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等高의 四角形 斷面 컵 形成

        愼宰賢,任亨洙,徐大敎 成均館大學校 科學技術硏究所 1991 論文集 Vol.42 No.1

        One of the recent procedures, the slip line field theory is adopted to find out the exact blank profile for deep drawing square and rectangular cups with a uniform height. The uniformity of drawn cup heights with ideal blanks by this theory is compared with that from other blanks. Drawing forces and thickness distributions are also described experimentally. From this approach, the use of ideal blanks could be suggested to obtain the deeper and the better square and rectangular cups with uniform heights which reduce the trimming allowance to a minimum.

      • 서비스디자인과 Innovative 광고의 사례 비교 연구

        신재현,박승배 한국정보디자인학회 2013 정보디자인학연구 Vol.16 No.2

        최근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소셜 네트워크의 개발로 인해 미디어 환경이 변화하면서 소비자가 정보의 발신자가 아닌 수신자가 주도권을 잡는 시대로 변화하였다. 또한 최근 Cannes Lions 광고제에서 보여주듯이 새로운 형태의 광고들이 계속적으로 등장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 광고대행사들의 광고개발에 대한 환경은 변화되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 새로운 방법론과 환경에 대한 연구로 새로운 미디어의 광고 제작환경을 만들어 나아갈 시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2013년도 광고의 현황파악과 소비자의 공감과 참여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광고시장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광고 제작 방법론의 개발을 위한 대안으로 결과물에서 유사성을 보이고 있는 서비스디자인과 Innovative 광고사례를 Ducoffe, R. H.(1996)의 광고 속성요인 이론을 차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된 내용을 바탕으로 앞으로의 Innovative 광고개발을 위한 발전방향에 대해 연구해 보았다.

      • SCOPUSKCI등재

        알키드 변성폴리에스테르를 함유하는 2성분계 폴리우레탄 도료의 제조와 도막물성

        신재현,김성계,하경진,박홍수 ( Jae Hyun Shi,Sung Gea Kim,Kyung Jin Ha,Hong Soo Park ) 한국공업화학회 1997 공업화학 Vol.8 No.6

        3,5,5-trimethylhexanoic acid(THA)와 트리메틸올프로판올 에스테르화시켜 중간생성물을 얻은 후, 중간생성물 속의 알키드 폴리올 성분인 THA의 함량을 10, 20, 30wt%로 변화시키면서 1,4-부탄디올, 트리메틸올프로판 및 아디프산과 축중합하여 알키드 변성폴리에스테르를 각각 합성하였다. 위에서 합성된 알키드 변성폴리에스테르에 폴리이소시아네이트쪽 성분인 Desmodur L-75와 블렌드하여 2성분계 폴리우레탄 도료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도료의 도막처리후의 제반 물성시험을 해 본 결과 3,5,5-trimethylhexanoic acid의 함량증가에 따라 8^-점의 높은 연화도, 2-3시간의 짧은 건조시간 및 18∼23시간의 긴 가사시간을 나타내어 알키드기의 장점이 일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Alkyd modified polyester was synthesized by the polycondensation of 1,4-butanediol, trimethylolpropane, adipic acid, and the intermediate obtained by the esterification of 3,5,5-trimethylhexanoic acid(THA) and trimethylolpropane, where the contents of THA as a component of alkyd polyol in the intermediate were changed according to 10, 20, and 30wt%, respectively. Two-component polyurethane coatings were prepared by blending the synthesized alkyd modified polyester with Desmodur L-75 as a component of polyisocyanate. Various tests for coating properties with the prepared coatings show that high fineness of grind of 8^-point, short drying time of 2∼3 hours, and long pot-life of 18-23 hours were observed with the content of 3,5,5-trimethylhexanoic acid.

