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재가노인의 기분상태에 관한 연구

        신윤희(Shin Yun Hee),정승은(Chung Seung Eun) 한국노년학회 1997 한국노년학 Vol.17 No.1

        본 연구는 노인들이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노화를 지니고 살아가면서 경험하게 되는 기분상태를 파악하여 노인복지의 전반적인 대안을 마련하는데 도움을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도, 충청북도, 경상남도에 거주하는 60세 이상의 노인 345명 이었으며, McNair, Lorr와 Droppleman (1992)이 개발한 기분상태 측정도구(Profile of Mood Staes, POMS)를 한국노인에게 적용 가능하도록 수정하여 타당화시킨 도구(신윤희, 1996)를 사용하여 노인의 기분상태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를 보면 노인의 기분상태는 평균평점 1.51로 비교적 양호했으며 하부요인별로는 불안-우울요인 1.39, 활력요인 2.30, 분노요인 0.74로 나타났다. 또한 노인의 기분상태는 성별, 연령, 직업, 결혼상태, 교육정도, 경제상태, 용돈해결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남자, 65-69세, 직업이 있고, 기혼상태이며, 대졸이상의 학력, 경제상태가 좋고, 본인이 직접 용돈을 해결하는 노인들의 기분상태가 가장 좋게 나타났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ood state of elderly and to constribute to the welfare of elderly. The subjects were 345 elderly persons over 60 years living in Seoul, Kyonggi-do, Chungchong-do, and Kyongsangnam-do. The tool used in this study was the POMS corrected and verified by Shin(1996). The results are as follows : the average value of total mood state was 1.51, and that of anxiety-depression factor was 1.39, that of vigor factor was 2.30, and that of angor factor was 0.74. The mood state of elderl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age, job, marital status, education, economy, and source of pocket money. That is, the elderly in case of male, 65-69 years, existence of job, more married and educated, richer, and spending a pocket money single-handed were the best mood state.

      • KCI우수등재

        기본간호학 교과서 표준화작업을 위한 기초조사 I: 활력징후, 체온유지, 산소화요구

        신윤희(Shin, YunHee),정승교(Chaung, Seung Kyo),김현주(Kim, Hyun-Ju) 기본간호학회 2019 기본간호학회지 Vol.26 No.4

        Purpose: Fundamental nursing is a major course in which student nurses learn core and basic theories and nursing skills needed to solve patients’ nursing problems before students starts clinical practicum. Methods: The 10 textbooks under review were selected as the most recent textbooks since 2013. As the first in a series of textbook review studies, we reviewed textbooks and procedure books on vital signs, body temperature regulation, and oxygenation, with a focus on differences in numbers, range, etc. Results: The most significant difference in vital signs assessment was the normal range for body temperature, which could be different according to age group, measurement sites and measuring devices. For topics on body temperature regulation, there were variations in describing stages of fever, definition, and patterns across 10 textbooks. For the topic on the oxygenation, the normal oxygen saturation level, FiO2 and L/min compatibility across various oxygen supply devices, and unit compatibility of French vs milimeter for the selection of size of the suction catheter were not clear. Conclusion: Textbooks can be more effective nursing education guidelines when they provide standardized information as to figures and terms for nursing skills.

      • KCI등재

        멘토링 프로그램이 저소득층 여중생의 스트레스와 자존감에 미치는 효과

        신윤희 ( Yun Hee Shin ),이지혜 ( Jee Hae Lee ),이소영 ( So Young Lee ),임경민 ( Kyeung Min Lim ),이숙 ( Lee Sook ) 한국간호과학회 정신간호학회(구 대한간호학회정신간호학회) 2012 정신간호학회지 Vol.21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a mentoring program designed to help middle school girls from low income families cope with stress and improve self-esteem.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the mentoring program, in which the mentors were nursing students and the mentees were middle school girls.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stress and self-esteem scores. The program was conducted using group activities and personal approaches through the mentor-mentee relationship. The program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1 to December 11, 2010 in a middle school in A city, South Korea. Results: At follow-up, the stress and mental health scores had improved significantly in the intervention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self-esteem scores in the intervention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after the intervention than scores before the intervention.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mentoring programs have the potential to be developmentally appropriate interventions for stress management and self-esteem improvement in adolescents from vulnerable families and also enable nursing students as mentors to gain confidence in their professional capabilit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ADHD아동과 일반아동의 동작을 통한 주의력·충동조절력·기억력 과제의 수행률 비교 연구

