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DCP 표층유속 자료처리방법 개선을 통한 영산강 하구 표층 방류수 이류속도 산정

        신현정,강기룡,이관홍,Shin, Hyun-Jung,Kang, Kiryong,Lee, Guan-Hong 한국해양학회 2014 바다 Vol.19 No.3

        연안에서 관측된 Acoustic Doppler Current Profiler(ADCP) 유속자료의 10-20%는 음향반사 측면효과로 인하여 일반적으로 사용하지 않는다. 본 연구는 ADCP의 사용되지 않았던 자료를 복구하여 영산강 하구에서 저조시 방류되는 담수의 경계면 이류속도를 구하고 이를 통해 담수 유량과 수층의 역학적 안정도를 보다 정확하게 계산하여 하구 내 혼합 환경을 잘 이해하고자 한다. 현장관측은 2011년 8월 영산강의 하구언 전면과 고하도 부근 두 정점에서 한달 동안 실시하였으며, 방류수의 이류속도는 유효 유속 판정에 상관도, 퍼센트굿, 그리고 유속 히스토그램의 엄격한 기준을 적용한 ADCP 후처리방법을 적용하여 복원하였다. 또한, 같은 수로에 위치한 두 정점에서 이류하는 퇴적물의 농도피크시간을 토대로 퇴적물의 이류속도(Sediment Advection Speed)를 계산하여 방류수 이류속도를 비교 검증하였다. 퇴적물의 이류속도를 방류시 ADCP의 표층유속과 비교하였을 때, 방류량이 $2.0{\times}10^7$톤 보다 크면 두 속도값이 유사하고, 그보다 적을 경우에는 퇴적물의 이류속도가 약간 크게 산정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방류가 발생할때 담수이류속도(Freshwater Advection Speed)는 바닥으로부터 $0.8{\times}$수심의 유속보다 평균 0.8 m/s 정도 크기 때문에, 방류가 증가하는 시기에 새롭게 계산된 방류수의 속도를 포함한 순유출량(=수심 및 조석주기로 적분된 흐름)을 계산하면, 그 방향이 하구언으로 들어오는 방향에서 빠져나가는 방향으로 바뀌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표층 담수의 속도가 더해짐으로써 표층 속도쉬어와 리차드슨 수의 분포가 바뀜을 관찰할 수 있었기 때문에 표층 해수의 안정도를 해석함에 있어 실제 방류수 유속의 중요성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유속과 함께 수온과 염분의 장기적인 관측이 수행된다면 담수 방류에 따른 성층의 생성과 소멸, 그리고 관련 부유퇴적물의 변동에 대해서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It has been customary to exclude top 10-20% of velocity profiles in the Acoustic Doppler Current Profiler (ADCP) measurement due to side lobe effects at the boundary. To better understand the mixing in the Yeongsan estuary, the freshwater advection speed (FAS) was recovered from highly contaminated ADCP data near the surface. The velocity profiles were measured by using ADCP at two stations in the Yeongsan estuary during August 2011: one was located in front of the Yeongsan estuarine dam and the other was deployed near Goha Island. The FAS was recovered from the ADCP data set by applying rigorous post-processing methods and compared with the sediment advection speed (SAS). The SAS was determined by the peak time difference of suspended sediment concentration between two stations in the channel, divided by the distance of two stations. The FAS and the SAS showed very similar value when the freshwater discharge was greater than $2.0{\times}10^7$ ton and the SAS was a bit greater when the freshwater discharge was smaller. Since the FAS was on average about 0.8 m/s greater than the velocity at 0.8 of water depth from the bottom, the net discharge, estimated with recovered FAS and integrated over water depth and tidal cycle, was directed seaward during the high discharge contrary to the onshore direction of the net discharge estimated with 0.8 of water depth from the bottom. Moreover, the velocity shear and Richardson number changed when the FAS was used. Thus, the importance of the true FAS is appreciated in the investigation of the surface layer stability. If currents, temperature and salinity were observed for longer time in the future, it could be possible to more accurately understand the formation and decay of stratification as well as the suspended sediment transport processes.

