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 양육행동, 자아탄력성, 자아존중감 간의 구조 관계

        신태섭(Shin, Taeseob),이현주(Lee, Hyunjoo),권희경(Kwon, Heekyung) 한국열린교육학회 2015 열린교육연구 Vol.2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2010 데이터를 사용하여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행동, 자아탄력성,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를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상징적 상호작용 관점에 기반하여 지각된 부모양육행동이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주요변인 간의 관계를 구조방정식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긍정적 부모양육행동은 자아탄력성 및 자아존중감과 정적 관계를 나타낸 반면, 부정적 부모양육행동은 자아존 중감과 부적 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긍정적 부모양육행동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직접효과 및 간접효과 모두 정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반면, 부정적 부모양육행동의 경우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부적인 반면 자아탄력성을 통한 간접효과는 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Sobel 검증을 실시한 결과, 자 아탄력성은 긍정적 부모양육행동 및 부정적 부모양육행동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모두에서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청소년기 자아탄력성의 중요성을 중심으로 본 연구의 이론적,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 among adolescents’ perceived parental behaviors, ego-resiliency, and self-esteem. Using the symbolic interaction perspective, the study constructed a research model in which effects of perceived parental behaviors on self-esteem were mediated by ego-resiliency. Then the study tested its structural equation model with the middle school student data in The Nation Youth Policy Institute (NYPI) 2010 panel survey. Results showed that positive parental behavior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ego-resiliency and self-esteem, while negative parental behaviors we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self-esteem. The study also found significant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positive parental behaviors on self-esteem. However, total effects of negative parental behaviors on self-esteem turned out to be non-significant. Finally, results of Sobel’s Z test suggest that the mediating effects of ego-resiliency are significant.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argues that educators should provide various supports that can promote students’ ego-resiliency during their adolescence.

      • KCI등재

        저소득층 청소년의 인지 및 메타인지 전략이 학업 성취에 미치는 영향 : 비저소득층 청소년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박해빈(Park Haebin),신태섭(Shin Taeseob) 한국열린교육학회 2016 열린교육연구 Vol.24 No.2

        본 연구에서는 저소득층 청소년과 비저소득층 청소년 간 인지 및 메타인지 전략과 학업 성취에서 유의 한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또한 인지 및 메타인지 전략이 학업 성취에 미치는 영향이 저소득층 여부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국어, 영어, 수학 교과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저소득층 청소년이 비저소득층 청소년에 비해 국어, 영어, 수학 교과의 학업 성취 수준이 낮고, 정교화 전략과 메타인지 전략을 잘 사용하지 못하며, 낮은 자기효능감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목별 차이를 확인한 결과, 국어 교과에는 메타인지 전략이, 수학 교과에는 시연, 정교화 및 메타인지 전략이 학업 성취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만 저소득층 여부와 인지 및 메타인지 전략의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한편, 영어 교과에는 시연, 정교화 및 메타인지 전략이 학업 성취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특히 영어 교과에서는 저소득층 여 부와 정교화 전략 간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즉, 저소득층 청소년은 비저소득층 청소년과 같은 정교화 전략을 사용하더라도 영어 학업 성취에 미치는 효과가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저소득층 청소년의 저성취 문제 해결을 위한 인지 및 메타인지 전략 훈련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cognitive and meta-cognitive strategies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low-income families. Analyses were conducted with the Year 2 data from the 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 2012 (GEPS 2012). Results show that academic achievements of the adolescents in low-income famili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adolescents in families without financial difficulties. In addition, the usage of elaboration, meta-cognitive strategies, and self-efficacy of the adolescents in low-income famili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adolescents in families without financial difficulties. The adolescents in low-income families did not use elaboration and meta-cognitive strategy properly and their self-efficacy was lower. Finally, the result of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shows that there is a moderation effect between SES status and the use of elaboration strategy on academic achievement in English. In other words, elaboration strategy of adolescents in low-income families had weaker impacts on their English compared to adolescents in families without financial difficulties. No moderation effects were found in Korean Language and Mathematics. This study has an important implication as it examined the effects of cognitive and meta-cognitive strategies on academic achievement of adolescents in low-income families after controlling for self-efficacy.

      • KCI등재

        코로나19 상황에서 아동의 사회정서역량이 또래관계를 매개로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김지언 ( Jieon Kim ),신태섭 ( Taeseob Shin ) 인문사회 21 2023 인문사회 21 Vol.14 No.1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코로나19 상황에서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의 사회정서역량이 또래관계를 매개로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 방법: 본 연구대상은 육아정책연구소에서 실시한 한국아동패널 13차년도 데이터에 포함된 초등학교 6학년 564명으로, SPSS 21.0과 AMOS를 이용하여 신뢰도분석과 확인적요인분석, 경로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부트스트래핑 검증(bootstrapping test)을 통해 확인하였다. 연구 내용: 매개효과 분석 결과, 아동의 또래관계는 사회정서역량과 학교적응 사이의 관계를 부분매개하는 것을 연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및 제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면 활동이 제한적으로 이루어진 코로나19 시기에도 또래관계 증진에 대한 노력과 아동의 사회정서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사회정서학습 프로그램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social emotional competencies of six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ir perceived school adjustment during the COVID-19.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64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cluded in the 13th year Data set of Pannel Study on Korean Children conducted by the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Reliabilit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path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21.0 and AMOS.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was confirmed through a bootstrapping test. Specifically, the results are as follows. it was confirmed through the study that children’s peer relationships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emotional competencies and school adjustment.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even during the COVID-19 period when face-to-face activities were limited, efforts to improve peer relationships and social emotional learning programs were needed to cultivate children’s social emotional capabilities.

      • KCI등재후보

        초등 교원 SW 쌍방향 연수 프로그램의 교수 효능감 및 만족도 분석

        이재호 ( Jaeho Lee ),이승훈 ( Seunghoon Lee ),신태섭 ( Taeseob Shin ) 한국창의정보문화학회 2021 창의정보문화연구 Vol.7 No.3

        본 연구에서는 SW 교육을 학교에 적용하는 교사들의 SW 역량을 함양하기 위해 초등 교원 SW 쌍방향 교육 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학교 연수 현장에 적용하여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현재 진행되는 SW 교원연수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연수 개발 방향을 설정하고, 코로나-19 상황에서 비대면으로 연수를 진행할 수 있도록 쌍방향 연수 프로그램을 개설하였다. 개발된 연수 프로그램을 경기도 초등 교원 104명을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쌍방향 연수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분석하기 위해 교수 효능감과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교수 효능감과 프로그램 만족도 부분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확인하였다. 앞으로 교원을 대상으로 하는 다양한 SW·AI 교육 연수들이 쌍방향 연수로 진행될 것으로 예상하는 만큼, SW·AI 교육 연수의 효과에 대한 분석 연구의 시행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a SW interactive education training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was developed in order to cultivate the SW competency of teachers who apply SW education to schools, and the effect was analyzed by applying it to the school training site. For the development of the training program, the training development direction was set based on the current SW teacher training program, and an interactive training program was opened so that training could be conducted in a non-face-to-face situation in the COVID-19 situation. The developed training program was applied to 104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Gyeonggi-do.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active training program, a survey on professor efficacy and satisfaction was conducted, and positive results were confirmed in terms of professor efficacy and program satisfaction. As it is expected that various SW/AI education training for teachers will be conducted as interactive training in the future, it is judged that it is necessary to conduct an analysis study on the effect of SW/AI training trai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