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복합 객체 질의 처리를 위한 시그니쳐 기법의 설계 및 성능 평가

        신학진(Hakgene Shin),이희주(Heeju Lee),장재우(Jaewoo Chang) 한국정보과학회 1997 정보과학회논문지(B) Vol.24 No.11

        객체 지향 데이타베이스의 광범위한 사용으로 인하여 특별히 복합 객체의 질의 처리나 색인 기법은 중요한 문제가 되어왔다. 본 논문에서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합성 시그니쳐와 경로 사전을 결합하는 C-시그니쳐 기법을 제안한다. C-시그니쳐 기법은 경로 상에 있는 객체로부터 시그니쳐를 추출하며, 탐색 공간을 줄이기 위해 클래스 단위로 저장한다. 검색, 갱신, 그리고 저장 공간을 위한 비용 모델을 개발하고, C-시그니쳐 기법과 다른 경쟁 기법들인 경로 색인, 경로 시그니쳐, 경로 사전, 클래스 단위 시그니쳐 그리고 S-시그니쳐를 구현, 실험한다. 실험을 통해서 C-시그니쳐 기법과 경쟁 기법들을 참조 공유의 정도에 따라서 비교한다. 마지막으로 C-시그니쳐가 검색 연산을 상당히 개선하고 있음을 보인다. Because of the wide acceptance of object-oriented database systems, query processing and indexing have become an important issue in the success of object-oriented database systems, especially when we deal with composite objects. In this paper, to tackle the issue, we propose a c-signature scheme combining signatures with the path dictionary. The c-signatures are abstracted from objects in a path and are stored in a class oriented way, so as to reduce search space. We also develop cost models for retrieval, update operations, and storage overhead. We implement the c-signature and its competitors such as path index, path signature, path dictionary, class unit signature and s-signature schemes. Based on the experimental results, we compare the c-signature with the competitors under different degrees of reference sharing. Finally, we show that our c-signature achieves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 retrieval operation.

      • KCI등재

        독거노인의 자아통합감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신학진(Shin, Hakgene),전상남(Jeon, Sang-Nam),유길준(You Gil-Jun),이은용(Lee, Eun-Yong) 한국노년학회 2010 한국노년학 Vol.30 No.4

        본 논문은 독거노인의 자아통합감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했다. 또한 주관적 건강의 다양한 영역별 차이에 따라서 자아통합감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이 다름을 검증했다. 설문조사를 위해서 전주시의 노인복지관 이용자 중에서 독거노인을 편의 추출하였고 265명이 분석대상이 되었다. 신뢰도와 타당도 분석을 위해 자아통합감, 삶의 질 그리고 SF36 주관적 건강을 확인요인분석 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델을 이용하여 인과분석과 주관적 건강요인별로 조절효과를 분석했다. 분석결과로 첫째, 독거노인의 자아통합감이 클수록 노인의 삶의 질은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신체기능이 저조할수록 자아통합감은 삶의 질에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검증했다. 셋째, 신체로 인한 역할 제한이 많을수록 자아통합감은 삶의 질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를 통해서 주관적 건강이 노년의 삶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상반된 견해가 발생하는 원인을 설명할 수 있었으며, 주관적 건강의 영역과 정도에 따라 개입 방향이나 효과가 다를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ego integrity on QoL(Quality of Life) of elderly living alone, where we focused on moderating role of SF36 health factors. To investigate the cause and effect of factors, we purposively collected 282 samples from senior welfare centers in Jeonju city and exploited reliabilit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EM(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or 265 cases excluding some cases with missing values. As the results, first, we confirmed ego integrity was positive predictor of QoL. Second, it was proven that the effect of ego integrity on QoL of elderly living alone was stronger in the lower physical functioning group than higher physical functioning group. Third, we also verified that the group with more difficulties in activities or work as a result of poor physical health showed higher effect of ego integrity on QoL. Based on the results, we could explain the reason of conflicts regarding how elderly's health influenced on ego integrity. Also, in the practice of intervention to elderly's problem, we found the health factors could be an indicator of direction or effect of the intervention

      • KCI등재

        노인의 사중고(四重苦)가 우울을 매개로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신학진(Hakgene Shin) 한국노년학회 2011 한국노년학 Vol.31 No.3

