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직업체험 프로그램이 일 여자고등학생의 진로정체감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신은선 한국의료정보교육협회 2024 보건의료생명과학논문지 Vol.12 No.2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진로정체감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직업체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 대상은 고등학생 31명으로 직업체험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에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자료분석은 SPSS WIN 26.0 프로그램으로 빈도분석, 평균과 표준편차, paired t-test를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직업체험 프로그램 실시 후 대상자들의 진로정체감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따라서, 진로에 대한 고민과 선택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생에게 다양한 진로분야에 대한 안내와 더불어 자신의 관심 진로분야를 직접 경험할 수 있는 다양한 직업체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지속적인 프로그램 제공이 필요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d verify the effectiveness of a job experience program to improve high school students career identity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1 high school students, and data were collected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before and after.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frequency analysis,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nd paired t-test using SPSS WIN 26.0 program. After implementing the job experience program, the subjects' career identity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increas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continuous and diverse career experience programs that allow high school students to directly experience career fields of interest.
음악과 함께하는 건강체조 프로그램이 여성노인의 체력, 동적균형,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신은선 한국의료정보교육협회 2024 보건의료생명과학논문지 Vol.12 No.2
본 연구는 사회적 문제로 나타나는 노인의 신체 기능 및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음악을 활용한 건강 운동 프로그램이 노인의 신체 체력, 동적 균형 및 삶의 질 척도에 미치는 효과의 차이를 비교하고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노인복지센터에 다니는 10명의 노인 여성을 대상으로 주 3회, 1시간씩 음악과 함께하는 건강 체조를 4주 동안 실시하여, 체력은 SFT(노인 체력 평가), 동적 균형은 Biorescue, 그리고 삶의 질은 K-CASP-16을 사용하여 사전과 사후 차이를 비교했다. 체력 항목 6가지와 동적 균형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삶의 질 변화 16개 항목 중 통제성, 행복감, 자아실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는 누구나 쉽게 따라 할 수 있는 근거중심의 건강 체조를 통해 프로그램에 참여함으로써 지역 사회 보건활동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physical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the effect of health exercise program with Music on the physical strength, dynamic balance, and quality of life scale of the elderly as social problems appear. Health gymnastics with Trot music was conducted three times a week for one hour for 10 elderly women attending senior welfare centers for four weeks to compare the differences before Physical strength using SFT, dynamic balance using Biorescue and after quality of life using K-CASP-16.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bserved in all six fitness parameters and dynamic balance. Additionally, among the 16 items measuring quality of life, significant changes were noted in the areas of Controllability, Happiness, and Self-realiza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contributing to community health activities by participating in an evidence-based health exercise program with music that anyone can easily follow.
신은선,정은영 한국의료정보교육협회 2024 보건의료생명과학논문지 Vol.12 No.2
본 연구는 한국 전쟁 전후 여성과 아동 복지 체계의 발전과 간호사의 역할 변화를 중심으로 사회적 전환 과정을 분석하였다. 전쟁 이전, 여성은 주로 가정 내에서 돌봄 제공자의 역할에 국한되었으며, 사회적 복지 제도는 미비한 상태에 머물러 있었다. 이러한 사회적 맥락에서 한국 전쟁은 대규모 고아의 발생과 가족 구조의 붕괴를 초래하였고, 이로 인해 여성의 사회적 책임이 확대되고 간호 인력의 필요성이 급증하였다. 이와 같은 변화에 따라 정부 및 국제기구의 지원을 통해 아동 복지 시설과 의료 지원 체계가 체계적으로 구축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전환 과정에서 간호사는 단순한 의료 서비스 제공자 역할을 넘어 심리적 지원과 교육의 주체로서 아동 복지의 핵심적 역할을 수행하였다. 특히, 지역사회 중심 복지 프로그램의 실행 과정에서 간호사의 기여는 매우 두드러졌다. 