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지털 마모그램에서 형태적 분석과 다단 신경 회로망을 이용한 효율적인 미소석회질 검출

        신진욱,윤숙,박동선,Shin, Jin-Wook,Yoon, Sook,Park, Dong-Sun 한국통신학회 2004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29 No.3C

        유방암은 최근에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여성 암중의 하나이며 그 발명원인이 불명확하여 조기 검출만이 생존율을 높일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효율적으로 미소석회질의 의심 영역을 검출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마모램 영상에 대한 통계적 분석으로부터 일반적인 미소석회질의 특성을 분석한 후 분석된 자료를 이용하여 다단 신경망을 구성한 후 의심영역으로 간주되는 ROI를 검출한다. ROI 검출을 위하여 4단계로 구성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며 전처리 과정, 다단계 thresholding, 선형필터를 이용한 1차 미소석회질 선별작업, 다단계 신경망을 이용한 2차 미소석회질 검출이 포함된다. 선형필터를 이용한 1차 선별작업에서는 모든 미소석회질을 검출할 수 있었고 유방조직 제거를 통한 신경망에서의 작업처리 감소율이 86%로 나타났다. 2단 신경망을 이용한 2차 미소석회질 검출단계에서 첫 번째 신경망에서는 미소석회질의 형태적 특성을 기반으로 11개의 특징 값들을 정의하였으며 모든 데이터에 대한 실험 결과 평균 96.66%의 인식률을 보였다. 그리고 두 번째 신경망에서는 첫 번째 인식 결과 값과 미소석회질의 군집특성을 이용하기 위해 첫 번째 인식결과를 토대로 조사된 군집분포 여부를 특징 값으로 사용하였으며 그 결과 1차 신경망보다 높은 평균 98.26%의 인식률을 보였다. The mammogram provides the way to observe detailed internal organization of breasts to radiologists for the early detection. This paper is mainly focused on efficiently detecting the Microcalcification's Region Of Interest(ROI)s. Breast cancers can be caused from either microcalcifications or masses. Microcalcifications are appeared in a digital mammogram as tiny dots that have a little higher gray levels than their surrounding pixels. We can roughly determine the area which possibly contain microcalifications. In general, it is very challenging to find all the microcalcifications in a digital mammogram, because they are similar to some tissue parts of a breast. To efficiently detect microcalcifications ROI, we used four sequential processes; preprocessing for breast area detection, modified multilevel thresholding, ROI selection using simple thresholding filters and final ROI selection with two stages of neural networks. The filtering process with boundary conditions removes easily-distinguishable tissues while keeping all microcalcifications so that it cleans the thresholded mammogram images and speeds up the later processing by the average of 86%. The first neural network shows the average of 96.66% recognition rate. The second neural network performs better by showing the average recognition rate 98.26%. By removing all tissues while keeping microcalcifications as much as possible, the next parts of a CAD system for detecting breast cancers can become much simpler.

      • KCI등재

        플레티늄-실리사이드를 이용한 쇼트키 장벽 다결정 박막 트랜지스터

        신진욱,정홍배,이영희,조원주,Shin, Jin-Wook,Chung, Hong-Bay,Lee, Young-Hie,Cho, Won-Ju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9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Vol.22 No.6

        Schottky barrier thin film transistors (SB-TFT) on polycrystalline silicon(poly-Si) are fabricated by platinum silicided source/drain for p-type SB-TFT. High quality poly-Si film were obtained by crystallizing the amorphous Si film with excimer laser annealing (ELA) or solid phase crystallization (SPC) method, The fabricated poly-Si SB-TFTs showed low leakage current level and a large on/off current ratio larger than 10), Significant improvement of electrical characteristics were obtained by the additional forming gas annealing in 2% $H_2/N_2$ ambient, which is attributed to the termination of dangling bond at the poly-Si grain boundaries as well as the reduction of interface trap states at gate oxide/poly-Si channel.

