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十三經注疏 번역의 필요성과 방법-부 : 전통문화연구회의 사례 검토-

        심경호 한국고전번역학회 2018 고전번역연구 Vol.9 No.-

        Commentaries and subcommentaries to the Thirteen Classics(十三經注疏) includes commentaries(注), subcommentaries(疏) and correct meaning (正義) from Han period to Tang and Song period which were added on the Thirteen Classics. It was Commentaries and subcommentaries to the Thirteen Classics that was used as the original texts by the scholars of evidential scholarship(考證學) during the rule of Qianlong and Jiaqing Emperors of the Qing dynasty. It is estimated that an unique methodology of research of Chinese classics was not developed in traditional Korea as most scholars were absorbed in the government service examination(科擧) after the Great Compendium of Neo-Confucian Commentaries on the Four Books and the Three Classics(四書三經大全) was approved to be the authorized textbooks in the middle of the 15th century. However, in the 18th century Yi Ik(李瀷) and Ahn Jeongbok(安鼎福) challenged to its authority and in the early 19th century King Jrongjo(正祖), Jeong Yakyong(丁若鏞), Sin Jak(申綽), Gim Jeonghui(金正喜) emphasized Commentaries and subcommentaries to the Thirteen Classics to lead new age of new learning. Gim Jeonghui criticized the blind pursuit of the neo-confucianism pointing out in his discourse on the character of Li(理文辨) that there was no case that the character Li was used in the context of the theory of Li-Qi(理氣論) in the Confucian Classics. It was very important argument that could be a pivotal moment in the Korean history of thoughts. However, this academic sprout could not cultivated due to the political and cultural situations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It was 1970’s that various classical literatures from traditional four categories(classics, histories, masters and literary collections) began to translated into modern Korean with the extension of the scope of Chinese Classics. However, as to the category of classics, Commentaries and subcommentaries to the Thirteen Classics was not translated nor researched. In China, it is usual to select Commentaries and subcommentaries to the Thirteen Classics as the original text when researching classical learning (經學), and in Japan it is common to research Confucian Classics with old commentaries(古注)in an earlier age since the collation of ancient books during the Meiji period. The Thirteen Classics is usually used in the Western society, either. In Korea, lots of translation of the Four Books and the Five Classics were published, but the texts of the Thirteen Classics were not considered as the original texts in these translations. In this context, it is very meaningful to translate the whole texts of the Thirteen Classics from 2012 to 2039 under the project of ‘the special program of translation of the Thirteen Classics’ by the Institute of Traditional Culture. This project includes the construction of a database that it will lay the foundation for national and oriental studies. At last I want to suggest four points that should be considered for better translation: ① discrimination of the organization of Commentaries and Subcommentaries(注疏) ② confirming the master method of Han Learning and understanding the principle of subcommentaries should not violate commentaries(疏不破注) ③ utilizing the method of philology including phonology and etymology ④ comparing commentaries and subcommentaries(注疏) with new commentaries using text with collected commentaries(會注本) compiled in the order of the emperor of Qing dynasty. 十三經注疏는 한나라 이후 당나라와 송나라에 이르기까지 유가의 13경에 대해 이루어진 注와 疏, 正義를 아우르는 말이다. 청나라 초부터, 주자학이나 양명학의 관념적 학풍을 부정하고 한나라 때의 훈고학을 재평가하는 實事求是 학풍이 나타났을 때 그 학풍을 대표하는 학자들이 연구의 저본으로 삼은 것이 바로 이 十三經注疏이다. 한국의 한학은 15세기 중엽 四書三經大全을 유가 경전의 課本으로 정한 이후, 科擧 공부에 치중하여 塾師의 句讀에 의존함으로써 근대 한문고전 연구의 독자적 방법을 수립하지 못한 면이 있다. 다만, 18세기에 이르러서 李瀷과 安鼎福은 四書三經大全의 독점적 지위를 부정하고, 18세기 말, 19세기 초의 正祖, 丁若鏞, 申綽, 金正喜 등은 十三經과 十三經注疏를 중시하여 신 학문의 맹아를 열었다. 김정희는 고증적 논증을 통해서 주자의 경전 주석을 맹목적으로 추수하는 것을 비판하고, 「理文辨」에서는 경문에 理자가 이기설의 理와 같은 개념으로 사용된 예가 없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일제 강점 이후 현대에 이르기까지 정치문화적 상황은 이 맹아가 성숙하는 것을 방해했다. 1970년대 이후 비로서 한문고전의 범위가 확장되어 經部의 사서오경, 史部의 정사류․고사류․전기류․정서류, 子部의 유가류․병가류․법가류․농가류․의가류․예술류․잡가류․술수류․소설가류․도가류․유서류, 集部의 주요 고전들이 번역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한문고전의 정수인 經部의 경우 十三經注疏는 전문적인 연구나 번역이 이루어지지 못했다. 중국에서는 明代 이후 淸代와 近代에 이르러 十三經注疏를 經學 硏究의 표준으로 삼아 연구해 오고 있으며, 일본에서는 明治維新 시기에 이미 漢文大系 등의 한문고전 정리 작업을 통하여 古注 연구가 일반화되어 있다. 서양에서도 경학은 十三經注疏를 課本으로 삼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그간 四書五經의 번역서가 다수 출간되었지만 이들 번역서는 애초에 十三經注疏를 고려하지 않았다. 이러한 때에 전통문화연구회가 東洋古典譯註事業 ‘十三經注疏 譯註 특별계획’으로 2012년부터 2039년까지 12종 111책 (국고보조 번역서 『爾雅注疏』 1종 제외)을 역주 완료할 계획을 세운 것은 매우 의의가 크다. 그 결과물의 DB 구축은 국학 및 동양학 연구의 초석이 될 것이다. 다만, 역주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다음 4항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① 注疏 체례의 변별 ② 漢學의 家法 확인과 疏不破注 태도의 이해 ③ 음운론과 문자학 등 소학(philology)의 방법 활용 ④ 注疏와 新注의 비교 등. 특히 注疏와 新注를 대조할 필요가 있는데, 이때는 淸朝 勅撰 會注本들을 참고로 하는 것을 권한다.