더불어, 국제 원조 기구와의 협력은 간호사들에게 현대적 간호 기술과 모델을 습득하고 이를 국내 환경에 적용할 기회를 제공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 간호 교육은 전문성을 강화하고 복지와 간호의 통합적 접근 방식을 발전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변혁은 사회적 약자인 여성과 아동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크게 기여하였으며, 한국 전쟁 이후 사회복지 및 간호 시스템 발전의 초석이 되었다. This study analyzes the evolution of women and child welfare systems and the transformative roles of nurses during the post-Korean War era. Prior to the war, women were predominantly confined to the role of caregivers within the household, and social welfare systems were underdeveloped. Within this socio-cultural context, the Korean War led to a significant rise in orphans and the disintegration of family structures, resulting in the expansion of women’s social responsibilities and an urgent demand for nursing professionals. In response to these changes, the government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facilitated the systematic establishment of child welfare institutions and healthcare support systems. Nurses played a pivotal role during this transition, extending beyond traditional medical care to include psychological support and education, thereby becoming key actors in child welfare. Particularly, their contributions were prominent in the implementation of community-based welfare programs. Furthermore, collaboration with international aid organizations provided nurses with opportunities to acquire modern nursing techniques and models, which were adapted to the domestic context. This process significantly advanced the professionalization of nursing education in Korea and strengthened the integration of welfare and healthcare services. These developments profoundly impacted the lives of vulnerable populations, particularly women and children, and greatly enhanced their quality of life. Ultimately, the transformation of nursing roles laid the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ocial welfare and healthcare systems in post-war Korea.
아동중심중재가 말늦은 아동의 어휘 모방에 미치는 효과: 단일대상연구
신은선,서경희,정한진 한국의료정보교육협회 2024 보건의료생명과학논문지 Vol.12 No.2
본 연구는 아동 중심 중재가 말늦은 아동의 어휘 모방에 미치는 효과를 위해 연구를 하였다. 연구 대상은 만 2세 말늦은 아동 1명으로 15회기 동안 ABAB 설계를 사용하여 기초선, 중재, 기초선, 중재 단계를 거쳤다. 본 연구 결과, 아동 중심 중재를 통해 모방하는 어휘의 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child-centered intervention on vocabulary imitation in late-talking children.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a 2-year-old late-talking child. The ABAB design was used for 15 sessions, and the stages were baseline, intervention, baseline, and interven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number of vocabulary imitated increased through child-centered intervention.
청소년의 자살시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청소년건강행태조사를 활용하여
신은선 한국의료정보교육협회 2024 보건의료생명과학논문지 Vol.12 No.2
본 연구는 청소년의 건강수준과 스트레스 원인에 따른 자살 시도를 분석하여 안전하고 건강한 성장 환경 조성을 위한 정책 마련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제19차 청소년건강행태조사 원시자료를 활용하여 31,827명을 대상으로 빈도분석, 교차분석 및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유의수준은 p=.05로 하였다. 연구 결과, 학급, 성별, 학업성적, 경제상태, 주관적 체형인식, 주관적 건강인식, 주관적 외로움, 주관적 스트레스, 주관적 행복인식이 유의한 영향 관계를 보였다. 이는 중학생, 여학생, 낮은 학업성적, 나쁜 체형 및 건강 인식, 많은 외로움, 높은 스트레스, 낮은 행복 인식을 가진 청소년들이 자살을 시도할 가능성이 높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청소년의 자립성과 문제해결 능력 향상을 위한 또래 집단 및 맞춤형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suicide attempts among adolescents based on their health levels and stress causes, providing foundational data for policies to create a safe and healthy growth environment. Using raw data from the 19th Youth Health Behavior Survey, frequency analysis, cross-tabulation,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on 31,827 participants, with a significance level set at p=.05.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class, gender, academic performance, economic status, subjective body image, subjective health perception, subjective loneliness, subjective stress, and subjective happiness percept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middle school students, female students, those with low academic performance, poor body and health perceptions, high loneliness, high stress, and low happiness perception are more likely to attempt suicid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implement peer group and tailored programs to improve adolescents' self-reliance and problem-solving skills.