      • KCI등재

        점착성 퇴적물의 염분과 퇴적물농도에 따른 플럭 특성: 플럭카메라를 이용한 실험연구

        신현정,이관홍,Shin, Hyun-Jung,Smith, S. Jarrell,Lee, Guan-Hong 한국해양학회 2013 바다 Vol.18 No.3

        점착성 퇴적물이 다른 광물입자 혹은 유기물과 결합하여 형성되는 플럭(floc)을 현장에서 관측하기 위한 플럭카메라 시스템을 제작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실험실에서 플럭카메라 시스템을 검증하고 영산강 점착성 해저 퇴적물의 플럭 특성을 규명하는 데 있다. 플럭카메라 시스템의 검증은 $88-125{\mu}m$와 $63-88{\mu}m$의 체에 걸러진 모래를 사용하였다. 플럭카메라 영상을 통해 분석한 평균입경은 각각 102와 $65.2{\mu}m$고, 침강속도는 각각 6.7과 5.9 mm/s이다. 카메라 심도에서 벗어난 입자는 실제 크기보다 크거나 작게 측정이 되는 현상으로 인해 체의 범위를 벗어난 입자가 관측되지만, 입경과 침강속도의 평균값에 대한 95% 신뢰수준 오차가 체의 범위에 속하므로 플럭카메라를 이용한 분석을 신뢰할 수 있었다. 영산강 하구의 해저 표층 퇴적물을 0 psu의 증류수에 0.1 g/L 퇴적물 농도로 관측한 평균 입경은 약 $40.6{\pm}0.66{\mu}m$, 침강속도는 1.4 mm/s 프랙탈 차원은 2.86이었다. 추가적으로 10과 34 psu의 염분과 0.1 및 0.3 g/L의 퇴적물 농도에서 관측한 평균입경과 침강속도는 서로 유사했고, 그 값들은 오차범위 내에 존재한다. 플럭카메라 관측을 통해서 얻은 플럭의 빠른 침강속도와 프랙탈 차원은 유기물 함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표층퇴적물의 특성을 반영한다. 또한, 염분과 퇴적물 농도를 변화시켰음에도 플럭의 입경 변화가 거의 없는 것은 플럭을 형성에 충분한 난류 강도가 주어지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향후에는 염분, 퇴적물 농도 및 외력의 변화에 따른 플럭의 특성을 밝히는 연구가 필요하다. To examine floc characteristics of cohesive bed sediment of the Yeongsan River estuary, a floc camera system has been developed and utilized to observe flocs under varying conditions. In order to validate the floc camera system, sand particles were passed through 88-125 and $63-88{\mu}m$ sieves and observed within the laboratory. Mean grain size and settling velocities were found to be 102 and $56.2{\mu}m$ and 6.7 and 5.9 mm/s, respectively. Artifacts of particles estimated outside of the sieve range are attributed to being imaged out of the depth of focus. However, as mean grain size and settling velocity of each size class were within the confidence interval, the floc camera system was confidently used to examine cohesive bed sediments of Yeongsan River estuary. The bed sediment sample was prepared with a concentration of 0.1 g/L in 0 psu deionized water. The mean grain size, settling velocity and fractal dimension of flocs were $40.6{\pm}0.66{\mu}m$, 14 mm/s, and 2.86, respectively. Experiments were also conducted using different salinities (10 and 34 psu) and sediment concentrations (0.1 and 0.3 g/L). Despite changing these parameters, the mean observed grain size and settling velocities were found to be the same within the error range of the system. The relatively higher values of settling velocity and fractal dimension are considered a result of the sediment containing relatively small concentrations of organic matter. Moreover, consistent floc size over various grain sizes and concentrations may be the result of insufficient turbulence to aggregate flocs.

