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디어이용자의 OTT 이용행태 결정요인 분석: 유료방송 시청요인과 이용자 혁신성향을 중심으로

        심동녘(Dongnyok Shim) 한국혁신학회 2021 한국혁신학회지 Vol.16 No.3

        본 연구는 2019 한국미디어패널자료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국민의 OTT(Over The Top)서비스 이용행태를 살펴보고, 이산선택모형을 적용하여 다양한 OTT 이용행태에 대한 영향요인을 식별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에서 고려한 OTT 이용행태는 OTT 이용경험, OTT 이용빈도, OTT 빈지워칭, OTT 유료서비스 이용여부 이며 OTT 이용행태의 결정요인으로는 인구사회요인, 혁신성향요인, TV시청요인, 이용경로 요인을 고려하였다. 분석결과, 다차원의 혁신성향 중 쾌락적 혁신성향이 높을수록 일관되게 OTT이용경험, 이용빈도, 빈지워칭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지적 혁신성향이 높을수록 유료서비스 이용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TV시청요인 중 실시간 TV시청 시간은 다양한 이용행태에서 일관되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으며, TV장르 중 영화와 드라마 장르를 가장 선호할수록 OTT 유료서비스 이용확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빈지워칭, 유료이용 등 다양한 OTT이용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식별하고 이를 통해 OTT의 소구점을 파악함으로써 OTT를 제공하는 사업자 또는 제공하고자 하는 사업자에게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factors affecting OTT service watching behavior in Korea using Korean media panel survey, which is one of the most credible national statistics in Korean media industry. For last few years, the number of users who experience OTT in Korea has been dramatically increasing every year. In addition, the number of paid subscribers for SVOD such as ‘Netflix’, ‘WATCHA’ and ‘Wavve’ cannot be neglected anymore in terms of market share of media industry. These dramatic changes of media market mean that such a service attracts traditional real time TV watchers to OTT services and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 what makes them enjoy OTT service and pay for it. OTT service usage behaviors considered in this paper are OTT service usage experience, OTT service usage frequency, OTT binge-watching, and OTT paid service usage. The factors considered in this study is socio-demographic factors, consumer innovativeness factors, real-time TV watching behavior factors and OTT channel factor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Users who have high hedonic innovativeness are more likely to watch OTT frequently and to enjoy binge-watching while users who have high cognitive innovativeness are more likely to pay for OTT service. And real time TV watching time were found to have consistently negative effect on OTT watching behavior.

      • KCI등재

        연구개발특구가 입주기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심동녘(Dongnyok Shim),오승환(Seunghwan Oh) 한국혁신학회 2018 한국혁신학회지 Vol.13 No.1

        본 논문에서는 연구개발특구육성 종합계획의 수요자이자 수혜자라 할 수 있는 개별 입주기업의 성과 향상정도를 비입주기업과 비교하여 정량적으로 평가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론 측면에서 정책변수와 기업의 성과변수 사이에 존재하는 선택편의와 내생성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성향점수매칭법(Propensity Score Matching)과 이중차분법(Difference in Difference)을 적용하였다. 우선, 성향점수매칭법을 적용하여 비교집단에서 유사한 성향점수를 갖는 대조군을 선별한 후, 이들을 대상으로 이중차분법을 적용하여 입주기업의 실제 성과향상정도를 추정하였다. 성과의 관측에 있어서는 연구개발특구 육성정책이 지향하는 정책 목표를 반영하기 위하여 경제적 성과(자산증가율, 매출증가율), 사회적 성과(고용증가율), 혁신 성과(R&D투자 증가율, 종업원 1인당 R&D투자 증가율)의 세 차원에 거쳐 성과를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실증분석결과 입주기업이 비입주기업 대비 유의한 성과향상이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으며, 결론에서 분석결과와 관련된 보다 심도 있는 정책함의를 다루었다. As a part of the policy for the development of regional innovation systems in Korea, Korean government have implemented and executed comprehensive plan for the development of special zones for innovation capability enhancement from 2006. In order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policy, it is important to observe how the resources and capabilities have been concentrated in the special zones in terms of the policy authorities. However, it is also necessary to evaluate whether the competitiveness of individual companies has actually improved from the viewpoint of demand-based innovation policy. Therefore,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quantitatively evaluate the performance improvement of tenant companies in special zones. For empirical analysis, Propensity Score Matching and Difference in Difference methodologies were applied to solve the selection bias and endogeneity problem between the policy variables and the performance variables. And we compared the performance in three dimensions, which include economic performance, social performance and innovation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tenant companies had significantly improved performance compared to the non - tenant companies.

