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기종결 경험에 대한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 내담자의 경험을 중심으로

        심해영,한영주 한국상담학회 2016 상담학연구 Vol.1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stitute an understandable the clients’ subjective experiences with premature termination in counseling through observation and interpretation about how clients perceive premature termination in counseling and what premature termination means to them.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7 clients who had experienced premature termination of counseling. The interpretative phenomenological analysis approach was used to data collection, data analysis and data interpretation. The following is a summary of results drawn from the study.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premature termination in counseling as clients on the themes of “drifting between expectation and disappointment,” “repeat the hiding pattern without expressing inconvenience they felt in relationships,” “remaining in a struggle to solve their tasks,” and “being in a process of forming new meanings." The present study holds its significance in that it regarded clients in counseling as the agent of change by looking at the humans that interact dynamically rather than the target to be changed by the counselor, described and interpreted their subjective experiences with premature termination in the contexts of their lives, and used many different materials to assist those interpretations, thus promoting the deep, specific understanding of clients' experiences with premature termination. 본 연구는 상담에서 조기종결을 경험하는 내담자가 조기종결이라는 현상을 어떻게 인식하며, 조기종결 경험은 이들에게 어떠한 의미를 갖는가에 대해 탐구하고 해석함으로써 내담자의 관점으로 조기종결이라는 현상을 이해 가능한 구조로 구성해내고자 하였다. 상담의 조기종결을 경험한 7명의 내담자들이 연구에 참여했으며, 해석학적 현상학 분석절차에 따라 자료의 수집과 분석, 해석과정이 진행되었다. 분석 결과, 참여자들은 상담의 조기종결 과정에서 첫째, ‘기대와 실망 사이에서 표류’하는 경험을 했으며, 둘째, ‘표현하지 못한 채 묻어두는 패턴의 반복’을 경험한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셋째, 상담을 조기종결로 마무리한 후에도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와 씨름’하는 주관적 경험을 했으며, 넷째, 조기종결 경험을 통해 변화된 내가 내 삶의 주체로서 ‘새로운 의미를 만들어감’의 과정을 경험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상담에서 내담자를 변화의 대상이 아닌 변화의 주체로서 역동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인간으로 바라보고 그들의 삶의 맥락 속에서 주관적인 조기종결 경험을 기술하고 해석하였으며, 이러한 해석을 도울 수 있는 여러 자료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내담자의 조기종결 경험에 대해 구체적이고 깊은 이해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척추체간 유합케이지의 스파이크형상 변화에 따른 척추체의 응력분포 및 케이지의 안정성에 대한 수치적 해석