      • KCI등재

        일본의 진로교육 현황에 관한 연구: ‘커리어 패스포트’ 사업을 중심으로

        신현정(申賢貞)(Hyun-Jung Shin) 한국일본교육학회 2024 한국일본교육학연구 Vol.29 No.1

        본 연구는 일본의 주요 진로교육 정책 중 하나인 ‘커리어 패스포트’ 사업의 유용성과 문제점을 중심으로 일본 진로교육의 현황을 고찰하였다. ‘커리어 패스포트’는 초등학교에서 고등학교까지의 진로교육과 관련된 다양한 활동에 참여하는 학생들을 위한 것으로, 주로 특별활동, 학급활동 및 홈룸활동을 중심으로 각 교과목 등과 교류하며, 자신의 학습 상황과 진로 형성을 예측하고 되돌아보면서, 자신의 변화와 성장을 자체 평가할 수 있도록 고안된 포트폴리오이다. ‘커리어 패스포트’의 가장 큰 특징은 지속성에 기반한 연계성에 있으며 그 연계성은 ① 각 급별 학교(초・중・고)와의 연계성 ② 지역과의 연계성 ③ 타 교과목과의 연계성으로 세분화할 수 있다. 이러한 사실로 미루어 볼 때, 일본의 진로교육은 종적인 진로교육과 횡적인 진로교육의 조화를 통해 전 생애적 진로교육을 지향하고 있다는 사실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커리어 패스포트’의 특징과 유용성을 분석한 결과, 커리어 패스포트는 진로교육에서 매우 다양한 측면의 효과성이 확인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커리어 패스포트’의 파급 효과는 아직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커리어 패스포트’의 필요성과 유용성에 대한 교사들의 폭넓은 공감대 형성을 위한 노력과 ‘커리어 패스포트’의 적극적 활용을 촉진하기 위한 교사 연수 등을 실시한다면 각 급별 교육과정 안에서 학생 이해와 진로지도를 위한 의미 있는 활동으로 조금 더 빨리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다. 끝으로 일본의 진로교육은 초・중・고의 급별 학교 간 종적 연결과 타 교과목과의 연계 및 지역사회와의 연계와 같은 횡적 연결의 조화를 추구함으로써 학생들이 자신의 진로 발달에 대해 깊은 전문성과 넓은 시야를 동시에 가질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는 점은 한국의 진로교육에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크다. この研究は、日本の主要なキャリア教育政策の一つである「キャリア・パスポート」プログラムの有用性と課題を中心に、日本のキャリア教育の現状を考察した。「キャリア・パスポート」は、小学校から高校までのキャリア教育に関連するさまざまな活動に参加する学生を対象としており、主に特別活動、学級活動、ホームルーム活動などを中心に各教科と交流しながら、自分の学習状況と進路形成を予測し、振り返りながら、自身の変化と成長を自己評価できるように設計されたポートフォリオである。「キャリア・パスポート」の最も大きな特徴は、持続性に基づく連携性であり、その連携性は①各学年の学校(小・中・高)との連携性、②地域との連携性、③他の教科との連携性に細分化できる。これらの事実から、日本のキャリア教育は、縦のキャリア教育と横のキャリア教育の調和を通じて、生涯にわたるキャリア教育を追求していることが明らかになった。 そして、「キャリア・パスポート」の特徴と有用性を調査したデータを分析した結果、「キャリア・パスポート」はキャリア教育において非常に多岐にわたる効果が確認されているにも関わらず、現在の「キャリア・パスポート」の波及効果はまだ期待に達していない水準である。したがって、「キャリア・パスポート」の必要性と有用性に対する教師たちの幅広い共感を形成するための努力や、「キャリア・パスポート」の積極的な活用を促進するための教師研修などを実施すれば、各学年の教育課程内で学生理解と進路指導のための意味ある活動として確実に位置づけることができるだろう。 日本のキャリア教育が小・中・高の学校間の縦的な連携と他の教科との連携、地域社会との連携など、横的な連携の調和を追求することによって、学生が自分の進路発達に対して深い専門性と広い視野を同時に持つことをサポートしているところは韓国のキャリア教育に大きな示唆を与えている。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state of career education in Japan, with a focus on the effectiveness and issues of the Career Passport program, which is one of the key career education policies in Japan. The Career Passport is designed for students participating in various activities related to career education from elementary school to high school, primarily engaging in special activities, classroom activities, and homeroom activities. It serves as a portfolio that allows students to predict and reflect on their learning situations and career development, as well as self-evaluate their changes and growth. The most significant feature of the Career Passport lies in its continuity-based connectivity, which can be further subdivided into ① connectivity with schools at each grade level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② connectivity with the local community, and ③ connectivity with other subjects. Through these facets, it is evident that Japan's career education aims for lifelong career education through the harmonization of vertical and horizontal career education. Despite the confirmed effectiveness of Career Passport in various aspects of career education based on the analysis of data investigating its features and usefulness, the ripple effects of the current program are still below expectations. Therefore, efforts to form a broad consensus among teachers regarding the necessity and usefulness of the Career Passport, as well as initiatives such as teacher training to promote its active utilization, could firmly establish it as a meaningful activity for student un

