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모야모야병 환자의 뼈목동맥관 직경과 임상표현과의 관계

        안소현,송홍기,김철호,손종희,장민욱,최휘철,Ahn, So Hyun,Song, Hong-ki,Kim, Cheol Ho,Jang, Min Uk,Sohn, Jong-Hee,Choi, Hui Chul 대한임상신경생리학회 2016 Annals of Clinical Neurophysiology Vol.18 No.1

        Background: Moyamoya disease is characterized by a progressive stenosis or occlusion of the intracranial internal carotid artery and/or the proximal portion of the anterior cerebral artery and middle cerebral artery. Whether the onset time was childhood or adulthood, the bony carotid canal diameter might be different, but reflects the size of internal carotid artery passing through the bony carotid canal. In this study, we aim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bony carotid canal diameter and clinical manifestation. Methods: 146 consecutive patients diagnosed with moyamoya disease by brain imaging studies were included. We measured the diameter of a transverse portion of bony carotid canal on bone window of a brain computed tomography(CT) imag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ischemic or hemorrhagic stroke according to clinical manifestation. As a result, 115 patients were included. The Suzuki stage was used as criteria for disease progression. Results: Bony carotid canal diameter was $3.6{\pm}0.5$ (right) and $3.6{\pm}0.4$ (left) in the hemorrhagic stroke group, and $3.7{\pm}0.4$ (right) and $3.6{\pm}0.4$ (left) in the ischemic stroke group. The bony carotid canal diameter of the moyamoya vessels (3.6 mm) wa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non-moyamoya vessels (3.8 mm), significantly (p = 0.042).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collateral patterns and clinical manifestation in a comparison of both groups. Conclusions: In our stud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clinical manifestations and collateral patterns depend on the bony carotid canal diameter in patients with moyamoya diseas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clinical presentations of moyamoya disease are not related to the onset time of the disease.

      • KCI등재후보

        항콜린제(옥시부티닌)가 원발성 방광요관역류의 자연 소실에 미치는 영향

        안소현,심소연,이정원,조수진,이승주,Ahn So-Hyun,Shim So-Yun,Lee Jung-Won,Cho Su-Jin,Lee Seung-Joo 대한소아신장학회 2003 Childhood kidney diseases Vol.7 No.2

        Purpose : Unstable bladder has been known to be one of the reasons for the genesis and persistance of primary vesicoureteral reflux(VUR) in children. And treatment of unstable bladder by anticholinergic agent may contribute to the resolution of primary VUR. We evaluated the effect of an anticholinergic agent(oxybutynin) on the resolution of primary VUR in children with different toilet training and voiding functions. Methods : 152 children with persistant primary VUR after one year of follow up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oxybutynin group(n=59, oxybutynin 0.2 mg/kg twice daily) and the control group(n=93, no oxybutynin) at Ewha Womans University Mok-Dong Hospital from October 1996 to April 2002. The resolution rate of the VUR and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status of toilet training and voiding dysfunction were analyzed. Statistical analysis was done by the Chi-square test and a P-value of less than 0.05 was considered as significant. Results : VUR was resolved in 49.2%, improved in 20.3% and not changed in 30.5% in the oxybutynin group(n=59) which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o 45.2%, 16.1%, 38.7% in the control group(n=93), respectively. In the non-toilet trained young children, VUR was resolved in 50.0%, improved in 23.5% and not changed in 26.5% in the oxybutynin group(n=34) which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o 44.2%, 19.2%, 36.6% in the control group(n=52), respectively. In the toilet trained older children, VUR was resolved in 48.0%, improved in 16.0% and not changed in 36.0% in the oxybutynin group(n=25) which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o 46.3%, 12.2%, 41.5% in the control group(n=41), respectively. In the toilet trained older children with no voiding dysfunction, VUR was resolved in 33.3%, improved in 11.1% and not changed in 55.5% in the of oxybutynin group(n=9) which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o 53.6 %, 10.7%, 35.7% in the control group(n=28), respectively. In the toilet trained older children with voiding dysfunction, VUR was resolved in 56.3%, improved in 18.7% and not changed in 25.0% in the oxybutynin group(n=16), which looked higher than 30.7%, 15.4%, 53.9% in the control group(n=13), respectively, but thes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either. Conclusion : Oxybutynin was not effective in the resolution of primary VUR in non-toilet trained young children and toilet trained older children. Oxybutynin showed slightly higher tendency of reflux resolution in toilet-trained older children with voiding dysfunction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Judicious use of oxybutynin is required in selected older children with VUR and voiding dysfunction. 목적 : 불안정 방광은 소아에서 원발성 방광 요관역류를 생성하고 지속시키는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불안정 방광의 치료제인 항콜린제의 사용은 일차성 방광요관역류의 자연 소실율을 증가시킬 수 있으나 논쟁의 여지가 있어왔다. 저자들은 항콜린제인 옥시부티닌이 소변 가리기 훈련과 배뇨 증상이 각기 다른 소아에서 원발성 방광요관역류의 소실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법 : 1996년 10월부터 2002년 4월까지 이화의대 목동병원에 요로 감염으로 입원한 후 방광요관역류가 발견되고 1년 후 추적 검사에서도 소실되지 않은 15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옥시부티닌군(59명)은 옥시부티닌과 trimethoprim-sulfamethoxazole을, 대조군(93명)은 trimethoprim-sulfamethoxazole만을 투약했다. 방광요관역류의 소실율을 나이, 소변 가리기 및 배뇨 장애 유무에 따라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통계 분석은 Chisquare test를 이용하였고 P-값이 0.05 미만을 유의한 것으로 간주하였다. 결과 : 방광요관역류의 변화는 옥시부티닌군(59명)에서 소실 49.2%, 호전 20.3%, 무변화 30.5%로 대조군(93명)의 45.2%, 16.1%, 38.7%와 비교해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소변을 가리지 못하는 영유아에서 방광요관역류의 변화는 옥시부티닌군(34명)에서 소실 50.0%, 호전 23.5%, 무변화 26.5%로 대조군(52명)의 44.2%, 19.2%, 36.6%와 비교해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소변을 가리는 소아에서 방광요관역류의 변화는 옥시부티닌군(25명)에서는 소실 48.0%, 호전 16.0%, 무변화 36.0%로 대조군(41명)의 46.3%, 12.2%, 41.5%와 비교해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소변을 가리고 배뇨 장애도 없는 연장아에서 방광요관역류의 변화는 옥시부티닌군(9명)에서 소실 33.3%, 호전11.1%, 무변화 55.6%로 대조군(28명)의 53.6%, 10.7%, 35.7%와 비교해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소변을 가리나 배뇨 장애를 보이는 연장아에서 방광요관역류의 변화는 옥시부티닌군(16명)에서는 소실 56.3%, 호전 18.7%, 무변화 25.0%로 대조군(13명)의 30.7%, 15.4%, 53.9%와 비교해 소실되는 경향이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 옥시부티닌은 소변 가리기나 배뇨 장애와 관계없이 모든 소아에서 역류의 소실율에 미치는 치료 효과가 없었다. 배뇨 장애를 보이는 연장아에서는 역류의 소실율이 약간 증가되는 경향이 있었으나 유의하지 않았다. 원발성 방광요관역류에서 옥시부티닌은 배뇨 장애를 보이는 일부 연장아에서 신중하게 사용되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문체 번역하기