      • KCI등재

        Validity and Classification Accuracy of CBM Oral Reading and Maze to Identify Students at Risk for Reading Disabilities: A Review of Literature

        신재현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7 특수교육 Vol.16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ystematically synthesize the validity(concurrent and predictive) and classification accuracy(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CBM oral reading and maze task as screening tools for identifying students at-risk for reading disabilities in Grades 1-6. Specifically, this study focused on the classification accuracy of oral reading and maze to evaluate evidence for the two CBM measures as screening tools. Method: Twenty-three studies conducted in Grades 1-6 were systematically reviewed. Results: For oral reading, correlations appeared to vary in magnitude(r=.43-.75) across grades. Correlations for maze ranged from r=.49-.73 across Grades 3-5. In terms of classification accuracy, oral reading tended to show relatively lower level of sensitivity than specificity in Grades 1-3. However, this difference was not observed in intermediate grades. No classification accuracy results were reported for maze. Conclus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evidence base of CBM oral reading and maze as screening tools was evaluated to identify students at-risk for reading comprehension difficulties.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practice are discussed.

      • KCI등재

        통합교육 내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의 학습활동 및 사회정서발달에 관한 종단연구

        신재현 한국통합교육학회 2017 통합교육연구 Vol.1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longitudinal trajectories of growth in academic and social-emotional aspects of culturally diverse students and to compare these trajectories with non-culturally diverse students' trajectories. For this purpose, 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 data in Grades 1-5 was used. A linear mixed-effects(LME) model was used to analyze the initial status and growth trajectories of 'school adaptation' and 'social-emotional development' of students with and without diverse backgrounds. Results showed that the mean scores on 'school adaptation' and 'social-emotional development' decreased gradually as students' grade increased. In addition, culturally diverse students showed lower means on 'school adaptation' and 'social-emotional development' than did non-culturally diverse students across all grades. However, LME model indicated that there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itial status and slope on the variables between the two groups.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practices to help culturally diverse students perform better in schools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학업적, 정서·행동적 특성에 대한 변화양상을 종단적으로 살펴보고 또래 아동들과 비교하여 변화추이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함이었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자료 중 1~5학년까지 다문화 및 일반가정 아동들의 학습활동과 사회정서발달을 추적 관찰한 데이터를 선형혼합모델(linear mixed-effects model; LME)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학습활동 및 사회정서발달 평균 점수는 학년이 증가할수록 하락하는 경향을 보였고, 또래 아동들에 비해 저학년부터 고학년에 이르기까지 모든 학년에 걸쳐 일관되게 학습활동과 사회정서발달 두 변인에서 낮은 평균을 보였다. 그러나 LME 분석결과 초기값과 학년 증가에 따른 기울기값에 있어서는 다문화 및 일반가정 아동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다문화가정 아동을 위한 교육적 지원 및 향후 과제 등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

        읽기학습장애 선별을 위한 선택형 읽기검사(CBM Maze)의 타당도 연구 : 메타분석을 중심으로

        신재현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7 특수교육 Vol.16 No.1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읽기부진 및 읽기학습장애 위험군 선별을 위한 선택형 읽기검사(CBM Maze)의 타당도를 메타분석을 통해 종합적으로 살펴보는 것이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선택형 읽기검사와 표준화 읽기성취도검사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총 22편의 국내외 연구들을 체계적으로 종합하였고, 효과크기의 통계적 분석을 위해 무선효과 메타분석(random effects meta-analysis)을 적용하였다. 또한, 상관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조절변인(moderator)들의 영향을 파악하였는데, 학년차이, 대상자 특성, CBM 및 표준화검사 특성 등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연구결과, 평균 상관관계는 r = .606으로 양호한 수준이었고 조절변인에 따른 분석결과 출판유형, 성별, 특수교육학생 비율, CBM 개발유형, 사용된 지문의 수, 표준화검사 개발유형, 문항응답 유형, CBM-표준화검사 실시간격 등에서 상관관계의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결론: 연구결과를 토대로 선택형 읽기검사의 현장 적용 가능성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validity of Curriculum-Based Measurement (CBM) Maze for identifying students at risk for or having reading disabilities. Method: This study synthesized 22 studies on the relations between CBM Maze and standardized reading achievement tests, and conducted a random-effects meta-analysis to analyze the true mean effect size and its variance. In addition, several moderator variables were used to account for variance in the effect size. Results: The mean correlation was moderate (r = .606). Moderator analyses revealed that the publication type, ratio of girls and students with special needs, type of CBM, number of CBM passages, type of standardized test, type of response format, and time interval between CBM and standardized test led to significant differences in effect sizes.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usability of CBM Maze in practice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