      • KCI등재

        소셜커머스에서 소비자 충동구매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심동녘(Shim, Dong-Nyok),김응도(Kim, Eung-Do),황준석(Hwang, Jun-Seok) 글로벌경영학회 2015 글로벌경영학회지 Vol.12 No.1

        최근 온라인 상거래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결합 한 소셜커머스라는 새로운 형태의 온라인 마켓이 주목을 끌고 있다. 소셜커머스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활용하여 온라인 상거래를 활발히 하는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이다. 이러한 온라인 상거래의 변화는 소셜커머스에서 소비자 구매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전통적인 온라인 마켓과는 달라질 것임을 암시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소셜커머스에서 소비자 충동구매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판별하고 이를 실증적 으로 밝히기 위한 것이다. 소셜커머스에서 충동구매 행동에 관한 실증분석을 위하여 소비자 충동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내적 요인, 외적 요인, 기타요인으로 구분하였다. 내적 요인은 소비자의 “의도-행동 모형”인 계획된 행동이론(Theory of planned behavior)에 기초하여 태도, 주관적 규범, 인지된 행동통제 관점에서 평가하였다. 충동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외적 요인은 마케팅 자극 요인을 바탕으로 하였으 며, 이는 다시 제품자극요인과 가격자극요인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또한 기타요인으로 소비자가 소셜커머스에서 제품 및 서비스를 구매를 할 때, 소셜커머스에 대한 신뢰 정도와 소비자들간 의견 공유를 위한 소셜네트워크서비스 활용도에 따라 충동구매 행태가 어떻게 다른지에 관하여 살펴보 았다. 본 연구는 최근 주목 받고 있는 비즈니스 모델인 소셜커머스에서 이루어지는 소비자들의 충동구매 의사결정에 관한 체계적인 분석일 뿐 만 아니라, 사회적 규범과 관련하여 소비자들이 소셜 커머스에서 충동구매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에 관한 조사가 이루어졌다는데 의의가 있다. Social commerce market is to use social network service when making a deal in e-commerce. Especially, the essence of social commerce is that customers can enjoy many different goods and services that they really wanted to use but were too expensive without paying much. However, a critical examination of consumer behaviour in newly type of e-commerce so called social commerce has received little attention. Therefore, in this paper we propose a structural framework for examining the consumer’s impulse buying motivation in commercial activity on social commerce. First, we explore internal factors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ur that consist of attitude, subjective norm and perceived behaved control. Second, we examine external factors including marketing mix such as product and price that has encouraged consumers to buy impulsively. Third, we discuss relationship between frequency in use of SNS, trust of social commerce and consumer’s impulse buying motive in social commerce. Thus, this analysis leads to a new classification of factors that influence to consumer’s impulse buying behaviour evaluation the impact they affect.

