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방전플라즈마소결법으로 제조된 $ZrB_2$-ZrC 복합체의 결정립 방위분포 및 결정입계의 특성

        심승환,김경훈,심광보,Shim, Seung-Hwan,Kim, Kyoung-Hun,Shim, Kwang-Bo 한국세라믹학회 2001 한국세라믹학회지 Vol.38 No.10

        새로운 소결법인 방전플라즈마소결법(SPS: Spark Plasma Sintering)으로 제조된 $ZrB_2$-ZrC 복합체의 결정립 방위분포 및 결정입계의 특성을 EBSP(Electron Back-Scattered Pattern)법으로 분석하여 상압소결법(PLS, Pressureless Sintering)에 의한 시편과 비교하였다. 방전플라즈마 소결법으로 제조된 시편의 $ZrB_2$ 결정립은 상압소결된 시편과는 다르게 (0001)면이 시편표면에 수직한 배향(normal direction)을 나타냈으며, ZrC 결정립은 두 경우 무질서한 배향을 나타냈다. 결정입계 특성 분석에서 low angle $(<15^{\circ})$의 분포는 상압소결법인 경우 전체 입계 중 약 10%, 방전플라즈마 소결법은 8%로 두 소결체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CSL(Coincident Site Lattice) 입계의 분포에서는 방전플라즈마 소결법으로 제조된 복합체에서 $\Sigma$ 3,5,7,9,11의 CSL 분포가 상압소결법에 비해 높은 분율을 나타냈다. The grain orientation distribution and grain boundary characterization of $ZrB_2$-ZrC composites sintered by a SPS(Spark Plasma Sintering) method, a new sintering technique were analyzed by the EBSP technique and then their crystallographic results have been compared with those of a sintered specimen using a PLS(Pressureless Sintering) method. In the $ZrB_2$-ZrC composite manufactured by SPS, (0001) planes of $ZrB_2$ were oriented in the direction normal to the specimen surface. In the case of PLS, those of $ZrB_2$ were oriented normal to the electron beam. In both cases of PLS and SPS, ZrC grains had the randomly oriented grain structure. The grain boundary characterization showed that low angle grain boundaries in the PLS and SPS processed materials constituted about 10% and 8% of the total number of boundaries, respectively, represented the only slight difference between the proportion of low angle grain boundary. However, in the distribution of CSL(Coincident Site Lattice) boundaries, it was shown the higher proportion of CSL boundaries with $\Sigma$ 3,5,7,9, 11 in the SPS processed material.

      • KCI등재

        방전 플라즈마 소결법으로 제조된 silicon boride 세라믹스의 열전 특성

        심승환,이대웅,채재홍,심광보,Shim, Seung-Hwan,Lee, Dae-Woong,Chae, Jae-Hong,Matsushita, Jun-Ichi,Shim, Kwang-Bo 한국결정성장학회 2005 한국결정성장학회지 Vol.15 No.2

        본 연구에서는 고온 융점과 높은 Seebeck 계수로 인해 고온 열전 재료로서 매우 우수한 silicon boride ($SiB_6$)의 고밀도 소결체를 방전 플라즈마 소결법(spark plasma sintering, SPS)을 도입하여 제조하였으며, 소결된 시편의 미세구조 및 열전 특성을 평가하였다. $1500^{\circ}C$의 비교적 저온에서 이론 밀도의 약 99%의 소결밀도로 SPS법을 통해 효과적으로 $SiB_6$를 치밀화 할 수 있었으며 이들 시편들의 열전특성 평가로부터, hot-press법으로 제조된 시편과 비교하여 매우 향상된 Seebeck 계수를 얻을 수 있었으며 상대적으로 높은 출력인자 값을 나타냈다. Silicon boride ($SiB_6$) is very promising for use as thermoelectric materials at high temperature because of its high melting point and relatively large Seebeck coefficient. In the present work, spark plasma sintering (SPS) was applied for preparing dense $SiB_6$ ceramics, and their thermoelectric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together with their microstructural evaluation. The SPS process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densifying a $SiB_6$ ceramic, typically 99 % of the theoretical density at low temperature of $1500^{\circ}C$. In comparison with $SiB_6$ specimen prepared by hot-pressing, the SPS-processed specimen exhibited the significantly improved Seebeck coefficient, resulting in the higher power factor.