      • KCI등재

        서간체 교재를 통한 데라코야(寺子屋) 습자교육의 실제적 의의

        신현정 ( Hyun Jung Shin ) 안암교육학회 2014 한국교육학연구 Vol.20 No.3

        일본의 근세 사회에서 문자 문화의 정착을 구축(驅逐)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며 문화적인 대변혁을 불러일으킨 것은 「데라코야」의 습자 교육이었다. 습자 교육을 통해 확산된 쓰기 문화의 유행은 당시의 봉건적 지배체제나 험준한 지리적 여건으로 인한 에도 서민 사이의 단절을 해소시키는 전면화된 소통수단으로 발전되었다. 또한 사회 성원들의 내면적 깊이를 성장시켜 문화적 주체로 거듭나는 계기를 마련하는 기틀이 된다. 그런 의미에서 「데라코야」에서 이루어진 서간체 교재 「오라이모노」를 통한 습자 교육은 일본 역사 속에서 봉건 시대의 서민을 근대적 시민으로 탈바꿈하게 하는 가장 큰 전환점을 만들어 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에도의 사회상과 미의식에 대한 고찰을 통해 「데라코야」가 지향했던 「혼네」적 의미의 교육적 인간상은 「멋진 남자」를 양성하는 일이었고, 서간체 교재를 활용한 끊임없는 습자 훈련은 에도적 의미의 「멋진 남자」가 되기 위한 전제 조건인 교섭력 배양을 위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데라코야」의 서간체 교재인 「오라이모노」를 통해 이루어진 반복적인 습자 연습은 편지라는 커뮤니케이션 수단을 통해 자신이 원하는 것, 예를 들면 사회·경제적 이익이나 성애를 얻어내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교섭의 도구를 취득해 가는 과정이며, 또한 타자를 설득하고 유혹하는 기술을 터득하기 위한 지속적 기초 훈련의 일환이었던 것이다. In the pre-modern society of Japan, the crucial role in establishment and cultural revolution of the settlement of literate culture was caused by the “Terakoya`s” calligraphic education. The cultural trend through calligraphic education was developed into a major communication means, relieving the disconnection between citizens of Edo era which was caused by either feudal government system or harsh geographical conditions. Also, it became the basis of cause to develop the mental depth of social members to become the cultural centers. In that means, the education through the “Oraimono,” which was written in epistolary in “Terakoya” can be appraised to have created a major turning point in the Japanese history for transforming the citizens of feudal age into the modern citizen. Through the study of the social aspect and sense of beauty of the Edo era, it can be understood that “Terakoya” was training “Stylish men,” the “Honne-ic” educated figure of that it aspired, and learning the epistolary literature by focusing on calligraphic training at “Terakoya” meant to maturate the negotiating skills to accomplish the required qualifications of pursing economic wealth and aesthetic life for becoming Edo`s meaning of the “Stylish Men.” In other words, the repetitive practice through “Oraimono”, calligraphy tool of “Terakoya”, was the process of acquiring the most effective tool of negotiation to gain what they want such as social and economic benefit or love affairs and a part of ongoing training to learn the basic discipline of persuasion and seduction others with communication mean, letter.

