋째, 운동몰입은 미디어스포츠 관여경험과 학교생활적응 사이에서 완전 매개역할을 한다. 결론 연구결과를 토대로 남학생 청소년들은 미디어를 통해 스포츠를 간접적으로 접하면서 운동시 몰입감을 가져오며, 운동의 몰입은 학생들로 하여금 학교생활을 적응 하는데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causal relationship between media sports involvement experience, exercise flow and school life adjustment of male adolescents as an approach to improving male adolescents’ expectation for their future. Methods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 group of male adolescents living in Chung-buk Province was set up as a population in 2021 and 351 students were selected by using convenience sampling, and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Results First, media sports involvement experience has direct effect on exercise flow and no direct effect on school life adjustment. Second, exercise flow has direct effect on school life adjustment. Third, exercise flow has full mediation effect between media sports involvement experience and school life adjustment. Conclusions Combining these findings above, it was inferred that media sports involvement experience directly effects on exercise flow. exercise flow directly effects on school life adjustment and full mediation effect between media sports involvement experience and school life adjustment.

      • KCI등재

        체육전공대학생의 스포츠스타 이미지와 스포츠 자신감 및 스포츠 가치관의 구조모형 분석

        안수운(Ahn, Soo-W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5

        본 연구는 체육전공 대학생의 스포츠스타 이미지와 스포츠 자신감 및 스포츠 가치 관에 대한 인과관계를 분석하여 체육전공 대학생들의 긍정적인 스포츠 가치관 형성을 통하여 건전한 스포츠 인식 및 행복한 미래의 삶을 조성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C도와 D광역시에 거주하고 있는 체육전공 대학생을 모집단으로 설정하고 편의표본추출법(convenience sampling)방법을 활용하여 380명을 표집하여, 설문에 응답하지 않거나 불성실한 응답자를 제외한 후 총 340 명의 유효 표본을 확보한 후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한 연구도구로는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문항을 기초로 하여 이 연구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설문지의 타당성 확보를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과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ary factor analysis: CFA)을 이용하여 타당도 검사를 실시하였고, 자료 분석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 사용한 통계분석기법은 구조방정식 (structure equation modeling)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체육전공 대학생의 스포츠스타 이미지는 스포츠 자신감 및 스포츠 가치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체육전공 대학생의 스포츠 자신감은 스포츠 가치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체육전공 대학생의 스포츠 자신감은 스포츠스타 이미지와 스포츠 가치관 사이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the physical education major student’s sports star image, sports confidence, and sports value.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physical education major students who are attending schools in C and D metropolitan cities in 2018 were selected as the convenience sampling. After excluding incomplete survey forms, a total of 340 valid samples were analyzed. The statistical methods used for this study ar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tructure equation modeling analysi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hysical education major student s sports star image had a direct influence on sports confidence, and sports value. Second, the physical education major student s sports confidence had a direct influence on sports value. Third, the physical education major student s sports confidence had mediation influence between the sports star image and sports value.

      • KCI등재

        청소년의 미디어스포츠 몰입경험과 운동몰입, 운동정서 및 운동지속의 구조모형 분석

        안수운(Ahn, Soo-Woon) 한국사회체육학회 2016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0 No.6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the adolescence’s media sports flow experience, exercise flow, exercise emotion and exercise adherence.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male and femal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ho are attending schools in C and D metropolitan cities in 2014 were selected as the population and quota sampling was used to select a total of 12 middle and high schools, two each from every large city, small/medium city, and township selected. Then, a total of 600 samples, 50 each from every school, were extracted. After excluding incomplete survey forms, a total of 582 valid samples were analyzed. The statistical methods used for this study ar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tructure equation modeling analysi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dolescence’s media sports flow experience had a direct influence on exercise flow and no direct influence on exercise emotion and exercise adherence. Second, the adolescence’s exercise flow had a direct influence on exercise emotion and exercise adherence. Third, the adolescence’s exercise emotion did not have a direct influence on exercise adherence.

