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임상연구 동의 과정의 새로운 분류와 각 단계별 개선방안

        심명진,임영채 대한임상약리학회 2009 Translational and Clinical Pharmacology Vol.17 No.1

        The informed consent process (ICP) is still not enacted adequately despite its importance in clinical research. The researches on ICP have been mostly focused on the process to get a signature on the informed consent form and have not investigated ICP in a broad perspective. This article presented a novel classification of ICP closely related with the whole process of clinical research. ICPs were classified into 3 major stages, i.e. ICPs before, during and after the execution of clinical research. The first ICP before the execution of clinical research is composed of 3 detailed stages; 1) planning stage of clinical research, 2) preparatory stage of ICP, and 3) review stage of ICP. The second ICP, which is done during the execution of clinical research and a well-known ICP from the current narrow perspective, has 4 detailed stages; 1) notifying stage of clinical research, 2) providing stage of clinical research information, 3) deciding stage of clinical research participation, and 4) ICP stage during the execution of clinical research. The last ICP done after the execution of clinical research consists of 2 stages; 1) closing stage of clinical research, and 2) stage of sharing research results and final review. The activities, problems and ways to improve ICP in each detailed stage were further discussed.

      • 배전기기 외함 부착방지 및 자기세정 코팅기술 개발 및 현장실증

        심명진,손송호,서지훈,한상철,Shim, Myung Jin,Sohn, Song Ho,Seo, Ji Hoon,Han, Sang Chul 한국전력공사 2020 KEPCO Journal on electric power and energy Vol.6 No.3

        전력수요가 많은 도심지역의 전력설비 설치가 늘어남에 따라 다수의 배전용 개폐기, 변압기와 같은 지상기기들이 보도에 설치되어 있다. 도심지역의 경우 매우 가혹한 환경(불법광고물 부착, 자동차 매연, 부식, UV 열화, 오염 등)으로 인해서 0.5-5년 내에 거리의 흉물로 변하고 있다. 불법광고물 무단 부착, 부식, 자동차 매연 및 오염, UV 열화로부터 환경친화형 배전기기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광고물 부착방지, 방식, 내구성 향상, 미관 개선 기능의 현장 적용이 가능한 생체모방코팅소재 제조기술과 도포 기술 개발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도막 경도가 단단한 실리콘레진 기반 도료를 개발하여 부착방지 및 낙서방지 기능 뿐만 아니라 도막 경도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박리 현상을 저하시킬 수 있는 도료를 개발했다. 개발된 코팅제는 한국전력공사 대덕유성지사와 공동으로 노은 및 지족동 일대 배전기기 외함 9개소를 대상으로 현장 장기 실증시험을 통한 장기 내구성평가를 진행했다. 전력기기 생체모방 코팅기술은 다양한 손상 환경에 따라서 그 조건에 맞는 최적의 코팅 물질 및 공정 개발이 가능하다. 지속적인 코팅기술 업그레이드로 원천기술 및 지적재산권을 획득하고 전국의 설치된 기기로부터 장기실증 데이터를 취득함으로써 전력기기 운영/정비/보수 시장에 진출하여 경쟁력 있는 사업화의 기반 마련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한다. The demand for coating technology on electric power equipment that has arisen from such issues regarding the attaching of illegal advertisements and posters to electric power distribution boxes such as TR, SW, etc. in down town areas seeks to produce functional coating surfaces using polymers and nano-materials that will result in improvements in self-cleaning performance and greater stability even under harsh environmental conditions. KEPCO-coatings consist of copolymerized acrylic resin and methacryl-modified reactive silicone that are able to chemically combine, which results in performance improvement without any leakage of of silicone, thus contributing to its properties of high-stability. Thus, the research team has also started long-term on-site testing on 9 electric power distribution spots around a city center in cooperation with the KEPCO Daeduck-yusung branch. The KEPCO-coating technology could advance the best coating materials and processes to meet appropriate circumstances for a variety of outdoor damage environment. It is also predicted that KEPCO could be possible to expand international electric maintenance markets and to arrange business platforms if KEPCO would achieve its original technology (IPs) by the means of upgrading in self-cleaning coating technology and obtaining long-term on-site test records from nationwide electric facilities.

