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코로나19 전후 사교육 참여 격차 실태 분석: 학교급별 차이를 중심으로

        심재휘 한국교육사회학회 2023 교육사회학연구 Vol.33 No.4

        This study analyzed trends in shadow education participation and disparities by socio-economic status among K-12 students, and drew educational implications based on merged the data from the ‘Shadow Education Expenditure Survey for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from 2017 to 2022. To do so,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with the monthly shadow education expenditure as the dependent variable. In the process, any changes in participation in shadow education before and after 2020, when lock-down measures were tightened due to COVID-19, were not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verage monthly cost of shadow education has been increased and the gap by socio-economic status has been widened. Meanwhile, there was a temporary decrease in the average and the gap of shadow education cost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2020. In contrast to other school levels, participation in shadow education for child care purposes in addition to learning is common in elementary school. However, when the type of participation in shadow education was limited to knowledge-based subjects for learning purposes, the effect of lock-down measures due to COVID-19 was found to lose statistical significance also in elementary school. The need for a rigorous diagnosis of the widening gap in shadow education participation and the need for different policy approach depending on the type of shadow education participation was discussed.

      • KCI등재

        고등학생의 가정 및 학교 내 사회자본과 입시에서의 사회적 약자 우대에 대한 태도: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심재휘,김솔,김경근 한국교육사회학회 2020 교육사회학연구 Vol.30 No.2

        Drawing on public opinion data on Korean adolescents’ perception on the socially disadvantaged collected in 2018 by the Center for Social Cohesion Education, we examin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socio-economic background, social capital in the family and at school, academic achievement, meritocratic attitudes, caring attitudes towards the socially disadvantaged, and attitudes toward affirmative action in college admissions among high school students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ur SEM results exhibited that socio-economic background has little impact on attitudes toward affirmative action in college admissions. In contrast, academic achievement, meritocratic attitudes, and the caring attitudes towards the socially disadvantaged are found to have a direct effect on attitudes toward affirmative action. While trust in teachers, peer relationships, and parent-child relationships, which represent social capital in the family or at school, do not have a direct effect on attitudes toward affirmative action, they all prove to exert an indirect effect on attitudes toward affirmative action via the caring attitudes towards the socially disadvantaged. Based on the major findings, we discussed briefly implications and policy suggestions that can enhance attitudes toward affirmative action in college admissions. 본 연구는 2018년 고려대학교 사회통합교육연구소가 수집한 ‘사회적 약자 배려에 대한 인식 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고등학생의 사회경제적 배경, 가정 및 학교 내 사회자본, 학업성취, 사회적 약자 배려 성향, 실력주의 태도, 입시에서의 사회적 약자 우대에 대한 태도 사이의 관계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살펴보았다.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결과는 고등학생의 사회경제적 배경 자체는 입시에서의 사회적 약자 우대를 바라보는 태도에 아무런 영향을 끼치지 않는 것을 보여주었다. 반면 학업성취, 사회적 약자 배려 성향, 실력주의 태도는 입시에서의 사회적 약자 우대에 대한 태도에 유의미한 직접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가정 및 학교 내 사회자본을 대변하는 교사에 대한 신뢰, 교우관계, 부모와의 관계는 입시에서의 사회적 약자 우대에 대한 태도에 직접적으로는 영향을 끼치지 않지만, 사회적 약자 배려 성향을 매개로 간접효과를 행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주요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논의하고 입시에서의 사회적 약자 우대에 대한 태도의 전향적 변화를 가져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정책대안을 간략하게 제시하였다.