        심해영,김철생,오재윤 대한의용생체공학회 2004 의공학회지 Vol.25 No.5

        척추체간 유합케이지의 성능평가에 있어서 압축강도와 상대적인 3차원적 안정성 그리고 골유도를 촉진시킬 수 있는 형상은 성공적인 골유합의 정도를 판가름 할 수 있는 중요한 척도이다. 새로 고안된 박스형 유합케이지 스파이크의 형상변화에 따른 척추체의 골단판에 미치는 응력분포 양상과 케이지의 안정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압축하중 작용 초기에 스파이크 끝딘과 골단판이 접촉하는 경우와 스파이크가 골단판에 삽입되었을 경우를 구분하여 스파이크의 높이, 폭 및 각도를 변화시켜 가면서 유한요소 해석을 실시하여 고찰하였다. 유합케이지 2개가 척추체간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수직하중 1700N이 가해질 때 척추체 골단판에 전달되는 응력분포를 조사하였으며, 전, 후방향으로 케이지 하나에 100N의 pull out하중을 부과하여 케이지의 스파이크 형상변화에 따른 미세이동 정도를 비교 평가하였다. 그 결과, 척추체 골단판의 응력 집중 정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케이지스파이크 끝단 폭의 크기이며, 케이지 스파이크의 높이 및 각도의 변화는 스파이크 끝단과 접촉하는 척추체 골단판에 미치는 응력 정도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스파이크 경사면 각도조절 및 양방향혼합형의 대칭 배열을 통하여 전후방향 pull-out하중에 대한 변위량을 저감시킬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척추체에서의 응력집중을 피할 수 있고 케이지의 초기 접촉시 골단판의 파괴를 방지하고 골유합에 유리한 케이지 스파이크 형상을 설계하였고, 케이지 치환술 후 운동시 전후방향으로 이동을 최소화하여 기계적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새로운 척추체간 유합 케이지의 최적 형상을 제안하였다. The axial compressive strength, relative 3-D stability and osteoconductive shape design of an intervertebral fusion cage are important biomechanical factors for successful intervertebral fusion. Changes in the stress distribution of the vertebral end plate and in cage stability due to changes in the spike shape of a newly contrived box-shaped fusion cage are investigated. In this investigation, the initial contact of the cage's spikes with the end plate and the penetration of the cage's spikes into the end plate are considered. The finite element analysis is conducted to study the effects of the cage's spike height, tip width and angle on the stress distribution of the vertebral end plate, and the micromigration of the cage in the A-P direction. The stress distribution in the end plate is examined when a normal load of 1700N is applied to the vertebra after inserting 2 cages. The micromigration of the cage is examined when a pull out load of l00N is applied in the A-P direction. The analysis results reveal that the spike tip width significantly influences the stress concentration in the end plate, but the spike height and angle do not significantly influence the stress distribution in the end plate touching the cage's spikes. In addition,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micromigration of the cage can be reduced by adjusting the spike angle and spike arrangement in the A-P direction. This study proposes the optimal shape of an intervertebral fusion cage, which promotes bone fusion, reduces the stress concentration in a vertebral end plate, and increases mechanical stability.

      • KCI등재후보

        감각정보의 차이가 운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정량적 분석

        홍철운,심해영,박찬희,김남균 대한의용생체공학회 2002 의공학회지 Vol.23 No.2

        본 연구는 감각-운동 통합의 관점에서 다양한 시각 자극에 의하여 생체 내에 입력된 각기 다른 감각 정보가 운동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특히 보색 관계의 시각 자극이 이에 대한 운동의 반응시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관심을 두었다. 실험은 20세에서 25세 사이의 20대 성인 남녀 각각 10명을 대상으로 자체 제작한 방음 암실에서 수행하였다. 실험 장치는 디스플레이 판넬, 시각 자극을 위한 고휘도 LED 그리고 자극에 대한 반응시간 검출을 위한 키보드 스위치로 구성하였다. 지금까지의 많은 연구들은 감각 정보의 차이가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평가나 색채 자극에 의한 감각 수용기의 반응의 강도의 차이를 연구하는데 머무르고 있으며 색채 환경에서의 감각-운동 협응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다양한 시각 자극 환경에서 운동의 반응 시간을 계측함으로써 감각과 운동의 관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보색 관계의 시각 자극에 대한 반응시간이 동일한 색채 환경 하에서의 반응시간 보다 빠르고 동일 색채 자극 환경에서는 빛의 파장의 크기에 반비례하여 반응속도가 나타나는 결과를 얻었으며 통계적 분석(p<0.05)을 통해서 유의성도 검증되었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different sensory information on the motor function which is resulted from visual stimuli. Particularly, it was focused on the effect of complementary color stimuli on reaction time. Twenty volunteers(10 men & 10 women), between the age of 20 and 25 yearn participated in this experiment.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in a light & sound-attenuated chamber, and the overall system consisted of a PC. interface card. LEDs. key board switch, and display panel. Although many measurements of sensory-motor integration has been studied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sensory-motor integration has not been developed well. Quantitative analyses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different sensory information on the arm motor system in the point of view sensory-motor integration. The result showed that the reaction time for visual stimuli of complementary colors was faster than that under same color environments : and, in same color environments and the reaction speed was varied inversely with respect to the magnitude of the light waveleng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