      • KCI등재후보

        흔히 사용하는 양식과 새로 변경한 양식의 피험자 설명서에 대한 이해도와 선호도의 비교 평가 연구

        심명진,임영채 대한임상약리학회 2010 Translational and Clinical Pharmacology Vol.18 No.1

        Backgrounds: The style and contents of information sheet is very important to make the subjects understand appropriately the information provided in the information sheet. However, the conventional forms of information sheets are still mostly difficult to read and understand for the subjects who are mostly unfamiliar to the complex clinical research process. We performed a prospective comparative evaluation of comprehension and preference between a conventional versus a new modified information sheets, in which both styles are different but the contents are same each other. Methods: The 66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control group read the conventional information sheet (CIS) and the other test group read the modified information sheet (MIS). After reading the information sheet, both groups answered the questionnaire to evaluate their comprehension on the clinical research presented in the information sheet. By having the control group read MIS and the test group CIS resp., both groups could compare MIS with CIS and expressed their preference one over the other. Results: The population had a mean age of 21.5 years. The average speed of reading MIS (4.13 words/sec) was faster than that of CIS (3.48 words/sec). The score of comprehension on MIS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71.4%) was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at on CIS (correct answers: 64.3%). The 8 items newly adopted in MIS modified from CIS in this study were 1) bold style and underlining of characters, 2) increasing font size of characters, 3) using diagrams, 4) widening the interval between lines, 5) using colors, 6) inserting a table of contents, 7) using the cover page, and 8) using header symbols. In a preference study, 87.9% of participants preferred MIS to CIS. Conclusions: Improvement of participants' comprehension was observed through using a new modified information sheet over the conventional information sheet, suggesting a new efficient information sheet. Backgrounds: The style and contents of information sheet is very important to make the subjects understand appropriately the information provided in the information sheet. However, the conventional forms of information sheets are still mostly difficult to read and understand for the subjects who are mostly unfamiliar to the complex clinical research process. We performed a prospective comparative evaluation of comprehension and preference between a conventional versus a new modified information sheets, in which both styles are different but the contents are same each other. Methods: The 66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control group read the conventional information sheet (CIS) and the other test group read the modified information sheet (MIS). After reading the information sheet, both groups answered the questionnaire to evaluate their comprehension on the clinical research presented in the information sheet. By having the control group read MIS and the test group CIS resp., both groups could compare MIS with CIS and expressed their preference one over the other. Results: The population had a mean age of 21.5 years. The average speed of reading MIS (4.13 words/sec) was faster than that of CIS (3.48 words/sec). The score of comprehension on MIS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71.4%) was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at on CIS (correct answers: 64.3%). The 8 items newly adopted in MIS modified from CIS in this study were 1) bold style and underlining of characters, 2) increasing font size of characters, 3) using diagrams, 4) widening the interval between lines, 5) using colors, 6) inserting a table of contents, 7) using the cover page, and 8) using header symbols. In a preference study, 87.9% of participants preferred MIS to CIS. Conclusions: Improvement of participants' comprehension was observed through using a new modified information sheet over the conventional information sheet, suggesting a new efficient information sheet.

      • 고속도로 구조물 스마트 점검장비 활용 현황(디지털 시범지사 운영)

        심명진 ( Sim Myeong-jin ),양정아 ( Yang Jung-ah ),윤기덕 ( Yoon Ki-duck ),이현상 ( Lee Hyeon-sang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21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5 No.1