      • KCI등재

        핫 스탠바이 스페어링 기법을 이용한 고장 감내 이중화 시스템 설계

        신진욱,박동선,Shin Jin wook,Park Dong sun 한국통신학회 2004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29 No.10A

        분산 컴퓨팅 기술 발달과 인터넷 이용의 확산에 따라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욕구가 날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영상, 음성 등이 포함된 대용량 정보매체를 다루는 서비스가 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망 사업자들은 이러한 대용량 정보매체의 고속 전송이 가능하도록 초고속 네트워킹 설비에 끊임없이 투자하고 있다. 이와 같은 빠른 속도의 서비스뿐만 아니라 이와 동시에 만족되어야 하는 서비스의 요건은 안정성이다. 시스템 고장으로 인하여 기반 시설이 마비될 수 있는 전자 정보 시스템은 매우 높은 가용성 및 신뢰성을 가져야 한다. 이러한 고가용성과 고신뢰성을 얻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핫 스탠바이 스페어링 기법을 이용한 고장 감내 다중화 시스템을 제안하고 구현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일반적인 단일 모듈 시스템을 다중화 하여 고장이 발생하면 유연하게 대처하도록 하고 고장 검출 버스를 적용하여 비교를 통한 고장 검출 기능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제안된 구조는 단일 모듈 시스템에 버스 변환 장치를 도입하여 보다 쉽게 고장 감내 다중화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본 논문에서 제안한 하드웨어 시스템의 성능 평가를 위하여 마코프 프로세스를 이용한 모델링을 적용하여 고가용성 및 고신뢰성을 검증하였다. This paper is basically to achieve the high-availability and high-reliability of the control system from the implementation of the fault-tolerant system using the hot-standby sparing technique. To meet the objective, we design and implement a board with fault tolerance I/O bus to detect the fault. Warm-standby sparing technique is the fault tolerance technique usually used for switching control system in present. This technique can be easily implemented, but can not detect the fault quickly and can malfunction because of the hardware fault. The hot-standby sparing fault tolerant technique implemented in this paper is consists of dual processor modules and a I/O processor using fault tolerant I/O bus. The proposed method can find the faults as soon as possible, so it can prevent from wrong operation. Also it is possible to normal re-service due to the short recovering time. To implement the fault-tolerant dual system with fault detection be, two daughter, called FTMA and FTIA, boards designed and implemented are applied to the system. And we also simulated the proposed method to verify the high-availability and high-reliability of the control system using Markov process.

      • KCI등재
      • KCI등재

        광주항쟁과 애국적 민주공화주의의 탄생

        신진욱(Jin-Wook Shin) 한국사회학회 2011 韓國社會學 Vol.45 No.2

        이 논문의 목표는 1980년 5월 광주항쟁 당시 항쟁 공동체의 집단적 정체성을 구성했던 사회적 가치와 상상적 공동체의 의미구조를 규명하는 것을 통해 한국 시민사회의 문화적 심층구조를 이해하는 데 기여하는 것이다.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이 연구는 구조해석학 방법론을 동원하여 광주항쟁 당시 시민들이 제작, 유포한 호소문, 성명서, 상황보고, 연설문, 노래가사, 가두 방송 원고 등의 텍스트를 분석했다. 특히 분석의 초점은 참여자들이 공유하는 집단적 가치와 상상적 공동체의 관념이다. 집단적 가치의 측면에서는 민주?민족?민중?공화?반공주의의 이념과 가치를, 상상적 공동체의 측면에서는 지역ㆍ나라ㆍ민족ㆍ세계로 확장되는 상상적 공동체의 공간적 범위를 해석가설로 놓고, 전체 텍스트를 관통하는 집단적 정체성의 내적 질서와 위계구조를 재구성했다. 분석 결과, 광주항쟁의 집단적 정체성의 중핵에는 민주-공화주의의 집단적 가치와 대한민국이라는 나라공동체에 대한 집단귀속감이 놓여 있었다. 광주항쟁은 한국사회에서 국가권력과 시민사회의 격렬한 충돌이 일어나는 저항의 고조기에, 민주공화주의적 가치지향과 애국주의적 정체성이 결합되는 집단적 정체성이 강렬하게 분출된 대표적 사례로 이해될 수 있다. The object of this article is to inquire into the meaning structure of social consciousness and imagined communities which constituted the collective identities of the participants of the 1980 Gwangju civic uprising, thereby making a contribution to the understanding of the cultural deep structure of Korean civil society. This study analyzed on the basis of structural-hermeneutical methodology 54 texts which diverse groups of protest participants produced and made public during the protest events: declarations, public announcements, letters of plea, public speech, song lyrics, manuscript of street broadcast, etc. The two foci of interest were the shared social values and the spatial boundaries of imagined communities. As potentially cogent interpretive hypotheses the analysis took into consideration: the democratic, popular, nationalist, republican, and anti-communist ideas for the shared values, and the regional, patriotic, ethno-national, and cosmopolitan social identities for the imagined communities. The result of analysis was that the democratic-republican values and the strong commitment to the political community lay at the center of collective identities of the participants of the protest actions. The Gwangju uprising can be understood as a historical example which shows that at the peak of protest cycles in South Korea the collective identities composed of democratic-republican value-commitments and patriotic social identities emerge from the life-world into the arena of contentious politics.