      • KCI등재

        벤처인증정책과 이노비즈인증정책의 중복효과에 대한 연구

        오승환(Seunghwan Oh),심동녘(Dongnyok Shim),김규남(Kyunam Kim) 한국기술혁신학회 2015 기술혁신학회지 Vol.18 No.2

        본 논문에서는 유사한 성격을 지닌 정부 혁신 정책의 이중지원으로 발생하는 중복효과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혁신형 중소기업에 대한 대표적인 지원정책인 벤처인증정책과 이노비즈인증정책을 대상으로 중복지원의 효과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특히 혁신형 중소기업들이 다수 분포되어 있는 ICT 산업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를 진행하였다. 또한 정부의 정책 지원에 따른 성과 평가를 함에 있어서 흔히 발생할 수 있는 선택편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성향점수매칭법(Propensity score matching)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두 정책을 중복으로 지원받고 있는 기업들은 하나의 정책만을 지원받는 기업들보다 기업의 성장성, 자금조달능력, 혁신성 등에서 양의 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결과를 그대로 받아들이면 인증 정책의 중복 지원은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논문에서 제시하고 있는 중복 효과 개념에서 바라보면 이 결과는 다른 해석이 가능하다. 우선, 기업의 성장성을 보여주는 종업원수 증가율에서 벤처인증과 이노비즈인증은 시너지 효과가 나타났는데, 이는 정부로부터의 복수의 지원을 받은 기업들이 고용 시장에 더 유리한 위치를 선점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반면, 기업의 자금조달능력이나 혁신성 지표에서는 중복 효과는 비효율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정부가 정책을 지원함에 있어서 이미 정책 지원을 받고 있는 기업에게 정책을 중복하여 지원하는 방식보다는 아직 정부로부터 정책 지원을 받지 못한 기업들에게 지원하는 방식이 더 큰 정책 효과를 보일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라고 볼 수 있다. 특히, 벤처인증이나 이노비즈인증은 기업의 혁신역량을 강화하려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지원 받은 기업의 혁신성과가 더 크게 나타날 수 있도록 관련 협회 간 기능 조정이나 제도 정비가 필요할 것이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valuate policy impact of Inno-biz verification and Venture verification, especially focusing on the complementarity effect according to the overlapped support in Korean ICT industry. Alongside the implementation of various government innovation policies, discussions regarding evaluations of such policies have been consistently undertaken in economics, because it is very important to evaluate whether public policies have played a proper role. However, one of the distinguished point of this research from previous studies is that this paper not only includes evaluations of a single policy, but also the discussion about interaction between different innovation policies. The main result of this paper is that, in the case of overlapping homogeneous policies such as Inno-biz and venture verification, the complementarity effect is negative. Compared with previous studies, the uniqueness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deviating from the view of previous studies that focused on the evaluation of a single policy, this paper has considered interactions and the complementarity effect of innovation policy through “policy mix,” an economic term. Second, based on this concept, the paper suggests an analysis framework for the evaluation of interactions and the complementarity effect of innovation policy.

