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M.I 공법의 내구성 및 차수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신효희(Hyohee Shin),박민철(Minchul Park),박경한(Kyeonghan Park),서지원(Jeeweon Suh),이송(Song Lee) 한국지반환경공학회 2013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Vol.14 No.1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물유리계 공법인 SGR 공법과 SMI 공법을 실내시험으로 공학적 특성을 비교한 것으로, 각 조건별 양생기간과 양생조건에 따라서 내구성, 강도 및 차수특성, 환경 영향성을 비교 ? 분석하였다. 그 결과 내구성의 경우 SGR 공법은 SMI 공법에 비해 최대 23배 정도 체적변형이 발생하였고, 환경에 미치는 영향은 두 시료 모두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차수특성의 경우 SMI 공법은 최대 24% 정도 감소하였으나 SGR의 경우 체적변형이 급격하게 발생하여 간극이 커져 투수계수가 커지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강도특성은 SMI 공법이 SGR 공법 보다 호모겔의 경우 약 11.0배, 샌드겔의 경우 약 3.9배 정도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주원인은 SMI 공법은 SGR 공법 보다 용출현상으로 인한 체적변형이 적게 나타났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On this study, engineering properties of SGR method and SMI method, which are typical sodium silicate methods, were compared through the laboratory test and durability, strength, waterproof characteristic and environmental effects were compared and analyzed with period and condition of curing on each case. As a result of durability test, volume change of SGR is approximately 23-times greater than SMI and the effects on environment are appeared safe on all method. In case of waterproof characteristic test, permeability coefficient is decreased about 24% on SMI, whereas on SGR permeability coefficient is showed to increase because rapid volume change make wider void. Strength characteristics of SMI are appeared higher about 11-times in case of homogel and 3.9-times in case of sandgel than SGR. Which is because volume change of SMI, caused by leaching, is smaller than SGR.

      • KCI등재

        점토층 위 모래지반의 지지력비에 따른 얕은 기초의 지지력 거동

        정민형,신효희,이송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11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Vol.15 No.1

        연약 점성지반 위에 상대적으로 낮은 하중의 구조물이 얹어질 때, 상부에 모래층을 두어 지지력을 증진시킬 수 있다. 이와같은 점토 위 모래층이 놓이는 조건에 대한 지지력 검증은 현장에서 평판재하시험 등을 통해 지지력 검증이 어렵기 때문에 설계단계에서부터 정확한 지지력 예측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점토 위 모래층이 놓이는 지반의 지지력 거동을 파악하기 위해 2차원 실내토조실험과 FEM 해석을 수행하였다. 주요 인자로 깊이비 H/B와 지지력비 qc/qs를 선정하여, 모래층 높이, 점토의 비배수전단강도 그리고 재하 폭을 변수로하였다. 그 결과, 실내토조실험은 FEM 해석과 적합성이 상당히 높게 나타났다. 이론식과의 비교에 있어서 보다 최신 연구인Okamura et al.(1998)의 메커니즘보다 관입전단 메커니즘과 그 유사성이 크게 나타났으며, 하중확산 메커니즘의 적용성을 위하여 등가하중확산각을 제시하였다. 또한, qc/qs에 대하여 무차원 단위의 한계깊이비 Hf의 선형 회귀식을 제안하였다. When a structure which has relatively low load constructs on soft clay, the bearing capacity of the ground will be improved by sand overlying clay. In this condition, verifying the bearing capacity is difficult from the P.B.T etcetera in the in-situ. So, it is needed to estimate precise bearing capacity in the design process. In this study, 2-dimensional chamber tests and FEM analyses are conducted to evaluate behavior of bearing capacity for shallow foundations on a sand overlying clay. Because depth ratio H/B and bearing capacity ratio qc/qs are selected as main factors, height of a sand, undrained shear strength of a clay and width of a loading are designated as variables. Results from chamber tests are very similar with those of FEM analyses. And it shows that punching shear mechanism is more suitable than the equation of Okamura et al.(1998). To make continual application of load spread mechanism, the equivalent load spread angle is proposed for H/B and qc/qs. Also, the linear regression equation of critical depth ratio Hf is suggested for qc/qs.