      • KCI등재
      • KCI등재

        세계 한문교육의 방향과 한국의 역할

        심경호 동방한문학회 2018 東方漢文學 Vol.0 No.74

        This article surveys the current global directions of the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and literature with several cases including China, Japan and the United States, and suggests the role of Korea. The policies of the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and literature in East Asia countries in modern period will be summarized and also the curricula and textbooks, dictionaries of each countries concerned including China, Japan, Taiwan, South and Nor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will be and also surveyed. It is at the moment estimated that the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and literature in East Asia countries is in decrease in spite of their constant political efforts in each countries. It is needed to reconsider whether the current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and literature in Korea reflects the true picture of Sino-Korean literature and its traditional methodologies. At last this article suggests the several henceforth tasks: (1) the examination of historical reality of the spheres of Sino-Korean literature, (2) the efforts to keep up with the global trend of classical studies, (3) the dissemination of the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and literature for the diffusion of Korean studies, (4) the aggressive strategies to meet the academic requests from the countries abroad. 본고는 현재 한국의 한문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넓은 시야에서 성찰하는 의미에서 해외 몇몇 국가의 사례를 토대로 ‘세계 한문교육의 방향’을 진단하고 ‘한국의 역할’을 제안하였다. 곧, 중국․대만․일본․북한․한국 등 근세 이후 동아시아 각국의 한자교육 정책을 요약하고 중국․대만․일본․미국에서의 한자한문의 교과과정 및 교과서, 한자 사전 등의 한자한문교육 관련 제 상황을 개괄하였다. 동아시아의 각 지역, 각 국가는 한자교육에 일정한 관심을 쏟고 있지만 한자한문 교육은 차츰 감쇄하는 추세이다. 한국의 한자한문교육은 한국한문의 실상과 한국한문 연구의 전통을 잘 반영하고 있는가, 현재의 세계 고전 연구 추세에 라인-업하고 있는가에 대한 성찰이 필요하다. 본고는 한국의 한자한문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1) 한국한문의 역사적 실상에 대한 고찰 필요, (2) 세계 한자한문 고전연구의 추세에 라인-업을 하기 위한 숙려 필요, (3) 한국학의 확산을 위한 한자한문 교육의 해외 보급, (4) 해외로부터의 학적 요구에 부응하려는 자세 전환 등의 과제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조선 문인의 기록에 나타난 오사카, 교토 그리고 에도의 심상지리

        심경호 고려대학교 응용문화연구소 2008 에피스테메 Vol.- No.2

        After the 16th century's japanese invasion, the main thoughts of literary class of Chosun on japanese culture in general was a lower and savage one. One of reasons of this underestimation is surely the feeling of Chosun's literary class that the civilized people was forced to be through the savage period of their history. After the 17th century, Japan invited some high-class literary class to Japan so that the new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Japan could be reestablished. But, armed strongly with their culturally superior feeling on that of Japan, Chosun's literary class who went to Japan never succeeded to see the reality of Japan, that is, the progress of Japan. This article examines the concrete aspects of this “blindness” throughout the letters, formal reports and the informal sayings of this literary class who went to Japan so that this tragic history will never to be repeated again.

