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초등학교 1학년 학생의 단어 읽기 수준에 따른 단어 읽기 발달 양상

        안부영,윤준채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24 한국초등국어교육 Vol.78 No.-

        본 연구는 대구교육대학교에서 개발한 단어 읽기 검사 도구를 이용하여 대구광역시G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5월 초, 7월 초, 12월 중순 등 3차례 단어 읽기자료를 수집한 후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단어 읽기 정확도가 높은 집단은 검사 시기와 관계 없이 높은 단어읽기 정확도를 유지하고 단어 읽기 정확도가 낮은 집단은 12월에도 정확하게 단어 읽기를 완전히 수행하지 못하였다. 둘째, 단어 읽기 정확도 상 집단과 중 집단의 경우 5월초와 7월 초 사이에 단어 읽기 정확도 변화가 크게 일어나지만, 하 집단의 경우 7월초와 12월 중순 사이 즉 2학기에 변화가 커짐을 확인하였다. 셋째, 학습자의 수준과관계 없이 검사 참여자들은 자소-음소 불일치 단어를 대체로 읽기 어려워하였다. 특히시간이 흘러도 정확하게 읽기 수행 변화가 눈에 띄게 달라지지는 않았다. 넷째, 셋째와관련하여 자소-음소 불일치 단어에서도 고빈도 단어를 저빈도 단어에 비해 좀 더 잘읽었다. 다시 말해, 자소-음소 불일치 단어를 모든 집단이 다 잘 읽지 못하였으나 그럼에도 모든 집단은 고빈도 단어를 저빈도 단어에 비해 더 잘 읽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미루어 보아 초등학교 1학년 학습자들의 정확하게 읽기 능력을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단어를 반복적으로 노출하는 것이 필요하며 단어에 대한 자소지식을 가지게 하는 것도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get hints about the problems that currently appear in reading education. To do this, this study used a word reading test tool developed by Daeg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nd collected data three times, early May, early July, and mid-December. The test was conducted on first-year students of G Elementary School in Daegu Metropolitan City. This study suggest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students with high word reading accuracy generally showed high accuracy regardless of the timing of the test, while students in the lower group of word reading accuracy were not completed accurately in December when the first grade was completed. Second, the timing of the significant change in word reading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group. Third, learners at the upper and middle levels were able to read low-frequency words accurately, but learners at the lower level were not.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confirmed that one of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accurate reading of first-year elementary school learners is vocabulary familiarity.

      • KCI등재

        한국어 교육 제재로서 전래동화가 가지는 이점에 대하여

        안부영 한국국어교육학회 2010 새국어교육 Vol.0 No.86

        Korea society has changed toward multi-cultural society very rapidly, so it has to be develop t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 for children multi-cultural family. And it is very different that making the reason of multicaltural family. Therefore it must be classify according to how parents speaking Korean in fluency. The necessity of educating Korean culture helps the foreign learners to have more interest and understanding which cultivates intercultural. At the same time, it heads for the higher levels of communicating skill. This study propose that it is useful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multi-cultural children using Korean folk tale. It has four reasons that teach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multi-cultural children using Korean folk tale. first, Korean folk tale is similar with folk tale in other country. Second, it used to sentence repeatly. Third, a onomatopoeic word and a mimetic word used in Korean folk tale frequently. The last, multi-cultural children can easily analyze and understand the archetypes of Korean culture, values, and understandings reading Korean folk tale. 우리 사회가 빠른 속도로 다문화 사회에 접어 들어감에 따라 다문화 가정 자녀들의 한국어 교육에 대한 여러 가지 프로그램의 개발이 절실해졌다. 그런데 흔히 ‘다문화 가정’이라는 큰 틀에서 논의를 전개해 나가지만, 실제로 다문화 가정 은 형성된 배경이 매우 다르기 때문에, 보다 효율적인 교육적 처치를 위해서는 다문화 가정 자녀들을 세분화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부모 및 자녀의 한국어 유창성 정도에 따라 다문화 가정 자녀들의 유형을 분류하였고, 한국어 및 한국 문화에 미숙한 다문화 가정 자녀들을 대상으로 논의를 진행시켜 나가고자 한다. 다문화 가정 자녀들이 우리 문화나 사회에 적응하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 중의 하나는 바로 한국어의 습득이 잘 이루어지지 못하였기 때문인데 이는 단지 한국어를 유창하게 잘 하지 못해서만은 아니다. 언어는 사회의 반영물이므로, 언어를 유창하게 잘 한다는 것은 우리 사회에 대한 이해가 그만큼 높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다문화 가정 자녀들은 한국 문화를 낯설어 한다. 한국 문화를 입문하는 좋은 제재로서 본고에서는 ‘전래동화’를 제시하였다. 전래동화는 입에서 입으로 전해오는 옛이야기로, 그 원형이 분명치는 않으나, 다른 나라의 전래동화와 공통적인 화소가 많아 유사한 경우가 많다. 또한 이야기 구조나 문형이 반복적으로 사용되고, 의성어와 의태어가 이야기 주인공의 상황 속에서 자연스럽게 제시되는 점, 한국 문화를 나타내는 표현이나 어휘들이 많이 사용되는 점 등은 다문화 가정 자녀들이 한국 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기 때문에, 한국어가 유창하지 못한 부모를 둔 다문화 가정 자녀에게는 좋은 한국어 교육 제재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라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AFL(Assessment for learning)관점에서의 과정 중심 평가 개념 정립