        본 연구는 노인의 사중고(四重苦) 개념을 확인하고 이를 구성하는 빈곤, 질병, 역할상실, 고독이 우울을 매개로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했다. 연구를 위해서 전주시 경로당을 지역별로 안배한 후 선정된 경로당에서 응답자를 편의 추출했다. 회수된 응답은 309사례였으며 이중에서 결측치, 이상치, 정규분포, 다중공선성의 조건을 만족한 291사례가 분석대상이 되었다. 분석은 빈도분석, 요인분석, 내적일관성신뢰도분석,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확인요인분석과 구조모형분석을 실시했다. 구조모형분석을 통해서 각각의 가설에 해당하는 경로계수를 확인하였으며 이들의 유의성에 따라서 가설의 지지여부를 판정했다. 또한 요인들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모수추정치를 직접효과와 간접효과로 분해하고, 매개효과의 크기와 유의성을 확인했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중고의 구성요인들인 빈곤, 질병, 역할상실, 고독은 우울을 매개로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사중고의 구성요인 중에서 가장 비중이 큰 빈곤은 다른 구성요인에 영향을 미치며, 역할상실은 고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노인의 빈곤, 질병, 역할상실, 고독으로 구성된 사중고의 모든 구성요인이 우울의 선행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다만 빈곤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은 직접적인 것보다는 간접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노인의 사중고 개념을 확인했고 사중고를 통해서 급증하는 노인자살의 원인을 검증했다. 따라서 노인의 자살예방계획을 수립할 때 자살의 선행변수인 우울이나 사중고의 구성요인에 대한 포괄적인 중재계획이 필요하다. The present study empirically confirmed Korean elder's four major pains consisted of poverty, disease, role loss, loneliness and investigated the mediating role of depression between the four major pains and the elder's suicidal thought. To investigate the cause and effect of factors, we conveniently collected 309 samples from 16 Gyungrodangs evenly located in Jeonju and 291 samples, survived the data cleaning such as missing values, outliers, normality and covariance conditions, were analyzed by frequenc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model analysis. Followed were the selected contributions of the present study. First, the constructs of four major pains such as poverty, disease, role loss, loneliness were predictors of suicidal thought mediated by depression. Second, the elder's poverty, that was the heaviest factor of the four major pain constructs, was a predictor of role loss leading to loneliness. Third, four major pains were predictors of the elder's depression. Note that poverty were not direct but indirect predictor of depression. The present study confirmed the concept of four major pains. Also those who practice in the area of the elderly care should consider the four major pains as well as depression while intervening in the elderly's suicidal thought.

      • KCI등재

        중년의 성격특성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신학진(Shin, Hakgene) 한국생활과학회 2014 한국생활과학회지 Vol.2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ersonality traits of the middle aged on quality of life while mediated by self-concepts such as self-efficacy and self-derogation, as well as while moderated by subjective socio-economic variables such as economic status, social activities and employment. To verify the conceptual causality model and moderating effects of contextual variables, we analysed 353 cases out of purposively collected 400 cases from a medium sized city. As results, first, conscientiousness of personality traits positively affected quality of life of the middle aged while mediated by self-concepts. Second, neuroticism of personality traits negatively affected quality of life while mediated by self-concepts. Third, agreeableness of personality traits did not eventually affect quality of life, although affected negatively on self-efficacy and positively on self-derogation. Fourth, socio-economic variables such as economic status, social activities and employment moderated various paths in the model, which indicated dynamics of internal variables were affected by contextual variables.

      • C - 시그니쳐 : 복합 객체의 질의 처리를 위한 경로 사전 시그니쳐의 합성 기법

        신학진(Hakgene Shin),이희주(Heeju Lee),장재우(Jaewoo Chang) 한국정보과학회 1997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4 No.1B

        객체 지향 데이타베이스에서 복합 객체의 효율적인 질의 처리를 위해서는 색인 방식이 중요한 문제가 되어왔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경로 정보를 이용하는 기법들이 개발되어 왔다. 이들 중 경로 사전은 경로를 참조 공유의 관점에서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이를 이용하여 검색 시 순행 시간을 감소시키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시그니쳐를 경로 사전 위에 결합하여 참조 공유가 빈번한 상황에서 질의를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C-시그니쳐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을 클래스 단위 시그니쳐 및 경로 사전 기법과 성능 비교하며, 기존의 방법보다 검색에서 상당한 개선이 있음을 보인다.