      • KCI등재

        한국 국가의 조세·분배 역량의 장기 변동: 복지·조세규모와 조세구조의 이념형적 분석

        신진욱(Jin-Wook Shin) 한국사회정책학회 2020 한국사회정책 Vol.27 No.2

        한국에서는 권위주의 시기에 소비세와 친기업적 조세지출 중심의 조세구조를 가진 저조세·저복지 체제를 특징으로 하는 역진적 발전국가가 정립되었고, 많은 선행연구는 민주화 이후에도 그러한 유산이 구조적으로 지속되어왔다고 간주해왔다. 그러나 이 연구는 역사적 유산의 지속뿐 아니라 장기적 변화를 함께 검토하기 위해 조세규모, 복지규모, 조세구조의 삼각형 분석틀로 1960년대부터 2010년대까지 장기 추이를 분석했다. 방법론적으로는 이념형을 활용한 역사·비교 전략을 취하여, 한국 사례를 사민주의형, 사회보험형, 자유주의형, 발전국가형의 특수한 조합, 근접, 이반 관계로 정식화했다. 분석결과, 역진적 발전국가의 유산은 그동안 상당한 양적, 질적 변화를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세규모는 1980년대 후반부터, 복지규모는 1990년대 후반부터 도약을 개시하여 이후 OECD 내에서 가장 지속적이고 큰 폭으로 성장했고, 조세구조 역시 소득세와 사회보험금, 복지목적 조세지출의 확대 추이가 소비세 및 친기업 조세지출 비중의 하락과 대조된다. 레짐 유형이라는 관점에서 봤을 때, 이 변화는 저조세・저복지 체제라는 발전국가형 유산이 남아있는 가운데 낮은 조세규모와 누진과세의 조합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주의형 제도 요소와 사회보험 중심의 조세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대륙유럽형 제도 요소가 공존하는 혼종형 복지국가로의 전환이 진행된 것으로 해석된다. 이 연구 결과는 한국사회가 여전히 약한 국가책임의 한계를 안고 있지만, 조세・복지의 확대를 차단하는 불변의 구조가 지속되어왔다기보다는 민주화 이후 열린 역동적 공간에서 국가 역량과 구조의 변동이 꾸준히 진행되어 왔음을 뜻한다. 이는 또한 미래의 쟁점이 증세와 복지확대 자체의 가능성 여부가 아니라, 어떤 체제 비전을 위해 어떤 전략을 취할 것인가에 놓여야 함을 시사한다. In South Korea, a developmental state of low-tax and low-welfare systems with regressive tax structure depending on consumption tax has been established during the period of authoritarian rule, and many previous studies have emphasized that a large part of such characteristics continued up to date. To examine the long-term changes as well as the continuity of historical legacies of the tax-welfare complex of the South Korean state, this study analyzed the trend from the 1960s to the 2010s in comparison with OECD member countries, using tax revenue, tax structure, and welfare expenditure as key indicators. Methodologically, this study took a historical-comparative approach using ideological type to interpret the case of South Korea as a specific form of combination, proximity, and deviance in relation to the social democratic, continental European, liberal, and developmental regime types. The results of analysis showed that the legacy of the regressive developmental state continues, but has undergone considerabl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changes. The tax revenue started to leap from the late 1980s, and the welfare expenditure started to leap from the late 1990s, and since then they have grown the most rapidly and persistently among the OECD member countries. Regarding the tax structure, the increase of income tax and social insurance contribution are contrasted with the decrease of consumption tax. While the characteristics of low-tax and low-welfare system continue from the international standard, the South Korean state experienced a significant change toward a hybrid welfare state in which the institutional legacies of the developmental state like the tax expenditu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beral type centered on income tax and those of the continental European type centered on social insurance contributions coexist. Discussions on new structural problems and policy responses corresponding to these changes are expected to become more important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왜 불평등의 심화는 계급균열로 이어지지 않는가? 후발 민주화 사회에서 균열형성 지체의 역사적 조건