      • KCI등재

        자율형 사립고등학교 지정 확대가 고교유형 간 학업성취 격차에 끼친 영향

        심재휘,김경근 한국교육사회학회 2017 교육사회학연구 Vol.27 No.4

        Drawing on first and fourth wave data from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SELS), we examined the effects of autonomous private high school expansion on the achievement gap between students of different types of high schools, using difference in differences(DID). Results showed that gender, previous academic achievement, parental education, parental expectation for student’s educational attainment are closely related to student’s likelihood of attending a special-purpose high school or an autonomous private high school. In addition, the more a student considered the characteristics of a good school, the more likely she/he was to attend the schools listed above. Next, we compared the pre-expansion cohort and the post-expansion cohort in order to identify those who would attend a special-purpose high school or an autonomous private high school because of the expansion but would not otherwise (compliers). We, then, compared changes in compliers’ academic achievement with changes in academic achievement of two control groups (i.e. always-takers and never-takers). We found that students from special-purpose high schools and autonomous private high schools showed higher achievement than those students from general high schools, which was mostly explained by differences in family background between those students attending different types of high schools. We also observed that the qualitative differentiation occurred among the individual special-purpose high schools and general high schools following the expansion of autonomous private high schools. Based on the results, we discussed briefly policy measures for bridging the achievement gap. 본 연구는 서울교육종단연구(SELS) 1차년도 및 4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자사고 지정 확대가 상이한 유형의 고등학교에 진학한 학생들 간 학업성취 격차의 변화에 끼친 영향을 살펴보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반복 횡단면 자료를 이용한 이중차분법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성별, 중학교 3학년 시기 학업성취, 부모 교육수준, 부모 기대교육수준이 특목고/자사고 진학 가능성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고, 고교선택 시 학교 특성을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학생의 특목고/자사고 진학 가능성이 높았다. 다음으로 자사고 지정 확대 이전이나 이후 모두 일반고에 진학할 개연성이 있는 집단(비활용집단), 자사고 지정 확대 이전에는 일반고에 진학하지만 지정 확대 이후에는 특목고/자사고에 진학하는 집단(기회순응집단), 해당 정책과 무관하게 특목고/자사고에 진학할 경향이 있는 집단(항시선택집단)으로 구분하여 자사고 지정 확대에 따른 교육격차 변화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특목고/자사고 진학을 선택한 학생들이 일반고 학생들에 비해 학업성취도가 높았는데, 이 같은 학업성취 격차는 대부분 상이한 유형의 고교에 재학 중인 학생들의 가정배경 차이에 의해 설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특목고/자사고가 일반고에 비해 갖는 학업성취에서의 우위가 주로 선발효과에 기인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한편 자사고 지정 확대는 특목고 및 일반고의 학교 간 편차가 심화되는 결과로 이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정책적 시사점을 간략하게 논의하였다.

      • KCI등재

        누가 캥거루족이 되는가 : 청년층의 경제적 자립 격차 분석

        심재휘,이명희,김경근 안암교육학회 2018 한국교육학연구 Vol.24 No.4

        Drawing on third to nineteenth wave data from the Korean Labor & Income Panel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ociodemographic factors on the onset of economic selfreliance of youth using discretetime survival analysis. Results exhibit that economic selfreliance of young people has become more difficult in recent years than in the past, and that the likelihood of onset of economic selfreliance of young people goes up as age increases. For the cohort born between 1968 and 1975, the year of birth had an impact on the onset of economic selfreliance, but it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for the cohort born between 1976 and 1983. While gender and parental education had little to do with escaping from kangaroo tribe, household income, marriage, and employment tended to exert a significant effect on the timing of economic selfreliance. In the case of the cohort born between 1968 and 1975, living in Seoul rather than in a small city was quite advantageous for escaping from kangaroo tribe, but it proved to be a significant obstacle to economic selfreliance for the 19761983 cohort. The effects of the university's prestige on the timing of escaping from kangaroo tribe were rather negligible. However, the wage level was found to have a very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economic selfreliance of youth. 본 연구는 한국노동패널조사 3∼19차 데이터를 사용하여 청년층이 경제적 자립을 통해 캥거루족에서 탈피하게 되는 시점을 살펴보고 경제적 자립 시점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들을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비연속시간 생존분석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예전에 비해 근래에 청년층의 경제적 자립이 더 어려워졌고 경제적 자립을 이루게 될 개연성은 나이가 들수록 추세적으로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적 자립 시점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들을 살펴본 결과, 출생년도는 1968~1975년생 코호트에게만 유의미한 부적 효과를 발휘하고 1976~1983년생 코호트에게는 의미 있는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 성별과 부모 교육수준은 캥거루족에서 벗어날 개연성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 반면, 가구소득, 결혼과 취업은 경제적 자립 시점을 앞당기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거주는 1968~1975년생 코호트에게는 경제적 자립에 상당히 유리하게 작용했지만, 1976~1983년생 코호트에게는 경제적 자립에 걸림돌이 되는 것으로 드러났다. 출신 대학의 위세가 경제적 자립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했다. 하지만 취업자 청년에게 임금수준은 경제적 자립 시점에 결정적 영향을 끼쳤다.

      • KCI등재

        태양광 모듈의 미스매치를 고려한 새로운 최대전력 추종제어 알고리즘 연구

        심재휘,최주엽,최익,이상철,이동하 한국태양에너지학회 2012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Vol.32 No.3

        The maximum power point tracking(MPPT) is important part pf PV generating system, because of nonlinear characteristic of PV array. Many MPPT algorithms have been developed and proposed, but partially shaded in PV generating system, these algorithms can not track maximum power point. This paper explains the partially shaded conditions in the PV generating system and describes a novel new MPPT algorithm. To verify the proposed novel algorithm, PSIM simulation tool is used in this paper, and proper 3kW PV module modeling is made. As a result, the right maximum power point(MPP) of PV PCS can be tracked directly under shading effect for any mismatched condition in solar arr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