        신윤희 ( Shin Yun-hee ),김성범 ( Kim Sung-bum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6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5 No.3

        본 연구는 동작을 통한 주의력·충동조절력·기억력 과제를 적용하여 일반아동과 ADHD아동간 주의력·충동조절력·기억과제에 대한 시도와 반응률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일반아동 16명과 의료적 판정을 받은 ADHD아동 9명을 대상으로 주의력, 충동조절력, 기억력을 측정하는 콘텐츠 3종을 각각 적용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초등학교 학생 25명을 대상으로 K시와 A시 복지관과 사설교육기관에서 총 15분씩 각 대상자들에게 실시되었다. 본 자료는 시도횟수 및 단계와 시도에서 성공빈도에 따른 비율분석으로 각 빈도를 SPSS 22를 활용하여 독립표본T검증과 χ2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동작을 통한 주의간섭과제의 과제시도와 정반응률에 있어서 ADHD아동은 일반아동에 비해 낮은 정반응률을 보임으로써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동작을 통한 충동조절력 과제의 경우에는 과제시도에서는 모두 19번의 기회를 동일하게 달성 하였지만, 정반응률에 있어서 ADHD아동이 일반아동에 비해 더 낮은 정반응률을 보임으로써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동작을 통한 기억력과제의 단계별 과제시도에 있어서 ADHD아동은 1단계에서, 일반아동은 4단계에서 각각 어려워했으며, 정반응률에 있어서도 일반 아동에 비해 ADHD아동이 유의미하게 낮은 정반응률을 나타내었다.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rate of trial and correct-response between ADHD and control group using three tasks(attention, impulsiveness, memory) using human action recognition. There were 25 participants who have 16 children with ADHD taking medical diagnosis and 9 normal children. They wer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have educational service in welfare center and private educational center. The three tasks were developed based Stroop, Go/NoGo, Memory task. The tasks were conducted during 15 minutes each tasks. Data was collected frequency of trial and correct-response on every task into Database. This data was analyzed by independent t-test and χ2 test using SPSS 22.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trial and correct-response behaviors in attention tasks were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DHD and Control group. In Impulsiveness task, All participants have 19 trials and their correct-response behavior has only difference significantly. In the final memory task, the ADHD group has difficult with the first level, however, Control group has difficult with fourth level. This result of level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rate of their correct-response was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DHD and Control group. In conclusion of this study, ADHD group has lower performance of attention, impulsive and memory tasks using human action recognition than Control group because of their lower cognition tempo and attention competency, spatial working memory deficit in executive function.

      • KCI등재

        김현승 시의 공간 구조와 시 의식 연구

        신윤희 ( Shin Yunhee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22 한국어문교육 Vol.41 No.-