      • KCI등재

        유아의 강점리터러시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신현정 ( Shin Hyun Jeong ),황해익 ( Hwang Hae Ik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1 유아교육연구 Vol.41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가 자신의 강점을 인식하고 활용하는 강점리터러시를 증진하여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유아를 위한 강점리터러시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다. 이러한 개별 유아 중심의 맞춤형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먼저 문헌고찰과 선행연구를 분석하였으며, 유아교사의 인식과 요구를 조사하여 프로그램 구성에 반영하였다. 다음으로 프로그램의 개발 방향과 시안에 대한 적절성을 검토하기 위해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2회에 걸쳐 실시하였다. 수정·보완된 프로그램 시안은 다시 적절성 검토를 받아 예비연구를 실시하고 최종 시안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 최종 시안을 3명의 유아에게 각각 적용하고 매 회기 유아강점리터러시척도, 유아 행복플로리시 척도, 자기보고식 유아행복감척도를 활용하여 유아의 강점리터러시와 행복도를 측정하고 추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유아의 강점리터러시와 행복도는 높아지고 계속 유지되어 프로그램이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유아의 강점리터러시 증진 프로그램 최종 시안을 전문가들에게 검토받아 교사 지원을 위한 20개의 기본안으로 구성된 최종 프로그램으로 확정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young children’s strengths literacy program so that young children can recognize and utilize their strengths to lead a happy life. In order to develop such a customized young children-centered program, the meaning of strengths literacy was explored through literature analysis and review of previous studies. Furthermor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and needs were investigated and reflected in the program composition. Next,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twice with experts in order to examine the appropriateness of the program draft. The revised program draft was reviewed for appropriateness, a pilot research was conducted, and the final draft was developed. The final draft program was applied to the intervention period and three young children’s strengths and happiness were measured using the Early Childhood Strengths Literacy Scales, Children’s Flourish Scale, and Personal Wellbeing Index.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gram had a significant effect as the strengths literacy of children and happiness increased and continued. Finally, the final draft of the young children’s strengths literacy program was reviewed by experts and confirmed as a final program consisting of 20 basic play plans for teacher support.

      • KCI등재후보

        유치원에 다니는 보육원 유아들의 사회적 관계 형성

        신현정(Hyun-Jung Shin ()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2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0 No.2

        유치원에 다니는 보육원 유아들의 사회적 관계 형성과정을 알아보기 위해 질적 연구 방법을 통해 5개월간 유치원 일과를 참여관찰하고 교사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유치원에 다니는 보육원 유아들의 보육원 유아와의 관계에서 그들은 서로 친밀하지만 경쟁적인 관계를 유지하며 사회적인 관계를 형성하였다. 둘째, 보육원 유아들은 일반 또래들과의 관계에 있어서 또래들에게 관심은 있었지만 적극적인 표현을 하지 못하여 사회적인 관계를 형성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그러나 일반유아들의 행동을 모방하여 점차 발전된 놀이 행동과 사회적 기술을 형성해 나가고 있었다. 셋째, 보육원 유아들은 교사의 관심을 끌기 위한 행동을 하며 교사의 시선집중을 통해 위안을 받고자 하였다. 교사는 보육원 유아들의 부적응 행동이 사회적 관계를 저해하는 요인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유치원 일과 속에서의 경험과 또래와의 접촉이 보육원 유아들이 정서적인 안정감을 가져와 사회적 관계 형성에 점진적인 발달을 가져올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formation of social relationships amongst institutionalized young children. In order to achieve this aim, the daily routines of kindergarteners were qualitatively observed for five months and intensive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eachers. Based on the data gathered from these observations and interviews, various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institutionalized children form social relationships by maintaining intimate, yet competitive relationships with each other. Moreover,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selves and their non-institutionalized peers, institutionalized children showed interest but had difficulties forming social relationships due to their lack of ability to actively express themselves. However,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by imitating their non-institutionalized counterparts, institutionalized children develop better social skills and more advanced play behavior. Finally, institutionalized children sought comfort from gaining the teachers’ attention by demonstrating maladjustive behavior. The teachers acknowledged this maladjustive behavior as a considerable factor in hindering the children’s formationof social relationships. However, the teachers expected the institutionalized children in the study to make gradual progress in their ability to form social relationships due to the emotional stability gained from contact with non-institutionalized peers in their kindergarten routines.

      • KCI등재

        코깅토크 저감에 의한 BLDC Fan & Motor의 공진 소음 개선에 관한 연구

        신현정(Hyoun-Jeong Shin),이은상(En-Sang Lee) 대한전기학회 2013 전기학회논문지 Vol.62 No.9

        It is very important to diminish noise source of electric motor systems that are used for home appliance area. We have studied on the noise reduction of BLDC motor, mainly focusing on reducing noise source from cogging torque. This noise source causes resonance of fan & motor systems. This study showed that the higher harmonic component of the cogging torque was the main factor for noise generation. Therefor, to reduce noise of bldc motor for refrigerator, this study suggested peanut shaped magnet which surface flux has similar sinusoidal wave form.