      • KCI등재

        로자의 ‘울림(resonance)’ 이론을 통한 현대사회의 비판적 분석과 교육적 방향 고찰

        심승환(Shim, Seung Hwan) 한국교육사상학회 (구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21 敎育思想硏究 Vol.35 No.4

        본고는 갈수록 가속화되는 현대사회를 비판적으로 분석하면서 로자의 ‘울림(resonance)’이론을 통하여 이를 극복할 바람직한 교육적 방향을 고찰한다. 현대인들은 역동적 안정화와 경쟁의 구조적 요소에 의존하면서, 좋은 삶을 수행력의 양적 기준에 따름으로써, 도구적, 전략적 존재로 전락하게 된다. 이에 따라 현대인들은 자신, 타인, 세계로부터 소외를 경험한다. 좋은 삶은 인간과 세계의 다양한 차원의 관계망과 그 관계의 질에 달려 있고, ‘울림’은 주체가 상호 응답하는 세계에서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관계를 이끈다. 울림은 이질적 존재 간의 적응적 변화, 정체성 형성의 의지적 행위, 지속적이며 상호적인 만남이라는 점에서 유사개념인 조화, 관계, 심리적 만족 등과 구분된다. 학교는 세상의 문제에 대하여 성찰하도록 하며, 세상과의 관계에서 자신의 가치관을 형성하며, 적응적으로 세상을 변화시키는 울림의 공간이다. 학교는 울림의 축을 열거나 닫고 관계의 질을 형성시킨다. 그것의 성패는 교사와 학생과 교육내용 사이에 서로 다가가며, 감흥을 주며, 목소리를 내게 만드는 울림의 존재가 관건이다. 울림의 교육은 학습자에게 앞으로 마주하는 새로운 사물과 세상에 대하여 내재적 관심과 자아효능감을 가지고 접근하도록 할 것이다. This paper critically analyzes the increasingly accelerating modern society and examines the desirable educational direction to overcome it through Rosa s theory of resonance . Modern people become instrumental and strategic by relying on the structural elements of dynamic stabilization and competition, following the quantitative standards of performance. Accordingly, modern people experience alienation from themselves, others, and the world. A good life depends on the network of relationships between humans and the world at various levels and the quality of their relationship. Resonance leads to a continuous and stable relationship in a world where subjects respond mutually. Resonance is distinguished from similar concepts such as harmony, relationship, and psychological satisfaction in that it is adaptive change between heterogeneous beings, willful behavior of identity formation, and continuous and mutual encounters. School is a space of resonance that allows people to reflect on the problems of the world, forms their own values in relation to the world, and adaptively changes the world. Schools open or close the axis of resonance and form a quality of relationship. Its success or failure is the existence of resonance that approaches, inspires, and makes a voice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nd educational content. Resonant education will allow learners to approach new objects and the world facing in the future with intrinsic interest and self-efficacy.