      • KCI등재

        주관적 건강 및 노인차별경험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전상남(Jeon, Sangnam),신학진(Shin, Hakgene) 한국노년학회 2009 한국노년학 Vol.29 No.4

        본 연구에서는 성공적 노화이론의 생의학적 이론과 사회심리학적 이론에 대한 각각의 선행요인인 주관적 건강 및 노인차별경험을 측정하여 어느 측면이 보다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주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주요결과를 보면, 첫째, 노인차별경험 중 무시차별경험이 다른 차별경험 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사회인구적 변수를 가지고 주관적 건강, 노인차별경험, 성공적 노화에 대한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여성에 비해 남성이 높은 노인차별경험을 하고 있었다. 연령, 경제수준, 학력에서도 주관적 건강 및 차별경험 일부에서 차이를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주요목적인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주관적 건강과 차별경험 중 재산차별이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통해 우리는 성공적 노화를 위해서 주관적 건강(생의학적 측면의 선행변수)이 노인차별경험(사회심리학적 측면의 선행변수) 보다 중요한 설명력을 갖는다는 사실을 검증했다. 이를 통해 효과적인 건강증진사업 등의 정책입안 및 시행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다는 것이 입증되었으며, 노인차별을 위한 방지대책도 사회적인 논의가 필요하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erceived health and ageism experience of the elderly on successful aging, which were respectively presumed as predictors of biomedical model and psychosocial model of the successful aging. As important research results, firstly, negligence among ageism experience constructs appeared higher than other discriminatory experiences. Secondly, male showed significantly higher discriminatory experience than female in the area of 3 constructs such as property, negligence and employment ageism. Also there were some different discriminative experiences in the area of perceived health and ageism in terms of age, wealth and education. Finally, the results of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hired to find out factors influencing successful aging showed that the factors such as sex, wealth, perceived health and property discrimination of ageism affected successful ageing. Based on the analytic results, we verified that perceived health, i.e., predictor of biomedical model had higher effect on successful aging than ageism experience, i.e., predictor of psychosocial model of successful aging. Thus, it was suggested that health promotion policy should be considered with priority and also combating ageism as well for successful aging.

      • KCI등재

        사회적 지지가 무배우 여성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전상남(Jeon, Sangnam),신학진(Shin, Hakgene) 한국노년학회 2014 한국노년학 Vol.34 No.1

        본 연구는 생태체계의 관점에서 사회적 지지가 무배우 여성노인의 신체적ㆍ인지적 기능과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했다. 검증을 위해서 중소도시에 거주하는 배우자가 없는 여성노인 263사례에 대해 기초통계 및 구조모형분석을 실시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배우 여성노인에 대한 사회적 지지는 신체적ㆍ인지적 기능에 비교적 높은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무배우 여성노인에 대한 사회적 지지는 자기효능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고, 또한 사회적 지지는 신체적ㆍ인지적 기능을 매개하여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간접적인 영향도 확인되었다. 셋째, 무배우 여성노인에 대한 사회적 지지는 삶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사회적 지지가 신체적ㆍ인지적 기능과 자기효능감을 매개하여 삶의 질에 미치는 간접적인 영향 역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무배우 여성노인의 신체적ㆍ인지적 기능은 자기효능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고, 자기효능감은 삶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신체적ㆍ인지적 기능은 자기효능감을 매개하여 삶의 질에 미치는 간접적인 영향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연구결과는 다양한 사회적 지지를 통해 무배우 여성노인의 삶의 질에 대한 중재가 가능하며, 이들의 자기효능감과 삶의 질의 개선을 위한 개별운동 프로그램과 지남력 개선 및 예방 프로그램 등의 효과성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empirically confirm that social support was a predictor of QoL(Quality of Life) of widowed elderly women medicated by physical-cognitive function and self-efficacy. To investigate causalities of constructs, 263 cases of widowed elderly women were analyzed by basic statistics and structural model analysis. Followed were the selected contributions of the present study. First, social support for widowed elderly women was a relatively strong predicator of physical-cognitive function. Second, social support was a direct/indirect predicator of self-efficacy mediated by physical-cognitive function. Third, social support was also a direct predictor and an indirect predicator of QoL mediated by physical-cognitive function and self-efficacy. Fourth, physical-cognitive function was a predictor of self-efficacy, and self-efficacy was a predictor of QoL. Consequently physical-cognitive function was a predictor of QoL mediated by self-efficacy. The contributions suggested our society needed various social support programs such as interactive-customizable elderly exercise and/or dementia prevention programs, for widowed elderly women to improve physical-cognitive function leading to self-efficacy and QoL.