        신진욱 ( Jin-wook Shin ) 민주사회정책연구원 2017 민주사회와 정책연구 Vol.32 No.-

        이 논문은 한국과 같은 후발 민주화 사회에서 불평등의 심화에도 불구하고 조직적, 정치적인 계급균열의 형성이 지체되게끔 만드는 특수한 역사적 조건이 무엇인지를 묻는다.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 먼저 서유럽에서의 계급균열의 제도화에 대해 립셋-로칸전통의 비교역사 연구들이 정립한 명제를 근대화 과정의 시점과 순서라는 관점에서 재구성한 뒤에, 그와 대비되는 후발 민주화 사회의 근대화 과정의 특수성과 균열형성의 지체 간의 연관관계를 정식화했다. 주요 주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서유럽에서는 산업화에 따른 노동계급 조직화와 노동자정당의 대중조직 구축이 진전된 후에 선거정치가 일반화되어 계급기반 정당체계가 안정화된 데 반해, 많은 후발 민주화 사회에서는 노동계급이 조직적, 정치적으로 미성숙한 상태에서 선거정치가 본격화되어 후원주의적이거나 사인화된 정치세력이 선거를 통해 제도정치를 지배하는 경향이 강해졌다. 둘째, 민주주의가 긴 단절 없이 유지된 국가에서는 이전 시기에 형성된 균열에 새로이 등장한 균열이 누적된 데 반해, 정치체제의 단절이 심했던 후발 민주화 국가에서는 안정적 균열구조가 형성될 수 없었고 민주 대 반민주의 갈등구도가 권위주의 종식이후의 정당체계에까지 영향을 미쳤다. 셋째, 많은 후발 민주화 사회의 노동계급은 뒤늦게 조직화와 정치화를 시작했을 뿐 아니라, 오늘날 서유럽에서 계급균열을 약화시키고 있는 탈산업화, 정보화, 지구화 등의 동시대적 도전에도 직면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이 논문은 후발 민주화 사회에서 서유럽과 같이 대중조직에 뿌리내린 계급균열의 구현이라는 경로가 쉽지 않으며, 선거정치와 시민정치의 역동적 공간을 통한 다계급 동맹의 정치적 구성이라는 독창적 경로를 모색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This study asks what specific historical conditions have influenced the prolonged underdevelopment of the organized and politicized class-cleavages despite the serious inequalities in many late democratization countries such as South Korea. To answer this question, this paper reconstructed the theories established by the comparative-historical studies in the Lipset-Rokann tradi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imings and sequences of the modernization processes, and then tried to formulate the particular relationships between the specific paths of modernization and the underdevelopment of class-cleavages in late democratization societies. The main arguments are as follows. First, in Western Europe, the advancement of the working-class organizations and the mass-bases of workers` parties as a result of industrialization was followed by the stabilization of the cleavage-based party systems in electoral democracy, whereas in many late democratization societies, the election politics became full-fledged as the working class was still immature, such that the clientelistic and/or personalized forces became hegemonic in electoral competitions. Second, in a country where democracy has been maintained without long interruptions, a new cleavage was added to the cleavage structures formed in the previous period, whereas in the late democratization countries with authoritarian past, the party systems could not be stabilized and the conflict lines of democratic vs. anti-democratic forces continued to influence the structure of political competition even after the end of the authoritarian rule. Third, in some late-democratization countries, the formation of class-cleavages not only started much later than in Western Europe, but also was challenged by contemporary trends that weakened the pre-existing cleavages in Western Europe such as post-industrialization, individualization, the coming of the information society, etc. In conclusion,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Western European paths to the formation of class-cleavages cannot be repeated in the late democratization societies, and that more attention should be paid to a new path of political articulation of multi-class alliance by means of exploiting the potentials provided by the dynamics of electoral politics and civil society.