시뮬레이션실습교육이 간호대학생의 메타인지, 그릿, 환자안전 지식 및 태도에 미치는 효과
신은선,박미마 한국의료정보교육협회 2024 보건의료생명과학논문지 Vol.1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핵심역량인 안전에 대한 시뮬레이션실습교육에 메타인지, 그릿. 환자안전지식 및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단일군 전후설계의 유사실험 연구이다. 자료수집은 G광역시 일개의 대학의 간호대학생 4학년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23년 10월부터 11월까지 8주간 운영된 시뮬레이션실습 교과목에 참여한 50명이었다. 수집한 자료는 SPSS 26.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대응표본 t-검정, Pearson 상관관계 분석을 하였다. 간호대학생들은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을 적용 받은 후 메타인지(t=2.75, p=.005), 그릿(t=-3.15, p=.003)와 환자안전 태도(t=2.56, p<.001)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시뮬레이션실습교육은 간호대학생의 메타인지와 그릿에 대한 효과적인 교육방법이며, 이를 위해 다양한 사례의 시나리오 개발과 함께 간호교육과정에서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의 적극적인 적용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re competencies of nursing students, such as simulation practice education, metacognition, and grit. This is a similar experimental study of a single-group pre- and post-war design to determine the effect on patient safety knowledge and attitudes. The data collection was 50 peoples who participated in a simulation course that ran for eight weeks from October to November 2023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for fourth-year nursing students at a university in Metropolitan Cit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6.0 program for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f the corresponding sample,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Nursing studen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in meta-cognition(t=2.75, p=.005), grit(t=-3.15, p=.003), and patient safety attitudes (t=2.56, p<.001) after receiving simulation practical training. In view of these results, simulation practical education is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for meta-cognition and grit of nursing students, and for this, it is necessary to actively apply simulation practical education in the nursing curriculum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scenarios of various cases.
신은선 한국의료정보교육협회 2024 보건의료생명과학논문지 Vol.1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 독거노인들의 사회적 고립에 대한 생애사적 경험을 이해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명의 독거노인이 참여했으며 심층 인터뷰 중심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생애사연구 방법으로 분석하였으며, 분석된 결과는 연구참여자들의 경험을 통합한 주제분석으로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사회적 고립 경험과 관련하여 연구참여자 1은 20개의 하위범주와 4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4개의 주제는 ‘고단한 결혼생활’, ‘경제적몰락’, ‘연이은 불행’, ‘독거생활’로 분석되었으며 연구참여자2는 18개의 하위범주와 4개의 주제로 도출되었다. 4개의주제는 ‘결혼과이혼’, ‘친정살이’, ‘종교활동’, ‘독거생활’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여성독거노인들의 사회적 고립에 대해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개입을 위한 실천적 방안을 제시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life history experiences of female elderly living alone regarding social isolation. To achieve this purpose, two elderly living alone participated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a life history research method, an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presented as a thematic analysis that integrated the experience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20 subcategories and 4 themes were derived for research participant 1 regarding her experience of social isolation. The 4 themes were analyzed as ‘difficult married life’, ‘economic downfall’, ‘continuous misfortune’, and ‘living alone’, and 18 subcategories and 4 themes were derived for research participant 2. The 4 themes were ‘marriage and divorce’, ‘living with parents’, ‘religious activities’, and ‘living alone’.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social isolation of female elderly living alone was deeply understood and practical measures for intervention were suggested.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 스트레스, 전공만족도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신은선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3 문화기술의 융합 Vol.9 No.5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students' adjustment to college life, stress, and major satisfaction, and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affec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e study included 298 nursing students from two universities in the region, and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April 24 to May 9, 2023. Results, It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college adjustment and stress,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Major satisfaction was the predictor variable that had the greatest impact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found to be 44.8%. This shows that nursing students with high self-efficacy are satisfied with their majors and adapt well to university life if they choose nursing studies.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various career exploration and career education programs to enhanc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