        안소현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4 번역문학 Vol.5 No.-

        소설 텍스트 번역의 아킬레스건은 번역텍스트가 소설로 읽혀져야 한다는 점이다. 단어 하나하나가 크게 어긋남 없는 대응을 하고 문장 구성 역시 원문 텍스트와 유사하여 텍스트의 외연적 정보가 틀리지 않게 옮겨졌다고 해도 이것이 소설로 읽혀지지 않는다면 실패한 번역일 수 밖에 없다. 소설의 감흥은 외연 정보와 더불어 작동하여 수신자의 의식과 정서에서 실현되는 내포 정보의 작용 없이는 가능하지 않다. 소설을 소설로서 작동하게 하는 이러한 내포 정보를 문체라고 부를 수 있을 것이다. 문체란 낱말 차원, 통사 차원, 문장 차원, 문장 이상의 차원에서 내포적 가치를 지닌 언어단위들의 빈도, 분포, 결합의 결과로서 생겨난다. 언어 단위들의 배열과 조직은 문장들의 리듬과 멜로디를 형성하고 텍스트의 개성과 어조를 만들어낸다. 그런데 문제는 출발어와 도착어는 단어나 어휘의 개별 내포가치는 물론이고 다른 단어와의 결속양태에 있어서 차이가 나며 그로 인해 번역텍스트에서도 문장의 음색, 속도감이 다르고 결국 텍스트의 문체 자체가 달라질 수 밖에 없다는 점이다. 결국 문체번역의 등가성에 접근하려면 문법적 구성이나 의미표현수단은 다르더라도 흡사한 연상과 감흥을 불러일으키는 방식을 취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다음에서는「평범한 물방울 무늬 원피스에 관한 이야기」에 실린 단편소설들을 중심으로 현대소설의 독역에서 대두되는 몇가지 문제점들을 논의하고자 한다. 합리적 외연정보만이 아니라 그 정보에 생명력을 불어넣어주는 문체가 함께 옮겨지도록 하려면 어떤 장애물들을 헤쳐가야 하는지 숙고함으로써 우리 소설을 좀더 깊숙히 들여다 보는 계기로 삼으려 한다.