      • KCI우수등재

        국가역량의 개념과 다차원적 분석틀: 국가역량 레짐의 다양성 연구를 위한 이론적 고찰

        신진욱(Jin-Wook Shin) 한국사회학회 2020 韓國社會學 Vol.54 No.1

        민주화 이후 국가에 대한 논의는 국가의 역할과 기능, 국가권력의 남용에 대한 견제라는 질문에 집중되어 있었다. 이 논문은 그와 같은 국가이상을 실현하기 위한 현실적 조건을 뜻하는 ‘국가역량’, 즉 국가의 조직, 재정, 인력, 지식, 정치적 능력으로 관심을 확장한다. 최근 국가역량, 정부역량, 거버넌스, 정부의 질 등에 관한 연구가 국내 · 외적으로 급증하고 있는 가운데, 이 논문은 기존 연구의 세 가지 문제점에 초점을 맞춰 대안을 모색한다. 그것은 첫째, 현실에서 떨어질 수 없는 국가의 목표 수립과 실행 능력을 분리시켜서 국가역량 개념을 정책실행 능력으로 협소화시키고, 둘째, 그 분석적 차원을 강압 · 행정 · 재정 능력으로 국한하며, 셋째, 국가역량의 다차원성을 간과한 채 각국의 국가가 강한가, 약한가만을 묻는 일차원적 문제틀을 갖고 있다는 점이다. 그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이 논문은 국가역량 연구에 기초를 제공한 사회학의 주요 문헌들을 비판적으로 재구성하여 이 개념의 의미내용과 분석틀을 확장하고자 시도했다. 논문의 핵심 주장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역량은 공적 목표를 수립하고 이를 실행함으로써 영토 내 사회집단들의 행위와 관계를 제도적으로 규제하고 그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일체의 가능성을 포함한다. 둘째, 이처럼 확장된 개념 이해에 상응하여 국가역량의 분석적 차원은 강압 · 행정 · 조세와 같은 도구적 역량뿐 아니라, 현대의 민주적 자본주의 복지국가의 핵심적 활동인 법적 규제, 재분배적 개입, 경제활동 촉진의 역량을 포함해야 한다. 셋째, 다양한 차원의 국가역량은 종종 불균등하게 발전하고 심지어 상충하는 관계에 놓이기도 하기 때문에, 국가역량의 여러 부문 간의 특수한 배열과 결합 관계를 고찰하여 국가역량 레짐의 역사적 변화와 국가별 다양성을 규명함으로써 보다 정밀한 인식을 획득할 수 있다. For decades after democratization, discussions about the state was concentrated on the raison d"être and the new public role of the state and the way of checking the abuse of state power. This paper is an attempt to theoretically clarify the concept of ‘state capacity’ as a substantial condition to realize the Staatsideale embodied through such social discussions. Recently, studies on state capacity, government capacity, good governance, and the quality of government have been rapidly increasing, but they often do not inherit the huge theoretical insights of the sociological literature that has had a great impact on this subject area. On the contrary, they tend to narrow the concept of state capacity to the administrative executive capacity of the government and simplify the complex relations between various dimensions of state capacity into a numerical sum of index values. To overcome such limitations, this paper examines the core sociological literature that provided an immediate basis for the recent studies of state capacity, and tries to amplify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condensed in this concept. The argument of this paper is that state capacity is not just a formal concept to measure certain executive features of the government, but a theoretical concept that refers to the active ability of the state, which claims authority and legitimacy as the only public organization that concentrates on the issues of the political community, to territorialize, institutionally regulate, and affect the behavior and relationship of social groups. In addition, the paper argues that because the different dimensions of the state capacity-the coercive, administrative, extractive, legal, distributive and productive capacitieshave their own institutional legacies and dynamics of change, it only serves to distort or obscure the perception of reality to judge the general state capacity of a nation as strong or weak. Instead, we should make the concrete question of ‘which kind of state capacity?’ and ‘state capacity for what and whom?’ lead our research. Through such theoretical reflections, we would be able to better elaborate on the substantial issues, including the institutional arrangement of democratic and authoritarian state capacities, the conditions of state capacity required for more universalistic welfare state, and the nature of national competence that alleviates or deepens inequality.