      • KCI등재

        공자의 교육사상에 나타난 "배움(學)"과 "사고(思)"의 관계에 대한 고찰

        심승환 ( Seung Hwan Shim ) 교육철학회 2010 교육철학연구 Vol.47 No.-

        이 연구는 공자의 교육사상에 나타난 `배움(學)`과 `사고(思)`의 관계를 고찰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배움`과 `사고`는 교육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므로 이 두 개념을 분명히 밝히고 양자의 관계를 규명하는 일은 교육의 이론과 실제에서 반드시 필요한 일이다. 공자는 유학의 개창자이자 존경받는 교육자로서 한국 교육에 큰 영향을 미쳐 왔다. 따라서 공자의 교육사상을 통하여 배움과 사고의 관계를 고찰하는 것은 한국 교육현실에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이 연구는 배움의 목적, 내용, 방법을 통해 배움의 의미를 규명하고 이어 분별과 유추, 실천, 인격함양으로서의 사고의 특성을 고찰한 후 이를 종합하여 양자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배움과 사고의 관계는 첫째, 양자 모두 인격함양의 동일한 목적을 추구하며 이 목적을 위해 상호 협력·보완하며, 둘째, 양자는 덕행의 본받음과 반성을 병진함으로써 실천을 통해 상호 연결되고, 셋째, `조화`로서의 배움과 `권(權)`으로서의 사고는 `중용(中庸)`의 양 측면을 이루는 필연적 동반자 관계이다. 양자의 이러한 관계는 박학(博學), 독지(篤志), 절문(切問), 근사(近思)의 방법의 병행을 통해 입시위주 주입식 교육현실의 개혁에 중대한 함의를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and thinking in the educational thought of Confucius. Learning and thinking are very important concepts in education, so to study them and to highlight their relationship are necessary to educational theory and practice. Confucius is the founder of Confucianism and a great educator who has influenced Korean education. Therefore, it is significant to Korean education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and thinking through the educational thought of Confucius. This study examines the meaning of learning through goals, subjects and methods of it. Then it inquires the substance of thinking as discernment and inference, practice and building the moral person. Finally, it synthesizes them and highlights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and thinking.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and thinking is, first, to have the same goal of building the moral person and cooperate for it, second, to relates each other through practice by modeling moral behaviors and reflecting, third, to share the necessary partnership as the two sides of the Golden Mean. The relationship suggests the cooperative methods of learning broadly, willing sincerely, questioning critically and thinking practically, and it presents important implications to the Korean educational practice. First, learning broadly suggests going beyond fixed textbooks and the preparation of the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We should strengthen liberal curriculum such as literatures, philosophy and history. Students should utilize various materials and think them critically. Second, willing sincerely means to build a strong foundation of the will to learn voluntarily.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and thinking begins from the reflection of "Why do I learn?". The self-reflection of the reason of learning causes inner motivation and strong power to learn incessantly and pleasantly. Third, questioning critically means to examine subjects of learning critically and creatively. Teachers should guide students to question "Why?" "How?" "Other aspects?" in every subject. The critical and creative thinking ability will help good performances of projects in societies. Forth, thinking practically means to relate new knowledge with the former knowledge and to apply general theories to a particular situation. Teachers should help learners to understand subjects through their own experiences and viewpoints.