      • KCI등재

        배드민턴 동호회 초급자의 사회적 지지와 운동정서 및 대인관계능력의 구조모형 분석

        안수운(Ahn, Soo-W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7

        본 연구는 배드민턴 동호회 초급자의 사회적 지지와 운동정서 및 대인관계능력 대한 인과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심리적인 안정을 얻고 신체적으로는 건강함을 얻어 긍정적인 심리 상태를 함양하도록 하여, 동호회 생활 뿐 아니라 사회생활에도 활력을 불어넣어 줌으로써 건전한 스포츠 문화 및 건전한 인간관계 문화를 형성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C도에 거주하고 있는 배드민턴 동호회 초급자를 모집단으로 설정하고 편의표본추출법(convenience sampling)방법을 활용하여 374명을 표집하여, 설문에 응답하지 않거나 불성실한 응답자를 제외한 후 총 351명의 유효 표본을 확보한 후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한 연구도구로는 설문지이며, 설문지의 타당성 확보를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EFA)과 확인적 요인분석(CFA)을 이용하여 타당도 검사를 실시하였고, 자료 분석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 사용한 통계분석기법은 구조방정식(structure equation modeling)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배드민턴 동호회 초급자의 사회적 지지는 운동정서와 대인관계능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배드민턴 동호회 초급자의 운동정서는 대인관계능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배드민턴 동호회 초급자의 운동정서는 사회적 지지와 대인관계능력 사이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the badminton novice’s social support, exercise emotion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badminton novices who are residing in C metropolitan cities in 2019 were selected as the convenience sampling. After excluding incomplete survey forms, a total of 351 valid samples were analyzed. The statistical methods used for this study ar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tructure equation modeling analysi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badminton novice s social support had a direct influence on exercise emotion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Second, the badminton novice s exercise emotion had a direct influence on interpersonal competence. Third, the badminton novice s exercise emotion had mediation influence between the social support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 KCI등재

        고등학생의 운동몰입이 운동정서 및 운동지속에 미치는 영향

        안수운(Ahn Soo W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운동몰입과 운동정서 및 운동지속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이들 변인 간에 실질적으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C도에 거주하고 있는 고등학교 학생들을 모집단으로 설정하고 편의표집(convenience sampling)방법을 활용하여 292명을 표집 하였다. 설문지의 타당성 확보를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과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ary factor analysis: CFA)을 이용하여 타당도 검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일원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고등학생의 운동몰입, 운동정서, 운동지속의 차이를 살펴봤을 때 일부요인을 제외한 대부분의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운동몰입과 운동정서 및 운동지속의 관계에서 운동몰입은 운동정서와 운동지속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운동정서와 운동지속의 관계에서 운동정서 중 재미는 운동지속의 모든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긍지는 경향성과 강화성에, 성취는 가능성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how exercise flow, exercise emotion and exercise adherence of high school students on each other. To achieve the goal, a population was set with high school students in C Province. Among them, 292 students were selected in quota sampling which is one of 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s. The statistical methods used for this study ar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by the use of SPSS 18.0 and AMOS 18.0 statistics program.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exercise flow, exercise emotion, and exercise adherence, there was a difference in most factors except for several factors. Second, cognitive flow and behavioral flow, which are the subfactors of exercise flow, had an influence on exercise emotion and exercise adherence. Third, among the subfactors of exercise emotion, fun had an influence on exercise adherence, pride had an influence on tendency and improvement, and accomplishment had an influence on possibility.

      • KCI등재

        대학생의 장애인운동선수이미지와 장애수용태도 및 사회성의 관계

        안수운(Soo-Woon Ah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10

        목적 이 연구는 대학생의 장애인운동선수이미지와 장애수용태도 및 사회성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직·간접적으로 느끼는 장애인운동선수이미지에 따라서 긍정적인 장애수용태도를 함양하도록 하여 원만한 사회관계를 높일 뿐 아니라 일상생활에도 활력을 불어넣어 줌으로써 건전하고 건강한 운동 생활 및 사회생활 문화를 형성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2023년 C도에 거주하는 비장애 대학생을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해서 460명의 표본을 추출하여, 연구목적에 적합한 450명의 유효 표본을 확보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설문지는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타당성을 확보였으며, 자료분석은 다중회귀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결과 첫째, 대학생의 장애인운동선수이미지는 장애수용태도와 사회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둘째, 대학생의 장애수용태도는 사회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셋째, 대학생의 장애수용태도는 장애인운동선수 이미지와 사회성 사이에서 부분매개역할을 한다. 결론 연구결과를 토대로 직·간접적으로 장애인운동선수에 대해서 긍정적인 이미지를 떠올리는 대학생은 사회적, 신체적, 정의적인 측면에서 긍정적인 장애수용태도를 보이며 나아가 사회생활에 필요한 책임, 봉사, 사교, 활동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causal relationship between athletes with disabilities, disability acceptance attitude and sociality of university student as an approach to improving university student’ expectation for their future. Methods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 group of non-disabled university student living in C province was set up as a population in 2023 and 450 non-disabled university student were selected by using con-venience sampling, and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Results First, athletes with disabilities image has direct effect on disability acceptance attitude and sociality. Second, disability acceptance attitude has direct effect on sociality. Third, disability acceptance attitude has partial mediation effect between athletes with disabilities image and sociality. Conclusions Combining these findings above, it was inferred that athletes with disabilities image directly effects on disability acceptance attitude and sociality. disability acceptance attitude directly effects on sociality and partial mediation effect between athletes with disabilities image and sociality.