      • KCI등재

        텍스트마이닝을 적용한 ICT융합 트렌드 분석

        최현홍(Hyunhong Choi),심동녘(Dongnyok Shim) 한국혁신학회 2020 한국혁신학회지 Vol.15 No.3

        본 연구는 국내 ICT 유관기관에서 발간한 보고서·간행물 자료에 대하여 텍스트마이닝 분석을 적용하여, 최근 10년 동안의 ICT융합 이슈를 분석하였다. 지금까지 텍스트마이닝을 적용한 신기술 이슈분석은 주로 논문이나 특허를 활용하여 수행되었는데, 이러한 자료는 기술 개발로부터 자료가 산출되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다. 특허는 기술개발이 완료된 후 실용화/상용화 단계에서 출원·등록 하는 것이고, 학술지 역시 연구를 수행하고 논문을 작성한 후 심사를 거쳐 등재되는 것이기에 자료 산출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이러한 자료를 이용한 분석은 특정 분야의 유망기술이슈 탐색과 같이 자료의 적시성이 요구되는 분석에서는 성능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외 ICT산업 전반에서 비정형자료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한 ITFIND 포털 내에 존재하는 보고서 자료를 활용하여 텍스트 분석을 수행하고,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구체적으로, ITFIND 내 ICT융합 카테고리의 보고서들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단어 빈도에 기반한 기초적인 분석과 토픽 모형을 활용하여 문서 내에 잠재되어 있는 맥락적 토픽(주제)을 도출해내는 심층 텍스트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ICT융합 관련하여 다양한 기술토픽이 식별되었으며, 시간의 흐름에 따른 기술 토픽의 상승/하락 패턴 역시 관찰할 수 있었다. 토픽모델링 분석에 따르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상승하는 기술토픽은 1) 타산업분야와의 ICT융·복합 가능성이 높게 점쳐지거나, 2) ICT분야 내 차세대 먹거리로 주목받는 분야들임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Korean ICT convergence trend with technical reports published by ICT related government agencies or institutes using text mining methodology, and provide relevant policy implications. Majority of existing research in textmining domain used academic research papers or patent specification in order to observe trend of technology innovation. Such approach has a critical limitation in a point that there is a time gap between sources and realization of emerging technology, which cannot be neglected. To overcome this limitation, this research targeted technical reports published by various ICT-related government research institutes such as ETRI, NIA as sources of text mining. The analysis was conducted by two steps. First, important words in ICT convergence domain were identified using TF-IDF analysis. Then, topic modeling was adopted to capture change of ICT convergence trend in time domain. As a result of analysis, we could find self-driving vehicles, renewable energy, medical devices are emerging issues whereas mobile service, digital broadcasting are unwatched recently.

      • KCI등재

        패션·의류 신제품개발 프로젝트에서 자원 적합성이 시장적기출시와 제품혁신성에 미치는 영향

        방효민(Hyo Min Bang),심동녘(Dongnyok Shim) 글로벌경영학회 2023 글로벌경영학회지 Vol.2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신제품개발조직이 보유한 자원과 신제품개발조직이 목표로 하는 신제품사이의 적합성이 신제품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실증분석을 위하여 본 연구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구성하여 패션의류산업의 신제품개발 프로젝트를 대상으로 309개의 표본을 수집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신제품의 성과변수로서 시장적기출시와 제품혁신성을 상정한 후 통제변수를 포함한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기술 적합성, 마케팅 적합성, 생산 적합성이 신제품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가지 자원 적합성 중 생산 적합성이 시장적기출시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높았고, 기술 적합성이 제품혁신성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 분석을 통해, 제품개발 지향성(고객중심 지향성, 경쟁중심 지향성)이 자원 적합성과 제품성과 사이의 관계를 조절하는지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경쟁중심 지향성이 자원 적합성과 제품혁신성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 연구들이 자원준거론 관점에서 기술·마케팅 자원의 확보가 신제품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면, 본 연구 결과는 신제품개발 프로젝트에서 신제품개발조직이 희소하고 가치 있는 자원을 탐색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으며, 전략적으로 자원 적합성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또한 다차원의 신제품 성과들이 상충관계에 있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관리자는 신제품개발조직이 집중하는 성과 차원에 부합하는 특정 자원의 적합성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of fit between resource and targeting new product on new product performance in terms of time to market and product innovativeness.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 this study organized structured survey questionnaire and collected 309 samples on new prouduct development projects in the fashion industry. And this showed summary statistics and appli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appropriate control variables.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we found that technology fit, marketing fit and production fit positively affect new product performance. The impact of production fit is the highest among three resource fit on time to market while the impact of technology fit is the highest on product innovativeness. And we found that competition orientation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resource fit and product innovativeness. From empirical analysis, we concluded that exploring just rare and valuable resource is not enough but strategically considering resource fit is more important in new product development project. In addition, given the fact that new product performance measurement are under trade-off relationship, it is imperative for manager to enhance certain resrource fit matching performance dimension which new product teams focus on.