      • KCI등재

        보육교사가 인식한 어린이집 원장의 멀티플라이어십과 보육교사의 교직헌신이 보육교사의 교수몰입에 미치는 영향

        신현정 ( Hyunjung Shin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가 인식한 어린이집 원장의 멀티플라이어십과 보육교사의 교직헌신이 보육교사의 교수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S시와 G도의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보육교사 375명으로부터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신뢰도 분석, 빈도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원장의 멀티플라이어십, 보육교사의 교직헌신, 교수몰입의 정적상관을 확인하였다. 둘째, 보육교사의 교수몰입에 원장의 멀티플라이어십 중 책임감과 자립심 함께 돕기와 보육교사의 교직헌신 중 전문의식, 교육애, 열정이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보육교사의 교수몰입 향상에 원장의 멀티플라이어십과 보육교사의 교직헌신이 중요함을 시사하였다. The purpose of the following research was to study the influences the child care center director’s multipliership and child care teacher’s teaching commitment have on the teaching flow recognized by the child care teacher. A survey was collected from 375 child care teachers in region G in city S. The collected data was studied through the program SPSS 21.0 and its reliability analysis, frequency analysis,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found. First, a static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child care center director’s multipliership and child care teacher’s teaching commitment on the teaching flow. Second, the child care center director’s responsibility, self-reliance, and cooperation within the director’s multipliership influenced the child care teacher’s teaching flow. Also, the professionalism, love of education, and passion in the teaching commitment influenced the teaching flow as well. Such results suggest that a director’s multipliership and teaching commitment are crucial in a child care teacher’s teaching flow.

      • KCI등재

        어머니-아동 간 상호작용 분석: MIM을 중심으로

        신현정 ( Hyun Jung Shin ) 대한아동복지학회 2007 아동복지연구 Vol.5 No.4

        본 논문의 목적은 어머니-아동 간 상호작용을 탐색함으로써 관계를 이해하고자 하는 데 있다. 이 연구는 연구자의 치료놀이 체험을 바탕으로 진행되었으며 치료놀이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부모-자녀 간 상호작용 평가 척도인 MIM을 활용하여 부모와 자녀 간 상호작용을 분석하였다. 그런데 MIM은 기존의 방식과는 다르게 사용되었다. 치료자가 치료를 위한 객관적 분석의 차원에서 부모-자녀 간 상호작용을 관찰하는 것이라기보다는 오히려 이들 간의 상호작용 양상을 ‘있는 그대로’ 드러내고 이들 상호작용의 의미를 탐색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통해 현상 속에 공통적으로 파악되는 흐름을 알아보고 어머니와 아동 간 상호작용에 통찰을 가져올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현상학적 관점으로 수행되었다. 상담을 받으러 오는 초기 어머니와 아동간 상호작용의 상황을 자세히 드러내기 위해 심층면담과 MIM을 통해 그 양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분석을 통해 연구자가 알게 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침묵하는 아이 VS 추궁하는 어머니 2) 이기려고만 하는 아이 VS 게임하는 어머니 3) 혼자 노는 아이 VS 혼자 있는 어머니 4) 폭력을 휘두르는 아이 VS 꼼짝 못하는 어머니 현상을 통해 살펴본 결과 이들은 적응의 어려움과 조율의 곤란함을 겪고 있었다. 그리고 어머니와 아동 간 공감의 교환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This study look into exploring the meaning and the understanding of an interaction between the mother and child from the perspective of phenomenology based on my Theraplay experience. For finding the meaning and the appearance of an interaction between the mother and child, I needed to check the status of interaction between the mother and child at the very beginning stage of Theraplay through MIM and in-depth interview. Through data analyses from the perspective of phenomenology, I could find appearances by an interaction between mother-child; 1) child keeping silence VS mother pressing hard (child) 2) child who should win VS mother playing games 3) child playing alone VS mother being alone 4) child abusing violence VS mother asking leniency As a result of checking over, they had not only difficulty for adjustment but also for attunement. There was little emotional exchange between the mother and chi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