      • KCI등재

        FEM을 이용한 연암 파쇄대 지반의 흙막이 벽체 거동 분석

        장기수,박민철,신효희,이송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13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Vol.17 No.4

        A soft rock fracture zone is an important element for rock slope or earth retaining, however stability studies of earth retaining wall have been lack. Therefore, this study is analyzed for a behavior of earth retaining wall with condition of fracture zone or no fracture zone and then a numerical analysis (Finite Element Method) was performed considering interaction with field monitoring data between ground and structures. As a result, applied horizontal displacement on retaining wall is correspond between result of numerical analysis and field monitoring data and displacement point stress distribution with fracture zone condition analyzed to be stable side but no fracture zone condition is expressed to be unstable side.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purpose for applying safety construction as a top priority at field when designing for future.

      • KCI등재

        공용중인 ASSM 터널의 안정성 평가

        권영정,박민철,신효희,이송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11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Vol.15 No.5

        수십 년 경과한 노후화된 터널에 대한 효율적인 유지관리를 통한 안정성 확보와 공용수명을 연장시켜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재래식 터널은 주변 지반의 물리적 특성, 터널의 기하학적 특성, 지하수위 및 환경, 라이닝의 산화와 구성재료의 변상에 따라 터널의 안정성 및 사용성이 저하될 수 있다. 장기적인 측면에서 터널 구조물의 사용성을 증대시키고 효과적인 유지관리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각종 성능저하 현상, 손상정도 및 내구성을 장기적으로 점검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공용 중인 재래식 터널(American Steel Support Method, ASSM)의 안정성을 분석하기 위한 연구 내용으로서 1930년대와 1960년대의 시공된 터널을 각각 3개씩 선정하였고, 연구의 신롸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충청지역, 경북지역, 강원지역, 전라지역 등 다양하게 하였다. 분석내용은 공용중인 재래식 터널의 라이닝의 보수·보강, 균열조사, 라이닝 두께 및 라이닝 강도 등을 조사 연구하여 비교·분석 하였고, 균열조사는 균열게이지, 공동현상은 GPR, 강도는 슈미트해머를 이용하여 재래식 터널의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1930년대 터널은 균열발생이 더 많이 발생하였고, 라이닝강도도 높게 평가되었다. 라이닝두께는 1960년대가 더 두꺼운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비례적으로 공동현상도 1930년대보다 더 많이 발생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need of securing the stability and extending service lives by efficient maintenance of deteriorated tunnels for several decades has been increased. The stability and the usability of conventional tunnels can be decreased by change of physical properties of the surrounding ground, geometrical properties of the tunnel, an underground water level, environmental conditions, oxidation of lining and the breakdown of constituent materials. In respect of a long-term view, it is need to check all sorts of degradation, the degree of damage and durability to improve the serviceability and to come up with measures to maintain effectively. This paper is about study to analyze the stability of conventional tunnels(American Steel Support Method. ASSM). Three tunnels are chosen in those built in the 1930s and 1960s and the locations of tunnels are selected variously(ChungCheong, GyungBuk, GangWon, Jeolla, etc.) to secure reliability of this study. The state of repair and reinforcement of linings, cracks, and thickness and strength of lining of conventional tunnels in service are researched, compared and analyzed. The crack gauge, the GPR, the schmitt hammer was used for the crack investigation, cavitation, the strength respectively. By using these, the comparative analysis for conventional tunnels was conducted. As a result, there are more cracks in tunnels built in the 1930s than those of tunnels built in the 1960s, and lining strength of the 1930s is higher than those of the 1960s. The thickness of lining in tunnels built in the 1960s is higher than those in tunnels built in the 1930s. In proportion to thickness, cavitation occurred more frequently in tunnels built in the 1960s compared to those in tunnels built in the 1930s.

      • KCI등재

        모래로 치환된 점토지반의 지지력비에 따른 얕은 기초의 지지력 특성

        하영민,이송,정민형,신효희 한국지반공학회 2011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Vol.27 No.11

        In this study, we considered the bearing capacity of strip footing over clay layers partially replaced by sand. The FEM analysis is performed to calculate the ultimate bearing capacity. Partial replacement is defined by multiples of footing width(B) and inclination of sides. The cases(B'=inf.) of sand layers equal to clay layers are preferentially conducted. The baring capacity of B'=inf. is comparative value for bearing capacity of partial replacement layers. is the ratio of ultimate bearing capacity of B'=inf and partial ultimate bearing capacity replacement. is us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 of bearing capacity of clay layers partially replaced by sand. Each of the three undrained shear strengths of clay and friction angles of sand is considered. The result of this analysis shows that depends on sand depth.