      • KCI등재
      • 잠재계층분석(LCA)을 활용한 가공송전선로 건설에 대한 인식과 태도의 유형 및 특성 연구

        이종서(Jongseo Lee),심동녘(Dongnyok Shim) 한국환경정책학회 2022 한국환경정책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2 No.2

        우리나라의 경우 수도권-비수도권 전력수급 불균형이 매우 심각하고, 지방을 중심으로 재생에너지 발전이 확대되고 있는 점을 감안 할 때, 향후 탄소중립을 위한 시나리오가 이행될 경우 전국적으로 송변전설비에 대한 투자와 확대는 불가피하다. 그런데 탄소중립을 위한 이행전략 수립과정에서 송변전설비 확대에 대한 논의는 상대적으로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특히 그리드 시설 중 하나인 가공송전선로 건설은 경과지 인근 주민들에게 기피 · 혐오 시설로 인식되어 강한 반발을 불러온다. 이미 2000년대 중반밀양 송전탑 건설 문제는 사회적으로 큰 혼란을 야기하였고 우리사회는 비싼 수업료를 지불 한 바 있다. 앞으로 더욱 심화 될 수도권-비수도권 전력수급 불균형과 이로인한 전력망에 대한 신규투자는 송전선로 경과지 주민들과 정책당국의 마찰로 이어질 수 밖에 없음을 의미한다. 송전선로 건설을 둘러싼 이해관계자 갈등관리 측면에서 주목할 점은 가공송전선로 건설에 매우 강경한 반대 입장을 취하는 경과지 주민들이 대표성을 가지고 언론과 각종 미디어에 노출되곤 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기존 연구들은 실제 지역주민의 태도와 인식은 미디어에 노출되는 강경한 입장뿐만 아니라 매우 다양한 인식을 갖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를테면 송전탑 등 비선호시설 건립은 지역주민에게 긍정과 부정의 의미를 동시에 제공하고(정원준, 2015), 기피 · 혐오시설 건설 찬반은 가시성 관련 변수가 기인하며 이러한 국책사업은 긍정과 부정의 효과가 동시에 발생하는 것을 확인했다(박재필 · 황성원, 2016).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공송전선로 건설과 관련한 국민들의 태도와 인식이 다층적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전제로, 잠재계층분석(LCA)을 활용하여 국민 일반의 의식이 이질적인 몇 개의 계층으로 구분될 수 있음을 확인했다. 그리고 클러스터 된 계층을 토대로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변수들(문제인식, 주민참여, 인지된 건강위험, 인지된 경제적위험)을 분석하여 가공송전선로 건설과정에서 마주하는 정부(지방자치단체)-지역주민 간의 갈등관리에 적극 활용할 수 있는 이론적 · 정책적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도출했다. 첫째. 가공송전선로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은 동질적이지 않기에 평균의 잣대를 활용하여 인식과 태도를 가늠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잠재계층분석(LCA)을 통해 국민의 가공송전선로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대하여 특정계층으로 유형화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따라서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는 갈등관리를 위한 정책을 수립할 때 주민 전체를 하나의 집단으로 보는 것이 아닌, 여러 계층으로 이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가공송전선로 건설과 관련하여 잠재계층별로 수용성에 있어 큰 차이를 보임을 확인했다. 주민수용성, 보상방안 중요도 등 핵심변수들을 대상으로 분산분석과 독립성검정을 실시한 결과, 계층별로 유의미한 차이(p < 0.001)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공공갈등 해결 측면에서 대표성을 갖는 일부 계층을 위한 보상방안이 형성되는 것은, 다른 계층의 수용성 향상에 도움이 되지 않을 수 있다. 셋째. 갈등해결과정 및 방식에 있어 계층별 차이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대부분의 계층이 송전탑 건설협상의 걸림돌로 지역주민의 과다한 보상요구를 꼽은 반면, 높은 위험인식·문제인식을 지닌 계층은 공무원의 권위주위적인 태도를 주요 원인으로 꼽았다. 이는 국민 일반의 인식이, 가공송전선로를 둘러싼 갈등 증폭에 대해 지역주민의 과다 보상요구와 감정적인 태도를 문제 원인으로 본다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잠재계층모형을 활용하여 집단을 구분하여 접근하는 이유는 정책 이해관계자의 태도와 인식을 보다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으며, 이를 토대로 효과적인 정책설계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가공송전선로 건설에 따른 정부(지방자치단체)-지역주민 간의 갈등은 신재생에너지로의 전환에 있어 필연적으로 수반되는 과정으로, 지역주민의 인식 및 태도를 여러 개의 계층으로 구분하여 수용성을 높이고자 하는 지속적인 노력을 취한다면, 가공송전선로 건설에 따른 공공갈등의 합리적인 관리가 가능할 것이다.