      • KCI등재

        개별성과 공공성의 종합으로서의 시민성 교육

        심승환(Shim, Seung Hwan)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8 敎育問題硏究 Vol.3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참된 시민성을 구현하는 시민교육에서 개별성과 공공성의 두 가지 핵심가치를 종합적으로 고찰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 주요한 문제는, 첫째, 시민성에서 개별성과 공공성은 각기 어떠한 의의를 지니고 있으며, 둘째, 그것을 실현하기 위한 시민교육은 어떠한 세부 내용과 방법들이 필요하며, 셋째, 개별성과 공공성은 어떤 관계이며 어떻게 조화적․종합적으로 함께 구현될 수 있는가 하는 점이다. 이러한 쟁점에 대하여 본문에서 먼저 개인의 권리와 자율성의 보장의 차원으로서의 개별성의 가치를 설명하였고, 이를 구현하기 위한 시민교육으로서 비판적 의식화, 합리적 자율성 및 비판적 사고 교육을 논의하였다. 다음으로, 본고는 사회의 공공 가치와 목적 인식 및 책임의식으로서의 공공성의 가치를 설명하였고, 이를 구현하기 위한 시민교육으로서 사회적 관행 참여, 공동체적․서사적 자아관, 심의 민주주의, 다문화의식, 세계시민의식의 함양 을 논의하였다. 결론적으로, 본고는 개별성과 공공성의 양자는 모두 ‘소외’의 문제의 극복이 핵심적 요건이라는 점, 개별성의 핵심인 권리와 공공성의 핵심인 책임은 상호 의존 및 보완 관계라는 점, 양자 모두 도덕적 가치관이 전제되어야 한다는 점, 어느 한 쪽의 지나친 강조는 다른 쪽의 약화가 일어나기에 중용을 모색해야 한다는 점을 논의하였다. 끝으로 본고는 개별성과 공공성의 종합으로서의 시민성 교육을 실현하기 위해선, 학교교육의 교과 및 비교과의 모든 활동이 훌륭한 사회적 관행, 비판적 사고, 심의 민주주의의 모델이 되어야 한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rehensively examine individualism and public nature as the key conceptual axis for civil and civil education. Citizenship, on the one hand, needs to ensure individual rights in connection with social inequality, discrimination and oppression, and to realize one s identity and ideal autonomously and subjectively.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one needs to understand and overcome problems regarding the irrational discrimination and oppression with critical consciousness, and to explore one’s proper direction of life, by thinking in rational reason, not just following emotions or external pressures, through rational autonomy and critical thinking. Citizenship, in another aspect, needs to recognize the public values and goals of society, have a sense of responsibility accordingly, and cooperate for the common prosperity of the community, through the inclusion of various positions needs of members. This requires an attitude of engaging in social practices in particular, recognizing one s own life in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community, and fostering the quality of deliberative democracy that democratically considers various views. In addition, we need education to cultivate a multicultural and global consciousness that can cooperate with each other while considering the positions and demands of different cultures and nations in response to the context of multicultural society and globaliz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ity and publicness in citizenship is the necessity of common basis for both through overcoming of alienation , the mutual dependence and complementary roles, the prerequisite of moral values for both, and the necessity of the way of golden mean in that the overemphasis on one side is to weaken the other. In order to cultivate the harmonious citizenship between the two, all curriculum in school education including subject teaching and various activities should be models of good social practices, critical thinking, and deliberative democracy.

      • KCI등재

        사회정의교육의 개념과 방향

        심승환(Shim, Seung-hwa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6

        본고는 한국교육계의 다양한 불평등, 부정의, 갈등의 현실에서 자유롭고 평등하며 배려하는 사회정의교육이 필요하다는 배경에서, 사회정의교육의 개념을 밝히고 사회정의교육의 방향을 큰 틀에서 제시하고자 한다. 본고는 사회정의가 어떤 특정한 관점과 주장으로만 실현될 수 없는 복합적·종합적인 이상이므로 사회정의교육의 개념은 다양한 이론과 관점을 종합하여야 한다고 본다. 따라서 본문에서는 먼저 사회정의와 관련된 다양한 이론들을 종합한 후 이를 바탕으로 핵심 준거를 도출하고 이에 근거하여 사회정의교육의 개념을 정의한다. 본고는 근본적으로 사회정의교육은 분배, 인정, 대표의 원리가 조화되고, 각종 소외와 불평등의 현실에 대한 비판적 의식, 개개인의 자율적 판단과 합리적인 합의, 공동체의 가치와 사회적 책무성의 인식, 다문화적 가치의 인식, 국제 문제에 대한 연대의식과 글로벌 시민의식이 조화되어야 함을 제시하며, 이 다섯 가지 핵심방향을 중심으로 구체적인 사회정의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논의한다. In the background of the need for free, equal and caring social justice education in the face of the various realities of inequality, injustice and conflict existing in Korean society and education circles, this study aims to unveil the concept of social justice education and present the direction of social justice education in a large context. The original position is that social justice is a complex and comprehensive ideal that cannot be realized only by any particular point of view and argument, so the concept of social justice education must combine various theories and perspectives. This study examines theories related to social justice and tries to define a comprehensive concept of social justice education based on them. This study defines social justice education as a process and foundation for achieving social justice, a harmonious pursuit of justice of distribution, recognition and representation, a rational and autonomous view of society s injustice and inequality, and a comprehensive cultivation of social responsibility, multi-cultural and global ecological consciousness. In this regard, this study shows that social justice education should be basically harmonized with distribution, recognition, representative principles, and should enhance five core abilities; 1) critical consciousness of the reality of various alienation and inequality, 2) individual self-judgment and reasonable agreement, 3) recognition of community values and social responsibility, 4) recognition of multicultural values, and 5) solidarity with international issues, and global citizenship.