      • KCI등재

        배드민턴 동호인의 사회적 지지와 운동몰입 및 여가만족의 구조적 관계

        안수운(Soo Woon Ahn),이철화(Chul Wha Lee) 한국사회체육학회 2013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0 No.5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social support, exercise commitment and leisure satisfaction of badminton participants. For the study the 241 subjects were collected, who take part in badminton club. Social support, exercise commitment and leisure satisfaction scale were used for data collection of this study. The statistical methods used for this study ar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tructure equation modeling analysi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ocial support of the badminton participants had significant effect on exercise commitment. Second, social support of the badminton participants had not effect on leisure satisfaction. Third, exercise commitment of the badminton participants had significant effect on leisure satisfaction of badminton participants.

      • KCI등재

        실외스포츠 참여자의 사회적 지지와 문제해결능력, 대인관계능력 및 미래 삶 기대의 구조모형분석

        안수운(Ahn, Soo-W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8

        본 연구는 실외스포츠 참여자의 사회적 지지와 문제해결능력, 대인관계능력 및 미래 삶 기대에 대한 인과관계를 검증하여 실외스포츠 참여자의 행복한 미래 삶의 기대를 향상시키기 위한 사회적 지지의 역할과 원만한 사회관계의 형성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0년 7월부터 12월까지 C도에 거주하고 있는 실외스포츠 참여자를 모집단으로 선정하고 편의표본추출 방법을 이용하여 총 40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설문지는 확인적 요인분석(CFA)을 실시하여 타당성을 확보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구조방정식 모형분석(SEM)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외스포츠 참여자의 사회적 지지는 문제해결능력, 대인관계능력 및 미래 삶 기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둘째, 실외스포츠 참여자의 문제해결능력은 대인관계능력과 미래 삶 기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셋째, 실외스포츠 참여자의 대인관계능력은 미래 삶 기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넷째, 실외스포츠의 문제해결능력과 대인관계능력은 사회적 지지와 미래 삶 기대 사이에서 부분매개역할을 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discover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the outdoor sports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problem solving ability, interpersonal relations and future life expectation.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outdoor sports participation who were residing in C metropolitan cities in 2020 were selected as the convenience sampling. After excluding incomplete survey forms, a total of 400 valid samples were analyzed. The statistical methods used for this study wer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tructure equation modeling analysi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utdoor sports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has a direct effects on problem solving ability, interpersonal relations and future life expectation. Second, outdoor sports participation problem solving ability has no direct effects on interpersonal relations and future life expectation. Third, outdoor sports participation interpersonal relations has direct effects on future life expectation. Fourth, outdoor sports participation problem solving abil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 has a mediation effects between social support and future life expectation.

      • KCI등재

        여성 여가스포츠 참여자의 사회적 지지와 여가기술 및 생활만족의 구조모형 분석

        안수운(Ahn, Soo-W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7

        본 연구는 여성 여가스포츠 참여자의 사회적 지지와 여가기술 및 생활만족에 대한 인과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신체적인 건강함 뿐 아니라 심리적인 안정감을 얻어 긍정적인 심신의 상태를 함양하도록 하여, 가정생활 뿐 아니라 사회생활에도 활력을 불어넣어 줌으로써 건전한 스포츠 문화 및 건전한 인간관계 문화를 형성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19년 6월부터 12월까지 C도에 거주하며 여가스포츠에 참여하고 있는 여성들을 모집단으로 설정하고 편의표본추출법(convenience sampling)방법을 활용하여 360명을 표집하여, 설문에 응답하지 않거나 불성실한 응답자를 제외한 후 총 341명의 유효 표본을 확보한 후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한 연구도구로는 설문지이며, 설문지의 타당성 확보를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EFA)과 확인적 요인분석(CFA)을 이용하여 타당도 검사를 실시하였고, 자료 분석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 사용한 통계분석기법은 구조방정식(structure equation modeling)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여성 여가스포츠 참여자의 사회적 지지는 여가기술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성 여가스포츠 참여자의 사회적 지지는 생활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성 여가스포츠 참여자의 여가기술은 생활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부분 매개변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the women leisure sports participant’s social support, leisure skills and life satisfaction.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women leisure sports participants who are residing in C metropolitan cities in 2019 were selected as the convenience sampling. After excluding incomplete survey forms, a total of 341 valid samples were analyzed. The statistical methods used for this study ar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tructure equation modeling analysi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women leisure sports participant s social support has direct influence on leisure skills. Second, the women leisure sports participant s social support has direct influence on life satisfaction. Third, the women leisure sports participant s leisure skills has direct influence on life satisfaction, mediation influence between the social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