      • KCI등재

        한국형 베일리 영유아 발달검사 3판 대근육 운동척도의 타당화 연구

        안소현,유은영,이순행 대한작업치료학회 2018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6 No.2

        목적 : 본 연구는 베일리 영유아 발달검사 3판 대근육 운동척도를 한국판(Korean-Bayley-Ⅲ; K-Bayley-Ⅲ) 으로 타당화하기 위하여 문항분석과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의 참여자는 생후 16일에서 42개월 15일의 영유아 1,764명으로, 지역 및 성별, 모의 학 력에 따라서 층화 표집되었다. 문항분석을 위하여 문항반응이론에 근거한 문항 난이도 분석과 고전검사 이론을 통한 문항 통과율을 분석하였고,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반분신뢰도를 이용한 내적일관성, 검 사-재검사 신뢰도, 평정자간 일치도를 살펴보았으며, 상호상관검증을 통해 수렴타당도와 변별타당도를 확인하였다. 결과 : 첫째, K-Bayley-Ⅲ 대근육 운동척도의 난이도를 조사한 결과, 총 72개의 문항은 원척도와 유사하 게 쉬운 문항에서 어려운 문항까지 비교적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있었다. 또한 시작점과 기저선 문항의 적절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월령 단계별 문항 통과율을 확인한 결과, 대부분의 월령 단계에서 시작점과 기저선 문항이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척도의 신뢰도 분석 결과, 대부분의 월령 단계에서 문항 내적일관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검사-재검사 신뢰도 및 평정자간 일치도도 높은 것으로 확인되 었다. 마지막으로 타당도 검증 결과, 대근육 운동척도는 운동척도와는 높은 상호상관을 보인 반면 언어 척도와는 중간 정도의 상호상관을 보여 수렴 및 변별타당도가 확보되었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K-Bayley-Ⅲ 대근육 운동척도가 한국 영유아의 대근육 운동발달을 평가하는데 타 당하고 신뢰로운 척도임이 입증되었다. Objective: This study verified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gross motor scale of Korean version of Bayley Scales of Infant and Toddler Development-Third Edition(K-Bayley-Ⅲ) through item analyses, validity, and reliability evidence. Methods: Date were obtained from a stratified sample of 1,764 infants and toddlers divided into 17 age groups, 16 days through 42 months 15days old, who reflected key demographic variables in the national population. Results: Firstly, the analysis of the degree of item difficulty indicated that items were appropriately placed in the order of difficulty. Most baseline items showed a 90% pass rate. Secondly, Inter-item consistency showed excellent levels and items were highly reliable in terms of test-retest reliability and inter-rater reliability. Thirdly, in terms of the construct validity, the Gross Motor Scale of K-Bayley-Ⅲ score revealed a high degree of correlation with the Motor composite score but a significant moderate correlation with the Language composite score, providing evidence of its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Conclusion: In this study, K-Bayley-Ⅲ gross motor scale was proved to be a valid and reliable measure for evaluating the development of gross motor in Korean infants.

      • 콩 균핵마름병에 대한 몇 가지 살균제의 방제 효과

        안소현,이찬영,이유노,김흥태 한국농약과학회 2021 한국농약과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21 No.11

        Macrophomina phaseolina에 의한 콩 균핵마름병에 방제 효과가 있는 살균제를 선발하기 위하여 한천희석법과 콩 포장 실험을 진행하였다. 작용기작이 다른 28종의 살균제를 선발하여 고사한 콩에서 분리한 M. phaseolina ASH20-001, Diaporthe longicolla DI20-001, Calonectria ilicicola CA20-008, Colletotrichum truncatum CT20-001에 대한 효과를 검정하였다. 분리한 4종의 병원균에 대해서 benomyl, pyraclostrobin, fluazinam, fludioxonil, metconazole, tebuconazole, prochloraz 등 7종의 살균제가 우수한 효과를 보였다. 그 중에서 콩에 등록되어 있는 benomyl(a.i. 50% WP, 나1)과 prochloraz와 tebuconazole의 합제(a.i. 25%+12.5% EC, 사1+사1), 그리고 균사생장 억제효과가 우수하였던 pyraclostrobin(a.i. 11% SC, 다3), fluazinam(a.i. 50% WP, 다5), fludioxonil(a.i. 20% SC, 마2), metconazole(a.i. 20% SC, 사1) 등 6종의 살균제를 선발하여 화성시 콩 포장에서 균핵마름병에 대한 방제 효과를 실험하였다. 모든 살균제는 a.i. 1.6g/1kg(종자)의 약량으로 종자 분의 처리하여 파종하였다. 각 처리구의 발병 정도는 발병주율을 조사하여 구하였으며, 조사 기간은 병이 발생하기 시작한 7월 20일부터 10월 1일까지 실시하였다. 살균제의 방제 효과는 각 처리구의 병 진전면적곡선(AUDPC)과 무처리구의 AUDPC와 비교하여 방제가를 계산하였다. 종자 처리한 benomyl, pyraclostrobin, fluazinam, fludioxonil의 균핵마름병에 대한 방제 효과는 31.3, 41.3, 19.9, 42.7%로 낮게 나타났지만, prochloraz/tebuconazole 합제와 metconazole의 방제 효과는 73.9%와 88.8%로 우수하였다. 하지만 종자 처리한 prochloraz/tebuconazole 합제와 metconazole 처리구에서 콩의 평균 발아율이 73.2%와 55.2%로 매우 낮았고, 콩의 생장까지도 심하게 억제하였다. 따라서 추후 선발한 살균제의 처리농도, 처리 방법 및 처리 횟수 등을 조절한 포장 실험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