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여나성 동나성 2문지 발굴조사의 의의

        심상육 ( Sang Yuck Shim ),이명호 ( Meung Ho Lee ),김태익 ( Tae Ik Kim ),김선옥 ( Sunok Kim )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2014 백제문화 Vol.1 No.51

        사비도성은 백제 후기의 수도로 고구려의 도성과 마찬가지로 커다란 背後산성(청마산성)이 결합된 구조이며, 그 외측으로는 大小의 산성이 환상으로 배치되어 도성의 방어력을 높이고 있다. 그리고 도성은 內城外郭으로 구성되어 최후 방어선으로 부여나성이 구축되어 있다. 이 부여나성은 사비도성의 외곽 성벽만을 지칭하는 용어로 지금까지 20여 차례의 조사를 통하여 동나성과 북나성의 6.6㎞의 성벽선을 확인하였으며, 토축부와 석축부로 구축된 내탁식의 석축성임과 동시에 사비 천도 전에 사비도성의 계획하에 완성된 성벽임이 밝혀지고 있다. 금번 동나성 2문지의 발굴조사는 지금까지의 부여나성의 조사현황을 소개하고 이를 통해 확인된 성벽선·지형별 축조기법·구간별 축조·기저부의 조성·토축부의 특징·성벽의 개보수·성벽의 축조시기와 부여나성의 문지 등을 일괄한 후 2문지의 발굴조사 내용을 수록하였다. 사비도성의 내외부 통로인 동나성 2문지는 산지의 교통로 상에 위치한 성문으로 성외부에서는 문의 유무를 가늠할 수 없는 숨긴문이며, 개구부 두 성벽이 어긋난 어긋문 형식이다. 이 문지는 도성의 배후산성인 청마산성을 잇는 최단거리의 교통로상에 위치한 문지로 두 차례에 걸쳐 성문이 개변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개구부는 너비 7~15m에 이르는 평면 사다리꼴을 띠고 북측부는 구조물이 놓여 성벽과 마찬가지로 내외를 차폐하는 역할을 하였고, 남편은 계단상의 통로로 활용하였음이 밝혀졌다. 즉, 일반적인 성문은 개구부가 통로임에 비하여 2문지는 개구부의 폭도 넓을 뿐만 아니라 개구부에 통로 이외에 다른 시설물이 설치된 것으로 일반적인 성문과는 상당히 이질적인 문지 형태이다. 그리고 2차문지의 구지표에 가까운 폐기층에서 백제시대 사비기에 해당하는 유물만이 출토되어 성문의 운용은 백제 사비기에만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Sabi capital is the late one of the Baekje Dynasty and it shows the structure same as the Goguryeo capital connected with the large rear fortress such as Cheongma Mountain Fortress. On the extended line, small and large mountain fortresses are arranged as a ring shape and they are raising the defence of the capital. Moreover, the capital is composed of internal donjon and external fortresses and was built Buyeo Naseong fortress up as the final line of defence. This Buyeo Naseong fortress is a term indicating only outer rampart and it was identified 6.6 kilometers of fortress wall lines on the eastern and northern Naseong fortresses through around 20 surveys until now. In addition, it is revealing that it was a stone built-up fortress where comprises earthen and stone structures and at the same time it was constructed by the master plan of the Sabi capital prior to the transfer of the capital. This time the estimate report on the eastern part of the remains of gate 2 introduces the survey status of the Buyeo Naseong Fortress and summarizes Fortress lines identified through this, structure methods in terrain, construction in sectors, the building of foundation, special features of earthen part, the improvement and repair of ramparts, the construction date of ramparts and the gate remains of the Buyeo Naseong Fortress; in addition, it mentioned the contents of excavation survey on the remains of gate 2. The remains of gate 2 in the eastern part for internal and external passages of the Sabi capital are a sort of fortress gate located on a line of communication; in addition, they are a hidden gate that cannot see them from outside and a deviation door type that goes crisscross two ramparts of the entrance. These gate remains are on the shortest traffic route of the capital connected with the rear fortress, Cheongma Mountain Fortress; they were confirmed that the fortress gate was improved twice; moreover, the entrance is 7-15 meters in width and shows a flat echelon formation; it revealed that the northern part had certain structures and they played a role to cover inside and outside; furthermore, the southern part was employed for the route for staircases. In brief, fortress gates in general have entrances for routes; by contrast, the gate 2 remains have a quite wide entrance and they were installed different facilities saved routes; they illustrate quite distinguished gate remains compared with other general fortress gates. Moreover, the destruction layer near the old surface of the earth in the gate 2 remains only revealed objects in the Sabi period of the Baekje Dynasty. As a result of this, it can confirm that the management of fortress gate merely had done in the Sabi Baekje period.

      • KCI등재

        발굴자료를 통해 본 사비도성의 변천과 경관

        심상육 ( Shim Sang-yuck )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2020 백제문화 Vol.0 No.62

        사비도성은 123년간 후기 백제의 도성이었다. 이 도성은 고대 동아시아의 도성제를 바탕으로 경외매장과 南面하는 왕궁, 외곽을 갖춘 도성이다. 본고는 이와 같은 사비도성을 자연적인 경관과 발굴로 드러난 인위적인 경관을 바탕으로 하여 도성의 변천을 살펴보았다. 사비도성은 외래의 도안과 전통을 어울러 독자적인 도성을 기본적으로 538년 천도 전 구축하였다. 당시의 모습은 외곽 거점방어시설과 나성, 왕궁 등이 들어선 형상이었다. 이후 위덕왕대인 6세기 3/4분기부터 도성의 내부는 점진적으로 전면 개발이 이루어졌고, 이러한 개발은 7세기 1/4분기까지 이어진다. 하지만 금강의 하류변에 위치한 저평한 도성의 자연 훼손적 개발은 필연적인 자연재해를 수반하게 된다. 그리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개발이 7세기 2/4분기에 주요시설지의 재개발로 이어진다. 이러한 사비도성의 내부 구조물을 살펴보면, 우선 도성은 방 4㎞의 크기이며, 북쪽 끝 중앙부에 왕궁과 후원인 부소산성이 배치되어 있다. 왕궁도 초기의 경우 부소산의 중앙 아래였다 후기에 서편 자락으로 이동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사비도성은 광의적으로 보면, 무덤과 생산시설이 들어선 나성과 금강 밖도 도성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Sabi was the capital of the later Baekje for 123 years. This urban structure is a city with the burial out of capital, a royal palace towards the south, and the suburbs, based on ancient East Asian capital systems. This article examined the change of the city based on the natural landscape, and the artificial landscape revealed by excavation. Sabi City, along with foreign patterns and traditions, originally built its own city before the shift of capital in 538 CE. At that time, it shows the arrangement of external base defense facilities, outer fortress wall (naseong), and royal palaces. Since then, the interior of the city has been gradually developed from the third quarter of the 6th century CE in the reign of King Wideok; such development continues until the first quarter of the 7th century CE. However, natural damaging developments of low flat cities where located downstream of the Geumgang River inevitably entail natural disasters. Besides, developments to overcome this lead to redevelopments of major facilities in the second quarter of the 7th century CE. Looking at the internal structure of Sabi city wall, first of all, it is four by four square kilometers in size; in addition, the royal palace, and Busosan Mountain Fortress as the rear garden are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northern end. In the early days of the Royal Palace, it was below the center of Busosan mountain. Sabi fortress wall, on the other hand, would include broadly the outside of the naseong (outer fortress wall) and the Geumgang River, where graves and production facilities are locate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