        이 논문의 목적은 김현승 시인의 시 세계를 공간을 통해 새롭게 읽어보고자 하는 데 있다. 주로 시인과 관련한 전기적 배경들이 김현승 시 세계에 대한 연구와 비평 작업에 녹아들어 텍스트 내적 구조와 특질에 대한 탐구가 충분히 조명되지 못했다는 문제의식을 기반으로, 본고는 김현승의 시 작품을 공간이라는 코드를 통해 읽어봄으로써 시 세계 전체를 관통하는 시적 원리를 구명하고 아직 조명되지 못한 시 의식의 새로운 면모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김현승 시의 시적 공간을 상/하의 이항 대립적 대극 공간으로 분절하고 상/하의 각 공간에 배치된 이미지나 사물 역시 공간적 자질로 변환하여, 이를 대립과 차이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상방과 하방의 이항 대립적 구조는 하방성을 부정하고 상방으로 향해가려는 김현승 시인의 의식의 지향을 드러내고 있는데, 이러한 상방과 하방의 이원적 대립구조는 점차 균열을 일으키며 변이태를 만들어내면서 상/하의 공간은 질적 변화를 일으키게 된다. 특히 이러한 변화는 부정적 <하>공간에 상방의 가치와 질서가 도래하는 과정을 보여줌으로써 드러나는데 이로써 하방의 공간에서 상방의 가치를 찾아가는 방향으로 상/하의 공간은 통합을 이루어 나간다. 이러한 상-하 간의 통합은 궁극적으로 시(노래)를 쓰는 일을 통해 이루어진다. 결국 김현승 시인에게서 시를 쓰는 일은, 이웃에 대한 연민과 사랑을 기반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궁극적으로 김현승 시인의 대사회적 책무와 시인으로서의 심미적 이상이 시인으로서의 소명 의식으로 구체화되어 드러난 것으로 볼 수 있다. This paper attempted to shed light on new aspects of the poetic consciousness, which has not yet been illuminated, by examining the poetic principles that penetrate his poetry through space. To this end, the space of Kim Hyeon-seung was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spaces, and images or objects arranged in each space were also converted into spatial codes, and these codes were also analyzed in terms of confrontation and difference. In the upper and lower confrontation structures, the poet's inner consciousness reveals his tendency to deny the space below while trying to fly to the upper space. However, this adversarial structure gradually cracks and is deformed, and the properties of the upper and lower spaces also change qualitatively. In particular, the change in the lower space is remarkable, and the lower space comes to the sacred space where negative attributes have been removed. As a result, the lower space comes to have the characteristics of the upper space, and the upper space and the lower space are gradually integrated. And this integrated space has significance as a new polysemantic space with both upper and lower characteristics.

      • KCI등재

        비공학계열 학생을 위한 디자인 씽킹 기반 코딩교육 프로그램 효과분석 및 지원전략 연구

        신윤희(Yoonee Shin),정효정(Hyojung Jung),서응교(Eung-Kyo Suh)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0

        본 연구에서는 비공학계열 학생들에게 적합한 소프트웨어 교육 방안에 대하여 탐색하고자, 디자인 씽킹에 기반을 둔 코딩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이를 위하여 D대학교 ‘창의적 사고와 코딩’ 수업을 수강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7주에 걸쳐 프로 그램을 적용하였으며, 디자인 씽킹 단계에 따른 학습경험을 분석하고, 창의적 잠재력과 창의 역량에 미친 효과를 분석하였다. 학습경험을 분석한 결과, 학생들은 공감활동을 통해 어플리케이션 개발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중요한 통찰을 얻게 되었으 며, 모형을 제작하고 구현하는 과정을 통해 논리적이고 체계적인 사고방식과 도전정신을 배우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창의적 잠재력은 평균 3.07에서 3.39으로, 창의 역량은 평균 3.07에서 3.39으로 향상하였다. 대응표본 t-검정을 통하여 사전-사후 비교를 실시한 결과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였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학습과정에서 경험한 어려움과 창의적 문제해결역량의 세부요인별 향상 정도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비공학계열 학생 대상 소프트웨어 교육에서 고려해야 할 지원전략 을 제안하였다. In this study, we have applied a coding education program based on design thinking to find for software education methods suitable for non-engineering students. We applied this program to 122 students who take the Creative Thinking and Coding course at D University for 7 weeks. As a result of analyzing students learning experiences, students have gained important insights to be considered in the application development process through empathy activities, and learned logical and systematic thinking and challenging spirit through the process of developing prototypes. As a result, creative potential increased from 3.07 to 3.39 on average, and creativity competence increased from 3.07 to 3.39 on average. A pre-post comparison through a Paired t-tes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his study suggested support strategies for Software education based on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students in the learning process and the sub-category results of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 KCI등재

        컴퓨터기반 협력학습에서 공유지식 형성을 위한 표상도구설계

        신윤희 ( Yoonhee Shin ),김동식 ( Dongsik Kim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6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19 No.2

