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임상적으로 유용한 치과용 Air/water syringe의 소독법

        신세영,양연미,김미아,김재곤,백병주,Shin, Seyoung,Yang, Yeonmi,Kim, Miah,Kim, Jaegon,Baik, Byeongju 대한소아치과학회 2013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40 No.4

        본 연구는 미생물의 배양을 통해 임상적으로 효과적인 air/water syringe의 소독법을 조사할 목적으로, 치과 병원에서 사용하는 10개의 AWS tip을 사용하였다. 실험군은 6개 군으로 나누어 실험을 3번씩 반복하여 180개의 샘플을 얻었다. 1군은 소독하지 않은 경우, 2군은 물에 적신 거즈로 큰 오염물만 제거한 경우, 3군은 78% 에탄올 스펀지로 10초간 소독한 경우, 4군은 78% 에탄올 스펀지로 20초간 소독한 경우, 5군은 1 : 100으로 희석한 High Level Disinfectant$^{(R)}$을 적신 스펀지로 20초간 소독한 경우, 6군은 가압증기멸균한 경우이다. 1군과 2군은 4, 5, 6군보다 유의하게 높은 미생물집락형성을 보였다(p < 0.05). 또한 4, 5, 6군은 미생물 집락이 나타나지 않았다. 에탄올과 High level Disinfectant$^{(R)}$를 사용하여 AWS tip을 20초 이상 소독하는 것은 가압멸균법이나 일회용 tip의 사용이 가능하지 않은 경우 교차감염 예방을 위해 유용한 방법이 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contamination level and effective clinical disinfection methods of dental air/water syringes (AWS) by using microbial incubation. This study used AWS of ten dental unit chairs of Hospital. Total 180 samples were obtained. There are six groups of samples: non-sterilized (group 1), sanitized with wet-gauze (group 2), sanitized with 78% ethanol sponge for 10 seconds (group 3), sanitized with 78% ethanol sponge for 20 seconds (group 4), sanitized with 1 : 100 diluted High Level Disinfectant$^{(R)}$ (group 5), autoclaved (group 6). Group 1 and 2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of CFUs than Group 4, 5 and 6 (p < 0.05). Group 4, 5 and 6 did not show any noticeable CFU. Sanitizing AWS tips with ethanol and High level Disinfectant$^{(R)}$ proves to be a useful and practical method for preventing cross-infections.

      • KCI등재

        각화낭성 치성 종양의 보존적 외과적 치료 : 증례보고

        신세영,양연미,김재곤,백병주,Shin, Seyoung,Yang, Yeonmi,Kim, Jaegon,Baik, Byeongju 대한소아치과학회 2013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40 No.4

        각화낭성 치성종양은 국소적으로 공격적이고, 높은 재발률을 가지며 뚜렷한 조직학적 특성이 있는 낭성 병소로 다양한 치료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몇몇 학자들은 공격적인 형태의 치료방법을 주장하지만, 또 다른 학자들은 보존적인 치료를 선호한다. 본 증례들은 미맹출 치아를 가진 소아 환자들에게 보존적 외과적 방법인 조대술과 낭종 적출술을 이용하여 각화낭성치성종양을 치료하였고, 주기적인 검진을 시행중에 있다. 보존적 외과적 치료를 이용하여 각화낭성 치성종양을 치료하는 경우 치아와 해부학적 구조를 보호할 수 있어 소아 청소년 환자의 경우에게 좋은 치료 선택이 될 수 있다. The keratocystic odontogenic tumor (KCOT) is a unique cyst because of its locally aggressive behavior, high recurrence rate and characteristic histological appearance. Various options are available for treatment. While some clinicians advocate aggressive forms of dental treatment, others prefer more conservative therapy. In this study, two types of conservative surgical procedures were performed to treat the tumor; marsupialization and cyst enucleation. The patients showed healing process on conservative surgical treatment and teeth erupted without recurrence. Conservative surgical treatment can be an effective treatment option for young children because of their efforts to preserve teeth and other anatomical structures.

      • KCI등재

        척수장애인의 건강 체력 상관관계 분석

        신세영(Shin, Se-young),김원중(Kim, Won-jung),진승모(Jin Seung-mo) 한국사회체육학회 2023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 No.93

        Purpose: This study is aimed to identify the correlation between physical fitness factors to maintain health in spinal cord injury. Method: The study participants consisted of individuals living with psinal cord injury in the metropolitan area. After providing a detailed explanation of the study’s puprose and methods, consent was obtained from those who voluntarily expressed their willingness to participate.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a total of 29 individuals who agreed to take part. The measured variables included body composition, cardiorespiratory fitness, blood pressure, muscle strength, muscular enduarnce, and flexibility. SPSS version 28.0 was used for data analysis, and the Shapiro-Wilk analysis method was employed for the normality test. Following the normality test,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between each variable, with a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set at α=.05. Results: The study’s findings are as follows. 1) Among the body compoistion variables,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lean body mass, skeletal muscle mass, and muscle strength (p<.05, p<.01), and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body fat mass, percentage body fat, BMI, and cardiopulmonary fitness (p<.05).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ardiorespiratory fitness, muscular strength, muscular endurance, and flexibility, positive correlations were observed between cardiorespiratory fitness, muscular strength, muscular endurance, and flexibility (p<.05, p<.01, p<.001). However, no significant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muscular strength and flexibility. Conclusion: The study concludes that various physical fitness factors, including body composition, cardiorespiratory fitness, muscular strength, muscular endurance, and flexibility, are interrelated and play a crucial role in maintaining health for individuals with spinal cord injury. Continuous management and attention to these factors are deemed necessary for the overall well-being and health of these individuals.