      • KCI등재

        孔子와 Noddings를 통해 본 교육의 본래적인 관계

        심승환(Shim Seung Hwan)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5 敎育思想硏究 Vol.29 No.2

        본 논문은 오늘날 ‘역량’이라는 명목 하에 인간이란 무엇이며 어떻게 참다운 인간을 키울 것인가의 근본적인 목적의식이 상실되어 가고 있는 교육현실의 문제에 대한 인식으로부터 출발한다. 연구자는 이에 대한 극복방향을 인간의 삶, 특히 교육에 있어서 본래적인 관계를 조성하는 것이라고 보고, 이를 위한 준거와 이상적 모범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먼저 본래적 관계의 준거를 찾기 위해 나딩스(Noddings)의 ‘배려 관계’ 이론을 통해 직접성, 고유성, 상호성, 확장성의 4가지의 핵심적인 준거를 고찰하였다. 이러한 준거가 교육의 실제에서 어떻게 구현되는지를 고찰하기 위해서 한국의 전통에 중요한 영향을 주어 왔던 유교사상의 시원인 공자(孔子)의 교육실천을 살펴보았다. 결론적으로 참다운 인간은 직접적이며 고유하며 상호적이고 확장적인 관계 안에서 발견되며 또한 조성되고, 이는 자신, 타인, 하나의 대상, 자연, 인공물, 세계에 대하여 그 뿌리까지 다가가려는 진실함과 공경함의 태도로부터 비롯되며, 이 태도는 교육자와 배우는 자의 하나의 견실한 본래적인 관계와 교육자의 관계를 형성하는 모범적 태도에 근거한다. Nowadays, many people in the world pursue productivity and efficiency, but in doing so they lose more fundamental reason for life, worthwhile modes of behaviors and the authentic self.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ays in which authentic relationship is key to resolving the challenges faced by contemporary societies and education. This study uses Noddings’ theory to develop the criteria for authentic relationship. According to Noddings, relationship is essential to human existence and is foundational to realizing the true self. The four criteria for authentic relationship examined in this study are relationship as goal, respect for uniqueness of the individual, mutuality in relationship, and capacity to expand relationships. The study takes Confucius as an ideal model for the authentic relationship in educational practices. He tried to build relationships with their disciples prior to initiating them into certain knowledge. He strived to understand the position of each and every disciple with their whole heart and guided the disciples based on the distinctive need and potential of each individual. Furthermore, he did not try to offer their teachings unilaterally but rather valued the disciples’ will and reactions. Accompanied by his disciples throughout their entire lives, he set the example of building relationships, and the disciples took after them and formed sincere relationships while showing love for people and the world. The problem of today’s education is that there is a lack of serious reflection on what the goal is, whether it is desirable, and whether the means and processes to pursue that goal are appropriate. People’s attention is concentrated not on what the goal is, but on how effective they can be in achieving it. Amidst all the tests and competitions, teachers and students fail to have a serious introspection on what is truly important in education, what is truly needed for men and this society as well as a single unique individual, and how they shall work it out. As a result, they are faced with mental chaos, heteronomy, despondency, and disorientation. The most fundamental thing to do in order to overcome the aforementioned is to recover the humanity and authenticity of men, which can be achieved by cultivating an attitude of sincerity and respectfulness in relationships. To this end, it is important to foster an attitude of sincerity and respectfulness by building a direct, distinct, interactive, and expansive relationship, as shown in the examples set by Confucius, especially in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 KCI등재

        다문화교육과 민주시민교육의 관련성 고찰

        심승환(Shim Seung Hwan)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4 敎育思想硏究 Vol.28 No.3

