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Ein Freiheitskrankenhaus im Nahen Osten - Eine Graphic Novel über den Bürgerkrieg in Syrien

        신현숙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2018 獨語敎育 Vol.73 No.73

        Die Graphic Novel Freedom Hospital von Hamid Sulaiman dokumentiert die Zustände im syrischen Bürgerkrieg um das Jahr 2012 herum. Der Autor floh am 17. August 2011 aus Syrien. Seine epische Graphic Novel begründet er mit seiner Erfahrung, dass die Menschen von den Nachrichten zur Situation in Syrien mehr verwirrt als informiert wurden.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단기종단연구를 통한 아동기 우울과 학업적-사회적-행동적 유능성의 관계

        신현숙 한국청소년학회 2009 청소년학연구 Vol.16 No.3

        To investigate the relations between child depression and deficits in competenc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reports and parent reports of depression and perceived competence on 329 sixth-graders near the end of the first and second semesters. Concurrent correlations between depression and competence in three domains (i.e., academic, social, behavioral) were significant.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academic, social, and behavioral competence at Wave 1 predicted depression at Wave 2 after controlling for gender and depression at Wave 1. Also, depression at Wave 1 predicted academic and behavioral competence at Wave 2 after controlling for gender and competence at Wave 1; however, depression at Wave 1 did not predict social competence at Wave 2 after controlling for gender and social competence at Wave 1. These results imply that reciprocal relations between depression and deficits in academic and behavioral competence may exist but deficits in social competence lead to depression rather than resulting from depression. Implications for the competence-based model of child depression and for interventions with children having depressive symptoms or negative perceptions of their own competence are discussed. 이 연구는 아동기 우울과 학업적-사회적-행동적 유능성의 관계를 검증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6학년 329명과 그들의 부모에게 6개월 간격을 두고 2차례(1학기말, 2학기말)에 걸쳐 자기-보고와 부모-보고 질문지를 실시하여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단순상관 분석의 결과, 동일시기에 측정한 우울과 영역별 지각된 유능성 간에 유의한 부적 관계가 지지되었다. 종단적 관계를 검증하기 위한 위계적 회귀분석의 결과, 성별과 1차시기의 우울을 통제한 후에도 1차시기의 학업적, 사회적, 행동적 유능성이 6개월 후에 측정한 우울을 유의하게 예언하였다. 또한, 성별과 1차시기에 측정한 유능성을 통제한 후에도 1차시기의 우울이 6개월 후 학업적 유능성과 행동적 유능성을 유의하게 예언했지만, 사회적 유능성을 예언하지는 못하였다. 따라서 학업과 품행의 영역에서는 유능성 결핍과 우울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관계를 추론할 수 있지만, 사회적 유능성의 결핍은 우울로 인한 결과가 아니라 우울을 초래하는 원인 또는 선행변인으로 추정된다. 마지막으로, 우울이나 유능성 결핍의 문제를 겪고 있는 아동․청소년의 상담과 지도를 위한 제안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성취목표지향성 프로파일에 따른 중학생의 학습기술과 학업성취도의 차이

        신현숙,류정희,안정은 한국교육학회 2010 敎育學硏究 Vol.48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profiles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adopted by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test differences in learning skills and academic achievement among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profiles.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271 seventh-graders (147 boys and 124 girls) attending a middle school in G city. The results of the cluster analyses, ANOVAs and MANOVA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were grouped into four profiles: performance goal oriented, mastery avoidance goal oriented, approach goal oriented, avoidance goal oriented. Second, overall differences in the use of learning skills were significant. Specifically, the greatest use of learning skills was found in the approach goal oriented profile. Compared to the avoidance goal oriented profile, the performance goal oriented profile was better at self management, class participation, problem solving, test taking, and information processing. Interestingly, the performance goal oriented profile was better at test taking than the mastery avoidance goal oriented profile. Third, difference in academic achievement was not significant in Science. However, academic achievement in Social Studies was higher in the approach goal orientated profile than in the mastery avoidance goal orientated and avoidance goal orientated profiles. In addition, academic achievement in Korean, Math and English was highest in the approach goal oriented profile. These results imply that it be necessary to examine student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from a multiple goal perspective.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이 연구는 중다목표의 관점에서 중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숙달접근, 숙달회피, 수행접근, 수행회피)이 어떻게 군집화 되는지를 분석하여 성취목표지향성 프로파일을 확인하고, 학습기술과 학업성취도에 있어 프로파일 간 차이가 유의한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중학교 1학년 271명(남학생 147명, 여학생 124명)을 대상으로 지필식 질문지를 실시하였으며 기말시험 성적(국어, 사회, 수학, 영어, 과학)을 검토하였다. 군집분석 및 일원분산분석, 다변량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군집분석의 결과, 수행목표지향형, 숙달회피목표지향형, 접근목표지향형, 회피목표지향형의 네 가지 프로파일이 도출되었다. 둘째, 성취목표지향성 프로파일 간 학습기술의 차이는 자기관리, 수업참여, 과제해결, 읽기, 쓰기, 시험치기, 정보처리 모두에서 유의하였다. 구체적으로, 접근지향형 프로파일이 모든 학습기술 하위영역에서 가장 우수하였고, 수행목표지향형 프로파일이 회피목표지향형 프로파일에 비해 자기관리, 수업참여, 과제해결, 시험치기, 정보처리에서 우수하였다. 시험치기에서는 수행목표지향형 프로파일이 숙달회피목표지향형 프로파일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셋째, 성취목표지향성 프로파일 간 학업성취도의 차이는 국어, 사회, 수학, 영어에서 유의하였으나 과학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 사회 점수는 접근목표지향형 프로파일이 숙달회피목표지향형 프로파일과 회피목표지향형 프로파일보다 더 높았고, 국어, 수학, 영어 점수는 나머지 세 프로파일에 비해 접근목표지향형 프로파일에서 가장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중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을 중다목표의 관점에서 고찰하는 것이 학생 이해와 지도에 유용함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하였다.