      • KCI등재

        세립분 함량에 따른 준설토의 분리 퇴적 특성

        박민철(Park Minchul),이종경(Lee Jongkyung),신효희(Shin Hyohee),이송(Lee Song) 한국지반환경공학회 2011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Vol.12 No.6

        준설매립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서해안 지역 준설토는 일반적으로 조립분 함량이 높다. 이 지반을 펌프로 준설 시 토출구의 위치 및 흙의 공학적 성질에 따라 다른 거동을 나타낼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세립분 함량 변화에 따른 준설토의 분리 퇴적특성을 구현하기 위해서 상사의 법칙을 적용하여 길이 2,650㎜, 폭 770㎜, 높이 735㎜의 모형토조장비를 제작하여 SM과 ML시료로 단계투기방법과 함수비 300%, 500%, 700%에 대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ML시료는 초기함수비가 높을수록 침강완료시간에 빨리 도달하였고 확산거리가 멀어질수록 침강시간은 길어졌다. SM시료는 확산거리 120㎝까지 조립토의 거동을 보이며 그 이상의 확산거리에서는 세립분의 영향으로 ML시료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함수비와 세립분 변화 역시 ML시료는 심도가 낮아지고, 확산거리가 멀어질수록 통과율이 커지고 함수비는 작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고, SM시료는 확산거리가 가까운 구역에서는 조립토가 쌓여있고 먼 구역에서는 세립토가 쌓여있어 두 시료의 경계지점인 120㎝∼160㎝을 기준으로 세립분 함유량과 함수비의 큰 차이가 보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전단강도는 확산거리에 따라 ML-최대 2.97㎪, SM-최대 10.2kPa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Dredged and reclaimed ground in progress at the West Coast has a high content of coarse particles. There will be different behaviors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outlet and engineering properties of soil when its ground is dredged by a pump. Therefore, the experiments were conducted that were manufactured about the chamber equipment of length 2,650㎜, width 770㎜, height 735㎜, experimented step filling method and water content about 300%, 500% and 700% respectively with SM and ML samples in order to realize segregating sediment characteristics of dredged ground with changing much fine. With results of analysis, ML sample by higher initial water content was reached to the period of complete sedimentation and coefficient of sedimentation consolidation increased with increases of diffusion distance. SM samples showed behavior of coarse soil with diffusion distance 120㎝, diffusion distance of more than 120㎝ showed a similar tendency with ML sample under the influence of fines. In ML sample, it could be also found that lower depth and the more increasing diffusion distance increase in percentage of sieve #200 but water content decreases. In SM sample, it could be also found that coarse soil was piled at near the diffusion distance zone but fine soil was piled at the far diffusion distance zone and prominent difference showed between percentage of sieve #200 and water content(%) by boundary point 120㎝∼160㎝ of both samples. Also, shear strength was expressed ML-maximum 2.97㎪, SM-maximum 10.2kPa with diffusion distance.

      • KCI등재

        외수압에 의한 강관 라이닝 좌굴 사례 연구

        정규정(Chung, Kyujung),정경문(Chung, Kyungmun),신효희(Shin, Hyohee),김대호(Kim, Daeho) 한국지반환경공학회 2011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Vol.12 No.12