        컴퓨터기반 협력학습도구를 사용하여 한 공간에서 다양한 관점을 가진 사람들이 토의하고자 할 때,작성된 글이 과제내용 중 어느 부분에 해당하는 것인지를 파악하는 것이 어렵고 서로의 지식과 의견을 공유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 기반 협력학습에서 공유지식 형성을 방해하는 요인을 문헌연구를 통해 분석하고 도출된 원리를 기반으로 협력표상도구를 설계하였다. 설계된 도구는 평가 준거에 따른 체크리스트와 F.G.I를 통해 교수자, 설계자, 학습자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함으로써 반복 조정되었다. 최종 조정된 도구는 복합 과제를 해결해야하는 컴퓨터 기반 협력학습상황에서 학습자 간 지식 및 의견을 공유하는 데 방해요소를 최소화하여 협의를 촉진하고 고차원의 해결책을 도출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 기대한다. When using computer-supported collaborative learning(CSCL) tool where learners with different perspective are discussing in the same place, it is difficult to catch connection between specific position of learning content and written message by learners, share each other knowledge and opin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henomena responsible for causing "Un-shared knowledge" by literature research and designed collaborative representation tool based on described principle. A version of the Mediated annotation tool was developed for each problem identified and was subsequently tested by software evaluation standard and F.G.I. Final mediated tool will contribute to overcome knowledge sharing barriers, facilitate communication among students and describe high quality solution.

      • KCI등재

        한시의 문학교육적 가능성과 활용 방안 탐구

        신윤희 ( Shin Yunhee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21 한국어문교육 Vol.34 No.-

        본고의 목적은 한시의 문학교육적 가치 제고를 통해 문학교육에서의 한시교육 방향과 한시 작품 활용 방안을 큰 틀에서 제안해 보는 데 있다. 문학교육에서 한시 작품은 작품이해를 통해 문학적 소통을 추구하기보다 한국문학의 범주와 문학사적 갈래를 설명하거나 국문시가 이해를 위한 보조 자료로 활용되는 데 그치고 있다. 이는 전통 시가관에 근거한 고전시가의 교육과 연구의 관행과, 한시의 외국어 문학으로서의 한계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보인다. 한시에는 기록문학으로서 선인들의 고결한 정신적 세계가 고스란히 담겨있으며 이는 문학교육적 측면에서 충분히 가치 있는 부분이다. 그러나 노래 우위의 전통 시가관에 따라 노래의 기능이 탈각된 외국어 문학으로서의 한시는 국문학의 범주 안에서 국문시가에 비해 크게 주목받지 못했다. 그 과정에서 한시의 정신적 측면의 교육적 가치가 간과되어 온 것이다. 따라서 본고는 한시의 문자시로서의 역할과 기능에 주목하며 한시의 문학교육적 가치가 문자에 응축된 고결한 정신세계에 있음을 피력하였으며 더불어 한시의 창작 원리와 이에 기반한 여러 표현 전략들은 작품 내에 넉넉한 독자의 공간을 마련하고 있다는 점을 아울러 지적하였다. 이에 한시에 내재된 선인들의 고양된 정신세계와 그 세계 속으로 독자를 초대하는 한시의 창작 원리와 표현 전략이 문학교육으로서의 한시교육의 주요 내용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 본고의 요지이다. 한시의 ‘생각하는 시의 영역’에 집중할 때, 독자는 작품 속에 마련된 사유의 공간을 누비며 선인들의 정신과 만나고 자신의 세계와 충돌하여 드러난 진실을 목도하며 새로운 통찰과 전망을 발견하는 의미 있는 문학 소통을 이룰 수 있을 것이며, 위축된 한시교육 역시 그 활로를 찾을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new directions for Korean-Chinese poetry education in literary education and ways to use Korean-Chinese poems within a large framework. The use of Korean-Chinese poems in literature education is very limited. This paper considers that the cause lies in the limitations that Korean poetry has as foreign language literature and the teaching and study practices of Korea classical poetry that are based on traditional poetry views. Korean-Chinese poetry was recorded and passed down with the noble spiritual world of the ancestors kept intact. That spirit is a significantly valuable part in terms of literary education. In addition, Korean-Chinese poetry has ‘a place that makes readers think.’ It is based on the principles and methods of creating Korean-Chinese poetry. When teaching Korean-Chinese poetry, we should make an active use of this place to make readers think. In this place, the reader can experience the noble spirit of the ancestors and discover new prospects. Through this paper, the educational value of Korean-Chinese poetry could be revealed and the education of Korean-Chinese poetry revitaliz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