      • KCI등재

        Wie der Comic erzählt. Über graphisches Erzählen am Beispiel von Kafkas Die Verwandlung

        신현숙 한국브레히트학회 2018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Vol.0 No.38

        Die vorliegende Arbeit gliedert sich in drei Stufen. In der ersten Stufe wird ein Überblick zu Kafkas Erzählung gegeben. So werden im nächsten Abschnitt die drei erzählerischen Phasen der Verwandlung vorgestellt. In der zweiten Stufe geht es um die Umsetzung der Vorlage im Comic. Wobei die Besonderheiten des Bild-Text-Verbundes und der Bruch mit Kafkas Wünschen betrachtet werden. Diese Betrachtung wird im dritten Kapitel unternommen. Bei der letzen Stufe des vierten Kapitels wird der Erzählform des Comics nachgespürt. An ausgewählten Szenen werden die Differenzen zwischen den Umsetzungen der Verwandlung von Corbeyran und Horne und Kafka beleuchtet.

      • KCI등재

        교사 권위와 학교규칙 위반행위에 대한 중고등학생 판단의 성별 및 학교급별 차이

        신현숙 한국교육학회 2005 敎育學硏究 Vol.43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junior and senior high school students' judgments of teachers' authority and rule-violating acts in school and to test differences in the judgments by gender and school-level. Nine-hundred fifty-two students in Korea made three types of judgments(i.e., legitimacy of teachers' authority, favorableness of school rules, severity of rule-violating acts) and also justified the wrongness or permissibility of the rule-violating acts in four domains: moral(hitting and fighting), conventional(using cellular phones in class), personal(deciding hair-style), prudential(smoking). MANOVAs, χ2 tests, content analyses, and frequency analyses revealed significant effects for school- level in students' judgments regarding legitimacy of teachers' authority and favorableness of school rules in conventional, personal and prudential domains. Also, legitimacy of teachers' authority in the moral domain differed significantly by gender. Both gender and school-level differences were significant in severity of rule-violating acts in conventional and prudential domains. School-level differences in severity of rule-violating acts in the personal domain were found significant only in the male group. Justifications also varied according to domain, gender, and school-level.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in terms of previous research on children's and adolescents' conceptions of adult authority. 이 연구는 중․고등학생들이 학교에서 학생의 행위를 규제하는 규칙을 정하고 시행하는 교사의 권위와 학교규칙 위반행위에 대하여 어떻게 판단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교사 권위가 적용되며 학교규칙이 시행되는 학교생활 영역을 도덕적(친구와 때리고 싸우기), 인습적(수업시간에 휴대폰 문자메시지 주고받기), 개인적(머리 모양 결정하기), 건강-안전(담배 피우기)의 4가지로 구분하고, 중학교 2, 3학년과 고등학교 1, 2학년 학생 952명을 대상으로 교사 권위의 정당성, 학교규칙의 호오성, 학교규칙 위반행위의 심각성에 대한 판단을 측정하였다. 또한 학교규칙 위반행위의 옳고 그름 판단에 대한 정당화를 자유롭게 기술하도록 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하여, 다변량 분산분석(MANOVA), 카이제곱 검증(χ2 test), 정당화 내용분석과 빈도분석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인습적, 개인적, 건강-안전 영역에 해당하는 교사 권위의 정당성과 학교규칙의 호오성 판단에 있어서 중학생과 고등학생간 차이가 유의하였으며, 도덕적 영역에 해당하는 교사 권위의 정당성 판단에 있어서는 남녀간 차이가 유의하였다. 또한 학교규칙 위반행위에 대한 심각성 판단은 인습적 영역과 건강-안전 영역에서 중․고등학생간 차이와 남녀간 차이가 모두 유의하였다. 개인적 영역에 관한 학교규칙 위반행위에 대한 심각성 판단에 있어서 중․고등학생간 차이는 남학생 집단에서만 유의하였으며, 여학생 집단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 학교규칙 위반행위의 옳고 그름 판단에 대한 정당화에 있어서 남녀간 차이와 중․고등학생간 차이가 영역별로 달리 나타났다. 아동과 청소년의 어른 권위에 대한 개념 발달에 관한 선행연구의 결과와 교사 권위나 학교규칙과 갈등을 겪고 있는 학생들을 위한 개입방안 개발의 필요성에 비추어 본 연구의 결과를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