        외수압에 의한 강관 라이닝 좌굴 사례를 조사, 평가하여 강관 라이닝의 안전성에 미치는 요소 및 그 중요도를 산정하고자 하였다. 대상터널은 ○○광역상수도 도수시설인 직경 2m의 수로터널로서 터널 라이닝은 내부의 강관 라이닝과 배면의 뒷채움 콘크리트로 구성되어 있다. 두 개의 수로터널에서 발생된 강관 라이닝 좌굴 손상을 대상으로 손상의 형태 및 설계 조건을 상세하게 조사하였다. 좌굴 손상에 적용 가능한 좌굴 안전성 평가방법을 기존의 문헌 자료를 참조하여 선정하였으며, 손상에 대한 조사결과와 비교하였다. 또한 본 지역의 수리지질학적인 특성이 좌굴 손상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수리지질학적 지층특성뿐만 아니라 터널 라이닝의 적절한 시공이 강관 라이닝의 좌굴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며, 외수압의 크기 결정은 수리지질 특성에 따라 산정되어야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기존 손상 사례에 대한 연구는 압력 수로터널의 강관 라이닝에 대한 설계, 시공 및 유지관리 기간 중의 문제점 및 개선사항을 도출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main objective of this paper is finding the influence factors and their degree of importance to steel liner"s safety by investigating and evaluating the buckling incidents of steel tunnel liner under external water pressure. The study was based on the detailed investigation to the design conditions and incident shapes at 2m diameter waterway tunnel with a partially buckled internal steel liner and concrete backfilled lining as the raw water transmission pipe line of regional water supply project. Appropriate buckling theory capable of applying this incident points was selected by referring the existing literature and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investigation. Also, hydroge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is site on buckling pressure was evaluated.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shown that both the hydrogeological characteristics of upper geologic layers and proper tunnel construction are important factors on buckling at steel liner, and hydraulic gradient level should be decided according to the hydrogeological characteristics. This incident case analysis on steel liner of pressurized waterway tunnel was expected to provide more information for realizing the problems and improvements at each design,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stages.

      • KCI등재

        GCP공법의 복합통수능 효과 분석

        박민철(Park, Minchul),권혁찬(Kwon, Hyukchan),신효희(Shin, Hyohee),장기수(Jang, Gisoo),이송(Lee, Song) 한국지반환경공학회 2011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Vol.12 No.12

        연직배수공법은 효과적인 연약지반 압밀촉진 방법으로 적용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연직배수 공법 중에서 PBD공법은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압밀촉진공법으로 경제성 및 시공성 면에서 우수하나, 환경오염 및 대심도의 경우 배수재의 굴곡으로 인한 통수능 저하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SCP공법은 과거에 통수능력이 우수하여 많이 사용되었으나, 재료의 수급불균형으로 인한 가격급등으로 현재는 과거보다 사용이 많이 줄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른 대책 재료로 쇄석말뚝을 이용한 GCP공법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GCP공법의 통수능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38×70cm의 원형토조를 이용하여 쇄석말뚝과 비교대상인 모래말뚝, PBD공법의 3종류의 연직배수재를 이용하여 복합통수능 실험을 실시하였다. 또한, 쇄석말뚝의 클로깅(Clogging) 범위를 파악하기 위하여 1.0m×0.5m×1.1m 대형토조를 정면에 투명 아크릴로 제작하여 하중단계별 클로깅(Clogging) 범위를 분석하였다. 복합통수능 시험결과 하중증가에 따른 간극비 감소 및 클로깅(Clogging) 현상이 많이 발생한 GCP공법에서 가장 적게 발생하였으며, 또한 GCP 공법의 클로깅(Clogging)의 범위는 거의 10% 내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An application frequency of vertical drainage method is increasing as an effective consolidation acceleration method. PBD method is most frequently used as a consolidation acceleration method in vertical drainage methods. PBD is economical and easy to operate but has some problems those are an environmental pollution and a decrease of a discharge capacity caused by bending of drainage materials when it is used in great depth. SCP method was frequently used because it"s discharge capacity was good but now it is rarely used because of an increase of the material price because of an order imbalance. As the way to solve these problems, GCP method has been to the fore. For analyzing the effect of GCP method on the discharge capacity, three types of composite discharge capacity tests are done by using GCP, SCP and PBD respectively with the circle case, Φ38×h70cm. On the contrary to this, GCP shows the worst discharge capacity for a decrease of the void ratio and the clogging phenomenon caused by increasing load. Also to figure out the clogging range of GCP, the clogging of GCP is checked in each load stage with a large case(1.0m×0.5m×1.1m) which has clear acrylic front face. The diameter of GCP was 35cm and a clogging phenomenon occurred in 10% approximately. The result shows that the discharge capacity of GCP was given the lowest value for a decrease of the void ratio and the clogging phenomenon causing by increasing load. And the clogging phenomenon mostly occurred within 10% of GCP’s diameter ran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