        고속도로 주요 구조물은 정확한 안전등급 산정과 최적 상태유지를 위하여 1∼3년 주기로 정밀점검을 시행하고 있다. 공용중인 고속도로 구조물의 정밀점검을 위하여는 교통차단 후 교량점검차 및 고소작업차 등을 활용한 고교각 및 터널 천단부점검이 필요하고 이에 따른 교통정체 유발과 점검원의 추락 등 안전사고 위험 등의 문제점이 상존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도로공사에서는 ‘18년부터 첨단 점검장비 8종을 개발·도입하고 있으며,’21년에는 디지털 시범지사를 선정하여 대상기관의 정밀점검 대상 25개소에 대하여 첨단 점검장비를 활용한 無차단 스마트 점검을 시행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구조물 점검원의 안전을 확보하고 정밀점검 신뢰도 향상과 더불어 교통차단에 따른 고객 불편해소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 고속도로 구조물 스마트 점검장비 활용 현황(디지털 시범지사 운영)

        심명진 ( Sim Myeong-jin ),양정아 ( Yang Jung-ah ),윤기덕 ( Yoon Ki-duck ),이현상 ( Lee Hyeon-sang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21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5 No.1

        고속도로 주요 구조물은 정확한 안전등급 산정과 최적 상태유지를 위하여 1∼3년 주기로 정밀점검을 시행하고 있다. 공용중인 고속도로 구조물의 정밀점검을 위하여는 교통차단 후 교량점검차 및 고소작업차 등을 활용한 고교각 및 터널 천단부점검이 필요하고 이에 따른 교통정체 유발과 점검원의 추락 등 안전사고 위험 등의 문제점이 상존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도로공사에서는 ‘18년부터 첨단 점검장비 8종을 개발·도입하고 있으며,’21년에는 디지털 시범지사를 선정하여 대상기관의 정밀점검 대상 25개소에 대하여 첨단 점검장비를 활용한 無차단 스마트 점검을 시행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구조물 점검원의 안전을 확보하고 정밀점검 신뢰도 향상과 더불어 교통차단에 따른 고객 불편해소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 고속도로 구조물 스마트 점검장비 활용 현황(디지털 시범지사 운영)

        심명진 ( Sim Myeong-jin ),양정아 ( Yang Jung-ah ),윤기덕 ( Yoon Ki-duck ),이현상 ( Lee Hyeon-sang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21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5 No.1

        고속도로 주요 구조물은 정확한 안전등급 산정과 최적 상태유지를 위하여 1∼3년 주기로 정밀점검을 시행하고 있다. 공용중인 고속도로 구조물의 정밀점검을 위하여는 교통차단 후 교량점검차 및 고소작업차 등을 활용한 고교각 및 터널 천단부점검이 필요하고 이에 따른 교통정체 유발과 점검원의 추락 등 안전사고 위험 등의 문제점이 상존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도로공사에서는 ‘18년부터 첨단 점검장비 8종을 개발·도입하고 있으며,’21년에는 디지털 시범지사를 선정하여 대상기관의 정밀점검 대상 25개소에 대하여 첨단 점검장비를 활용한 無차단 스마트 점검을 시행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구조물 점검원의 안전을 확보하고 정밀점검 신뢰도 향상과 더불어 교통차단에 따른 고객 불편해소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 고속도로 구조물 스마트 점검장비 활용 현황(디지털 시범지사 운영)

        심명진 ( Sim Myeong-jin ),양정아 ( Yang Jung-ah ),윤기덕 ( Yoon Ki-duck ),이현상 ( Lee Hyeon-sang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21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5 No.1

        고속도로 주요 구조물은 정확한 안전등급 산정과 최적 상태유지를 위하여 1∼3년 주기로 정밀점검을 시행하고 있다. 공용중인 고속도로 구조물의 정밀점검을 위하여는 교통차단 후 교량점검차 및 고소작업차 등을 활용한 고교각 및 터널 천단부점검이 필요하고 이에 따른 교통정체 유발과 점검원의 추락 등 안전사고 위험 등의 문제점이 상존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도로공사에서는 ‘18년부터 첨단 점검장비 8종을 개발·도입하고 있으며,’21년에는 디지털 시범지사를 선정하여 대상기관의 정밀점검 대상 25개소에 대하여 첨단 점검장비를 활용한 無차단 스마트 점검을 시행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구조물 점검원의 안전을 확보하고 정밀점검 신뢰도 향상과 더불어 교통차단에 따른 고객 불편해소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