        본 논문은 다문화ㆍ다원화ㆍ국제화 시대에 문화적 교류가 활성화되고 다양한 사회집단, 인종, 조직 및 기구들의 다양한 가치와 입장들이 충돌하는 가운데 과연 어떠한 교육이 필요한가 하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연구자는 이 문제와 관련하여 최근 활발하게 논의되는 다문화교육과 민주시민교육의 주요 내용들을 고찰하며 양자의 핵심적 관련성 및 공통점을 찾아 이를 바탕으로 현대 사회의 당면 문제에 대응한 다문화적 시민의식 함양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다문화교육과 민주시민교육은 모두 사회의 모든 구성원이 소외ㆍ차별받지 않고 의사결정과 교육과정에 참여하는 평등의 실현을 전제조건으로 하며, 도구적 이성에 대항하여 결과의 산출에 주목하기 보다는 다양한 의견의 교류와 심의의 과정을 중시하며, 크고 작은 공동체의 가치와 관행들을 섭렵하는 동시에 자율적 비판과 판단 능력의 함양을 추구한다. 오늘날 다원화 사회의 교육의 방향은 이러한 다문화적 인성과 심의의 능력을 지닌 구성원들이 서로의 입장과 견해들을 상호 이해하고 소통하며 배우는 다문화적 교육사회의 실현을 목적으로 하여야 한다. The background of this study is the necessity of a new educational approach in the context of social changes and problems that cultural exchanges increase and many different values and positions of diverse social communities, races, organizations collide in multicultural, plural and global age. This study observed main issues and arguments of multicutural education and democratic citizenship and then discovered core relations and similarities between the two, finally showed the necessity of multicultural citizenship education in facing modern social changes and problems. First, multicultural education and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both need the realization of equality in which all members of society are not discriminated and participate in decision making processes and educational practices. Second, both, challenging instrumental reason, value communication of different opinions and the process of deliberation rather than simply pursuing results. Finally, both aim to harmonize values and social practices of various communities and autonomous criticism and rational decision making ability. Today, the goal of education in pluralistic society should be the realiza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society in which members who achieve multicultural personality and deliberation ability mutually understand, communicate and learn different positions and opinions.

      • KCI등재

        프로네시스(phrone?sis)에 담긴 가르침과 배움의 의미 고찰

        심승환 ( Seung Hwan Shim ) 안암교육학회 2012 한국교육학연구 Vol.18 No.3

        이 연구는 아리스토텔레스의 ‘프로네시스(phronesis)’ 개념을 가르침 및 배움의 의미와 관련하여 고찰한다. 교육 현실은 주어진 목표 속에서 어떻게 하면 효과적으로 성적을 향상시키느냐의 도구적 이성이 만연하여 있다. 이러한 도구적 이성은 목적의식 및 도덕성의 결핍을 가져오며 이는 가르치는 자와 배우는 자의 방향성 상실 및 심리적 허무감을 야기시킨다. 이러한 문제에 직면하여 본고는 인간의 좋은 삶, 바람직한 삶이 무엇이며 이를 위하여 삶의 구체적인 상황과, 특히 가르치고 배우는 상황에서 어떻게 대처하여야 하는지의 실천적 지혜의 의미를 조명한다. 본고는 먼저 프로네시스 개념의 근간인 인간의 목적, 행복의 의미를 밝히고 이어 지적인 덕과 성격적인 덕이 어떻게 프로네시스와 관련되는지 고찰하고, 이러한 개념 규명을 바탕으로 프로네시스에 입각한 가르침과 배움은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지 밝힌다. 결론적으로 본고는 가르침과 배움은 분명한 목적의식에 뿌리박은 방법적 지혜를 발휘하여야 하며 이것은 그 자체로 내재적 가치를 지닌 즐거운 행위이며 사유와 실천, 지성과 습관(품성)의 조화임을 밝힌다. 아울러 사람과, 상황과, 정도를 적절히 고려한 사유를 유도하며 사유하는 법의 모범을 보이는 가르침, 구체적인 문제 상황에서 다양하고 깊이 있게 숙고하는 배움이 되기 위하여 문제 중심, 과정 중심의 교사교육 및 수업의 개혁을 제안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oncept of Aristotle`s Phronesis in relation with the meaning of teaching and learning. Nowadays, teachers and learners focus on technical reason how to improve academic grades regardless of what they should aim at. The technical reason causes deficiency of goal-oriented consciousness and psychological emptiness. Facing these problems, this study examines what is the good and righteous life and shows what is the practical wisdom regarding how to cope with daily concrete problematic situations, especially in the practice of teaching and learning. It explores the aim of human being, the meaning of happiness that is the base of ``phronesis`` and then examines how intellectual virtue and moral virtue are related with ``phronesis``, finally shows what is the meaning of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concept of ``phronesis``.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eaching and learning should realize practical wisdom on the basis of consciousness of human goal and they must be happy activity with intrinsic value. Teaching and learning in phronesis should be harmonious activity between deliberation and action, intellect and habit. In addition, it suggests teaching that leads deliberation on persons, situations, degrees, by doing so becomes a model of deliberation. Also, it proposes problem-oriented, process-oriented class activity and teacher education in order to lead various, deep deliberation of concrete problems in learning.