      • KCI등재

        패션기업 디지털전환 성공요인 및 이행전략의 중요도 평가

        방효민(Hyo Min Bang),심동녘(Dongnyok Shim) 글로벌경영학회 2022 글로벌경영학회지 Vol.19 No.5

        성공적 디지털전환을 위한 산업 간, 기업 간 경주가 치열하게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패션산업은 연구개발 및 제조에서부터 마케팅과 판매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접점에서 ICT신기술이 융·복합 되면서 혁신을 견인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하지만 기대와 달리 산업 현장에서는 성공적인 디지털전환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패션산업 및 ICT기술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AHP 방법론을 이용하여 패션기업 디지털전환의 성공요인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중요도를 도출한다. 나아가 핵심 이행전략의 우선순위를 평가하였다. 분석결과 의사결정 계층에 1계층 3개 요인(전략 요인, 프로세스 요인, 문화 요인) 중 문화 요인이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2계층 9개 요인 중 경영진의 디지털전환에 대한 관심과 지원이 16.9%로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디지털전환 이행전략(고객경험 극대화 중심전략, 생산 및 디자인 효율화 중심전략)의 우선순위에 대한 평가로는 고객경험 극대화 중심전략이 생산 및 디자인 효율화 중심전략보다 근소하게 높은 평가를 받았다. 이를 통해 패션기업의 성공적 디지털전환을 위해서는 최고 의사결정권자들의 의지와 역할이 중요하며, 이 과정에서 ICT신기술을 활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고객경험을 제고하는 것이 중요한 디지털전환 이행전략임을 확인 하였다. 본 연구는 학술적 관점에서 ICT신기술을 중심으로 산업 간 융·복합이 빠르게 진행되는 가운데 디지털전환에 대한 개념규정을 토대로 패션산업의 디지털전환 성공요인을 식별하고 각 요인들의 중요도를 평가함으로써 디지털전환 수행에 필요한 개념적 체계를 제공한다. 나아가 패션기업을 비롯한 비(非)ICT산업들이 디지털전환에 더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이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In the recent business environment where the digital transformation makes a value across the industries, the fashion industry also witnessed a variety of business cases which leveraged cutting-edge ICT technologies to increase effectiveness of production and maximize customer experience. But, in the real world, vast majority of fashion companies had a trouble achieving successful digital transformation. In this background, this paper aims to identifying factors influencing successful digital transformation in fashion industry using AHP model. Furthermore, this study evaluate relative importance of two different implementation strategy for digital transformation: (1) Effectiveness of R&D and production (2) Maximizing customer experience. The pannel who answered AHP survey consist of experts in fashion industry and IT industry. As a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successful digital transformation of fashion industry was organizational culture at the 1st hierarchy of AHP model and the interest and support of TMT(Top Management Team) at the 2nd hierarchy of AHP model, respectively. Finally, in the evaluation of the priority of the implementation strategy, the strategy for maximizing customer experience was found to be slightly higher than the strategy for improving production efficiency. This paper contributes to both academia and practice.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attempt for quantitatively evaluating importance score of variety factors influencing digital transformation in fashion indus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