      • KCI등재
      • KCI등재

        노인차별경험과 우울과의 관계에서 고독의 매개효과

        전상남(Jeon, Sangnam),신학진(Shin, Hakgene) 한국노년학회 2011 한국노년학 Vol.31 No.4

        본 연구는 산업화와 정보화과정에서 발생하는 사회현상인 노인차별경험이 고독과 우울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점을 검증했다. 연구를 위해서 전주시에 소재한 무작위로 선정된 16개 경로당을 이용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응답자를 편의 추출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309사례 중에 분석요건을 갖추지 못한 응답을 제외하고 291사례가 분석대상이 되었다. 분석은 신뢰도분석, 확인요인분석, 요인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서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로 첫째, 노인차별경험이 많을수록 우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차별경험이 많을수록 고독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노인의 고독이 클수록 노인의 우울은 높아지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넷째, 노인의 노인차별경험은 우울에 영향을 직접적으로 미칠 뿐 아니라 고독을 매개로 우울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를 통해서 가해자 차원의 노인차별에 대응하는 교육프로그램 및 제도적 장치 등이 필요하며, 피해자 차원의 차별, 고독, 우울을 감소시킬 수 있는 노인차별상담 프로그램 등을 마련하고 실천하는 것이 필요함을 제시했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geism experience of the elderly on depression, where the loneliness was mediated between ageism experience and depression. To investigate the cause and effect of factors, we purposively collected 309 samples from 16 Gyungrodangs evenly located in Jeonju and 291 samples, survived the data screening such as missing values, outliers, normality and covariance conditions, were analyzed by frequenc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As the results, first, we confirmed ageism experience positively affected depression of the elderly. Second, ageism experience of the elderly also positively affected loneliness. Third, loneliness positively influenced depression. Fourth, ageism experience had effects directly as well as indirectly on depression medicated by loneliness. Based on the results, in the aged society, combating law, policy, and propaganda against ageism would be helpful to the elderly and individually customized program for ageism victim's mental health would be recommended.

      • KCI등재

        노인요양시설의 서비스품질이 서비스만족과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김인(In Kim),신학진(Hakgene Shin) 한국노년학회 2009 한국노년학 Vol.29 No.2

        본 연구는 사회복지시설 특별히 노인요양시설의 선택이라는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실시에 따라서 시설이용자는 서비스선택이라는 의사결정에 직면하게 된다. 하지만 이용자의 의사결정이란 우리나라의 사회복지 현실에서는 비교적 새로운 개념이다. 검증을 위해서 전북지역의 20개 노인요양시설로부터 212명의 응답자에게 자료를 수집했고, 구조방정식(SEM)을 이용해서 분석했다. 연구모형으로 서비스품질은 서비스만족을 매개로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친다는 모형을 제안했다. 구조방정식을 통한 분석결과 서비스품질에서 서비스만족 경로의 표준경로계수는 0.556(t=4.608, p<0.01)으로 나타났고, 서비스 만족에서 의사결정 경로의 표준경로계수는 0.785(t=5.249, p<0.01)로 나타났다. 모형의 절대적합지수는 χ² = 580.151(d.f.=317, p-value=0.000)이고, RMSEA=0.063이며, 상대적합지수 CFI=0.915로 모형은 절대적으로 뿐만 아니라 상대적으로 적합했다. 또한 서비스품질의 결정요인인 응답성, 신뢰성, 확신성, 공감성, 유형성이 검증되었고, 이들의 서비스품질 결정 가중치는 제시된 순서임이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는 서비스품질이 노인요양시설 이용자의 의사결정으로 이어지는 모델과 요인간의 역학관계를 제시하고 있으며, 시설관리자가 시설운영을 위해서 고려해야 할 서비스품질, 서비스만족, 그리고 의사결정과 관련된 요소를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what are the factors affecting decision making for selection of social welfare facility, esp., elderly care facility. The resident's selection for social welfare facility are relatively new terms in the Korean social work. To explore the factors, we employed an empirical study.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using SEM(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s the results, the standardized regression coefficient of the hypothesis that the service quality will affect the service satisfaction is equal to 0.555(t=6.723, p<0.01) and the coefficient that the service satisfaction will affect the decision making is equal to 0.766. The absolute fitness of the SEM model shows χ² = 580.151(d.f.=317, p-value=0.000) and RMSEA=0.063, so that the model is absolutely fit. Since CFI=0.915, the model is comparatively fit. Conclusively speaking, the hypothesis that service quality affects to service satisfaction was supported. The hypothesis that service satisfaction affects to decision making was also supported. By accounting for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is study verified the service quality leading to service satisfaction is an important factor for resident to select a residential fac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