        안부영 한국국어교육학회 2022 새국어교육 Vol.- No.131

        목적: 이 연구는 과정 중심 평가를 AFL(Assessment for learning)관점에서 살펴보고 과정 중심 평가 개념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연구되었다. 방법: 이 연구는 문헌 연구를 통해 과정 중심 평가와 AFL(Assessment for learning)관점을 평가 목적, 평가 대상, 평가 시기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결과: AFL(Assessment for learning)관점은 학생의 성취 수준 향상을 위해 교사의 교수 방법에 대한 적절한 변화 및 수정을 평가의 목적으로 보고 있으므로 평가의 대상이 교사와 학생 모두가 된다. AFL(Assessment for learning)관점은 또한 평가의 시기를 학습이 일어나는 전 과정이라고 보았다. 과정 중심 평가는 AFL(Assessment for learning)관점에 비해 학생의 성취 수준 파악을 그 목적에 두고 있고, 평가 대상을 학생으로 국한하였으며, 평가 시기를 수업 중으로 한정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 과정 중심 평가가 의미 있는 평가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 AFL(Assessment for learning)관점에서 얻은 시사점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의 비판적 읽기 교육 내용 구성 제언

        안부영 한국국어교육학회 2021 새국어교육 Vol.- No.129

        Purpose: This study was planned for critical reading education to observe how proficient readers are reading critically in real life. And then I would like to analyze the critical reading patterns of proficient readers and obtain educational suggestions based on this. Methods: To this, I asked 24 college students classified as relatively skilled readers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I provided them with writings of unknown origin. They were asked to describe all the ideas that came to mind while reading the article. Results: Colleg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generally put a lot of effort into reading the text and understanding the content. Surprisingly, they rarely performed critical reading activities related to the article. This study looked for contents related to critical reading in the 5th to 6th grades of the 2015 revised elementary school Korean language textbook. As a result, the textbook revealed that it did not provide sufficient learning content related to critical reading. Conclusion: This study argues that in order for readers to habitually perform critical reading in real life, textbook must provide more learning opportunities related to critical reading. In addition, this study argues that for this, it is necessary to reorganize the curriculum and textbook system. 목적: 이 연구는 성인 독자가 실제 생활에서 비판적 읽기를 어느 정도 수행하는지를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비판적 읽기 교육에 대한 제언을 하기 위해 계획되었다. 방법: 이 연구는 성인 독자인 대학생 24명을 대상으로 출처를 알 수 없는 글을 제공하고 그 글을 통해 비판적 읽기를 얼마나 수행하는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 결과를 바탕으로 현재 초등학교 국어교육에서 이루어지는 비판적 읽기 교육을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결과: 이 연구에 참여한 대학생들은 텍스트를 이해하기 위해 내용 확인과 관련한 생각은 많이 생성하였으나 비판적 읽기와 관련한 생각은 1인 평균 1.5개 정도로 떠올리는 것에 불과했다. 2015 개정 초등학교 국어 5~6학년군 교과서에서 찾은 비판적 읽기 교육 내용은 자료의 출처, 저자의 전문성 등에 대한 학습 기회를 제공하지 않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 실제 생활에서 비판적 읽기 교육이 텍스트에 대한 내용 확인만큼 습관적으로 행해지기 위해서는 교과서의 내용이 알맞게 구성될 필요가 있으며 또한 비판적 읽기 교육 내용이 전학년에 걸쳐 수시로 반복적으로 제시될 수 있도록 교육과정과 교과서 체제 개편이 필요하다.

      • KCI등재

        의견을 제시하는 글쓰기에 관한 효율적인 교과서 내용 구성 방안 -초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안부영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12 한국초등국어교육 Vol.50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design educational content elements Based on the results after teaching students about one of 2007 revised Language Arts Curriculum. Students were trained on three different occasions. In the first training,the researcher taught in textbooks to first grade students. As a result, the following points were found. Students were confused opinion and thought. And students did not find the proper evidence. So they are presented as follows: This is because the wrong. In the second training, the researcher advised students to think that information is of interest to a friend. And we must present it as a basis that there are many problems if you do not follow in my opinion. As a result, students generally performed well. But,some students are still not reasonable grounds presented like “if you keep it you will go to hell.” In the last training, the researcher advised students to think that “is it reasonable grounds to anyone?”Based on the results of education, the researcher suggested that the use of the term will clearly and have to focus on presenting a reasonable basis. 이 연구는 2007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중 하나인 ‘주변에서 일어난 일에대한 자신의 생각을 쓴다’를 학습자의 능력을 고려하여 효율적으로 내용을 구성하는것에 초점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에게 지도한 후 그결과를 분석하였으며,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내용도 면밀히 살피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가장 큰 목적인 실제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은 자신의 의견을 제시하는글쓰기를 어떻게 수행하는가에 대한 내용은 3장에서 기술하였다. 연구자는 세 차례에 걸쳐 학생들을 지도하였고 학생들이 쓴 글을 분석하여 어떤 순서와 내용으로 교과서 내용을 구안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의를 계속하였다. 이것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이 성취기준과 관련한 교육 내용을 과정 중심 글쓰기와 관련한 교육 내용, 글쓰기 흥미와 관련한 교육 내용, 의견을 제시하는 글쓰기와관련한 교육 내용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