      • KCI등재
      • KCI등재

        복지국가, 지방분권, 지방정치 역사・비교론적 관점에서 본 한국의 복지 분권화의 특성

        신진욱(Shin, Jin-Wook),서준상(Seo, Junsang) 한국사회정책학회 2016 한국사회정책 Vol.23 No.4

        이 연구는 한국에서 사회복지 부문을 중심으로 지방분권화가 시행된 지난 10년 간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중앙정치와 지방정치의 관계의 특성을 역사적, 비교론적 관점에서 조명한다. 연구의 주요 질문은 세 가지다. 첫째, 한국에서 지방분권화는 외국의 신자유주의적 분권화 사례들처럼 복지국가 축소의 수단이었나? 둘째, 지방분권은 애초의 의도대로 중앙정부 권력의 분산으로 이어졌는가? 셋째, 지역 복지정책의 중요 변수가 된 지방정치는 중앙정치로부터 독립된 동학을 갖기 시작했는가? 이 질문들에 관한 주요 지표로 지자체의 사회복지예산 규모, 총예산 중 비중의 추이 및 증감률, 지자체 단체장과 지방의회 권력구조를 분석했다. 주요 주장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분권화 이후 중앙 및 지방정부의 복지재정이 모두 상승하는 추이가 대체로 지속되어 왔다는 점에서 지방분권화가 곧 복지국가 후퇴를 뜻하지 않았다. 둘째, 지방정부의 복지 확대는 국고보조사업에 크게 의존했다는 점에서 지방분권 체제는 중앙 복지정책을 지방으로 확산시키는 제도적 기제로 기능했다. 셋째, 지방 권력구조는 지역 복지정책에 영향을 미치지만, 지방선거는 대통령 임기와의 관계, 중앙 권력에 대한 유권자 평가에 크게 좌우된다는 점에서 중앙정치는 지방선거를 매개로 하여 지역 복지정책에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이처럼 중앙정부와 중앙정치가 압도적 중요성을 갖는 체제 하에서는 중앙의 복지확대 또는 복지억제가 모든 지방에 즉각적이고 전면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양면성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방권력 강화 역시 복지정치 측면에서 양면성이 있으며, 한국의 역사적 맥락에서는 국가주도 체제의 복지정치적 잠재성을 최대화하는 것이 전략적으로 보다 효과적이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between national politics and local politics during the past decade of welfare decentralization in South Korea after 2005. Main questions are: firstly, was the welfare decentralization in Korea a means of neoliberal welfare state retrenchment? Secondly, did the decentralization measures actually result in the weakening of the power of central government? Thirdly, did the local politics began to show independent political dynamics? For these questions, the size and share of social welfare expenditure of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their historical trends, and the power structure of local government head and local parliament are analyzed.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the welfare decentralization in Korea did not mean welfare state retrenchment as both the central government and most local governments continued to increase the social welfare expenditure in the course of the welfare decentralization. Secondly, the welfare decentralization in Korea functioned as an institutional channel of the expansion of welfare policies of the central government into the local level, as the growth of the welfare expenditure in local governments depended largely upon the state subsidy programs and revenue-sharing system. Thirdly, the local power structure made a considerable impact on the welfare policy of local governments, but the national politics influenced the local power structure strongly through local elec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