      • KCI등재

        낙서와 지천 최명길의 창수(唱酬) 및 지천의 서찰에 관하여

        심경호 열상고전연구회 2020 열상고전연구 Vol.71 No.-

        낙서(洛西) 장만(張晩, 1566-1629, 시호는 忠定)의 문집은 7권 3책의 운각 인서체자 활자본으로 전한다. 별세한 지 1백 2년이 되도록 유문(遺文)이 세상에 간행되지 못하다가, 낙서의 족현손 장보현(張普顯, 1658-1739)이 유문들을 수 집하고 여러 사람들의 찬술(贊述)을 붙여서 판각하여 인쇄할 것을 서둘렀다. 장 보현은 낙서의 증손 장세광(張世光)과 함께 이의현(李宜顯)에게 서문을 했다. 이의현은 인조반정의 계책이 실로 ‘실로 공의 문미(門楣)에서 나왔다’라고 했 다. 이것은 사위인 지천(遲川) 최명길(崔鳴吉,1586-1647)의 계책에 낙서가 동 조했음을 언급하고자 한 듯하다. 사실, 낙서는 반정 자체에 선뜻 응하지 않았으므 로, 최명길은 그에게 협조를 요청하는 서찰을 보냈다. 이의현은 낙서가 후금이 대 두하는 전환기에 약소국으로서 불가피하게 ‘기미(羈縻)하자는 설’을 주장했다는 점을 일정하게 평가했다. 그런데 낙서의 이 주장은 바로 최명길이 주장한 외교정 책이다. 최명길은 후금과 맞서 싸우지 말고 회유하자는 논의를 ‘기미의 설’이라고 표현했다. 그리고 이의현은 낙서의 시문에 대해, 낙서가 종묘사직을 위해 헌신했 으므로 결코 시문을 아름답게 꾸미려 하지 않았다고 했다. 낙서는 시문을 아름답게 꾸미는 일이 결코 없었지만 시문에 뛰어났다. 낙서는 1589년(선조 22) 생원ㆍ진사 양시에 모두 합격하고 1591년 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상층 문인이었다. 그런데 낙서는 특히 사위 최명길과 수창(酬唱)을 많이 하여, 그것이 낙서집과 최명길의 문집 잔권(殘卷)에 전한다. 본고는 낙서의 정 식시(과시)를 통해서 낙서의 작시 수준을 살펴본 후, 낙서와 지천의 수창, 그리고 지천이 낙서에게 올린 서찰을 통해서 낙서의 시 세계, 행동양식과 사유방식 등의 일단을 살펴보았다. 최명길은 만년에 인조의 총애를 잃고 청론의 비판을 받으면서 쓸쓸하게 타계했다. 하지만 낙서의 손자 장현주(張顯周)는 최명길의 유사(遺事)를 지었고, 또 유집에 「지천선생최문충공유집서(遲川先生崔文忠公遺集序)」를 지었다. 낙서의 손자 장 현주만이 최명길의 사유양식을 이해해 준 것은, 최명길이 생전의 낙서의 행동과 사유를 이해해준 것에 대한 가장 적절한 보답이었다고 생각된다. The collection of Naksŏ (洛西) Chang Man (張晩, 1566-1629, a posthumous epithet is 忠定) consists of seven volumes with three books, printed in the Un'gaginsŏch'e type. Chang Man’s works had not published for a 120 years after his death, however, his relative great-great-grandson Chang Pohyŏn (張普顯, 1658-1739) collected leftover works and added many people’s compliments to hasten engraving and publishing. Chang Pohyŏn and Chang Man’s great-grandson Chang Sekwang (張世光) commissioned a preface to Yi Ŭihyŏn (李宜顯). Yi commented the strategy of Injo Coup originated from Mr.Chang’s lintel. This seems to be referring Chang Man agreed to the plan of his son-in-law Chich'ŏn (遲川) Ch'oe Myŏngkil (崔鳴吉,1586-1647). In fact, Chang Man did not willingly respond to the Coup, therefore Ch'oe Myŏngkil sent a letter of cooperation to Chang. Yi Ŭihyŏn acknowledged that Chang inevitably followed Jimi (羈縻) system as The Later Jin emerged at the turning point, and the idea was identical to Ch'oe Myŏngkil’s idea of a peace treaty. Yi Ŭihyŏn commented Chang Man did not tried to glamorize his works, because he devoted himself to the country instead. Although he did not glamorize, he excelled in poetry and prose. Chang passed both exam of Saengwŏn and Jinsa in 1589 (22nd of the king Sŏnjo), passed civil service exam in the second tier in 1591 as a high level literary person. Chang frequently responded in poems with his son-in-law Ch'oe, such poems can be found in Chang’s collection Naksŏjip and part of Ch'oe’s collection. This article analyzed the level of Chang’s examinational poetry (Chŏngshikshi or Kwashi), and looked into his poetic world and the way of thinking in poetic responses between Chang and Ch'oe and letters from Ch'oe. Ch'oe Myŏngkil lost favor from king Injo in his last age, died in loneliness under criticism from the opposing party. However, Chang Man’s grandson Chang Hyŏnchu(張顯周) a reminiscence for Ch'oe, and Chich'ŏnsŏnsaeng Ch'oemunch'unggong Yujipsŏ (遲川先生崔文忠公遺集序) for Ch'oe’s collection. The reason only Chang Hyŏnchu acknowledged Ch'oe’s thought must have been a proper repay for the Ch'oe’s understanding of Chang’s life and though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