      • KCI등재

        인간 본성(本性)의 교육적 의미에 대한 고찰 -합리성, 자연성, 본래성의 통합적 관점에서

        심승환 ( Seung Hwan Shim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12 교육철학연구 Vol.34 No.2

        본고는 인간의 본성에 대한 논의가 인간의 삶과 교육에 필수적임에도 불구하고, 현재 교육에서 이것이 무시되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인간 본성에 대한 많은 사상들이 있었으나 지성, 감성, 의지 등 어느 한 측면에 초점을 맞추었고, 이들을 종합하여 교육과 연결 논의한 연구들은 부족하였다. 본고는 플라톤, 칸트, 자유교육론을 통하여 인간의 합리성을, 공자, 맹자, 루소를 통하여 자연성을, 실존주의와 테일러의 사상을 통하여 본래성을 통합적으로 고찰하면서 인간의 근본적인 성질이 무엇이며 교육을 통하여 구현하여야 할 완전한 인간의 이상은 과연 무엇인지를 논의한다. 이러한 고찰을 통하여 인간은 합리성, 자연성, 본래성을 근본적으로 지니고 있고 이세차원은 서로가 서로를 조장하는 관계이며, 이들은 사람과 상황에 따라 균형 있게 계발되어야 함을 주장한다. 특히, 결론부분에서 ``진지함의 상실``의 교육현실에서 본래성을 중심으로 어떻게 세 차원의 본성을 다시금 회복하고 조장할지를 교육학적 측면에서 제언한다. Studies and discussions of human nature are necessary and crucial to human lives and education, since human beings become good when they know their own nature or full realization, However, educational practices and educators nowadays ignore the fundamental question, and they only try to perform immediate tasks such as accomplishments in examinations, This study starts from the problem, There have been many thoughts regarding human nature, but most of them focused on one part of human nature that is a complex body of reason, sensibility and will. Studies examining the complex, totality of human nature with regard to education are rare. This study examines rationality of human beings through Plato, Kant, and liberal education theories. They argue that reason is the highest capability controlling emotions and will, and education should aim to realize human rationality through knowledge and logical thinking. It examines naturalness through Confucius, Mencius and Rousseau. They show that ``Ren(仁)`` or ``amour de soi`` is based on good nature of human being and they can be realized through observing the good self and sympathizing with others. This study examines authenticity through existentialism and Taylor. They argue that modern people lose their true selves and follow ordinal customs. In order to become authentic, human being should listen to conscience and choose their own ways with will to conscience or will to power, Through the examination, it discovers what the fundamental nature of human is and what the ideal state of human through education is, Rationality, naturalness and authenticity are all fundamental natures of human and the three natures foster one another to become whole person, Conclusion shows the three nature should be fostered in balance according to persons and situations, and we should focus on authenticity in the age of the collapse of sincerity and seriousness. It suggests death education and in-depth dialogue in order to recover authenticity in relation with rationality and natural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