      • KCI등재

        디자인 원리를 적용해 통합 예술을 토대로 한 아트 메이크업 디자인 연구

        신세영(Sae Young Shin),안나현(Na Hyeon Ah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2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8 No.4

        물질적 풍요와 정보에 의한 급격한 사회변화는 육체와 정신건강이 조화 된 행복한 삶을 누리기 원함으로 자연스럽게 미의 관심이 중시되고 있다. 미의 한 분야인 메이크업에서도 단순한 미의 역할에서 새롭게 테크닉이 개발되는 하나의 디자인 영역으로 확대 변화되고 있는데 그 중 아트 메이크업이 해당 된다고 할 수 있다. 아트 메이크업은 패션쇼, 공연 등 여러 무대에서 적용되어지고 디자인의 원리에 따라 끊임없이 디자인 발상을 통해 새로운 작품형태의 연구가 필요한 분야이다. 아트 메이크업 영역에서 디자인 원리를 적용한 디자인 발상이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 지와 조형 예술분야로써 창작영역으로의 확대모색과 창조적인 메이크업의 발전에 학문적 이론의 토대와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은 디자인 원리를 적용한 다양한 아트 메이크업의 작품분석을 위해 국내 선행연구, 단행본 3권, 보그 사이트의 컬렉션, 메이크업 관련 인터넷 검색사이트 17곳에서 작품사진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얼굴을 중심으로 아트 메이크업 특성을 표현한 작품에 한하여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작품의 실증적 내용 타당도 검증을 위해 메이크업 관련 전공자9인의 자문을 받아 1, 2, 3차의 선별과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30장의 아트 메이크업의 이미지 사진이 최종 선정되었다. 이상과 같이 메이크업 디자인 원리를 조화, 균형,통일, 강조, 리듬으로 분류, 적용한 아트 메이크업을 작품들을 통해 분석해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첫째, 조화는 주로 색채라는 디자인 요소로 무채색과 유채색의 대비조화를 이루어 극적인 긴장감을 주었고, 파스텔 계열의 유사조화, 자연에서 얻은 소재를 사용한 동일색상의 조화를 볼 수 있었다.둘째, 균형은 눈을 위주로 선과 면의 디자인 요소를 양쪽 상, 하 보다는 좌, 우 대칭 균형을 이루어 안정감 있는 균형을 이루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셋째, 통일은 다양한 소재의 오브제 사용으로 메이크업과 미적으로 결합해 서로 융합하며 전체적으로 통일감 있게 표현한 것을 볼 수 있었다.넷째, 강조는 얼굴 중 한 특정 부위를 집중의 효과로 강한 색채를 적용해 신비로움과 흥미를 유발하고자 강조의 원리를 적용한 것을 볼 수 있었다. 다섯째, 리듬은 점증이나 반복의 방법으로 다양한 형태의 직선과 곡선을 사용하여 선의 두께, 간격, 크기 등을 활용해 율동감을 준 동적 변화의 리듬의 원리를 볼 수 있었다. 후속 연구에서는 다양한 디자인 원리를 적극 활용한 창의적 활동을 통해 지속적인 아트 메이크업의 작품 개발이 이루어지길 바란다. The present society is now experiencing material affluence and overflowing information. In the midst of such rapidly changing society, people have turned their eyes onto beauty care to have a happy life of good physical and mental health. In terms of Make-up, one of the beauty fields, the subject has been expanding to the design area in that it is now working new techniques as it has stopped being satisfied with merely playing a simple beauty. Such Make-up which is going through the change is called Art Make-up. The Art Make-up is being used for fashion shows and performances. Since it has so much potential to develop according to the design principles, research on a new Art Make-up is definitely required. This study investigates how design ideas with the design principles applied would be adopted to the Art Make-up. With research on how to expand the art Make-up to the creative area as plastic arts,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theoretical foundation and fundamental data for the development of creative Make-up. The research was conducted based on various Art Make-up works with the design principles applied. Images of the works were selected from advanced researches in Korea, three relevant books on the topic, Vogue collections which were posted on the Internet and 17 online websites relating to Make-up. References which only focused on facial Art Make-up were examined. In order to prove practicality validity of the works, advices from 9 individuals who have majored in Make-up related fields were gathered. Through a series of three selections, 30 of the Art Make-up images were finally selected. The images were separatedly analyzed by their harmonization, balance, unification, emphasis and rhythm relating to the design principles. The results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for the harmonization, the images appeared to increase the tension to the end as working on contrast of achromatic color and chromatic color which is one of the design elements. Similar harmonization by pastel colors and another harmonization by the same colors gained from nature were observed. Second, for the balance, the images turned out to focus on lines and sides which are, again, the design elements. As concentrating on eyes, the balance gained a sense of stability with bilateral symmetry rather than vertical symmetry. Third, the unification was realized in the images as a variety of objects were being combined with each other. The whole images finally felt unified as the design elements were well mixed with Make-up. Fourth, for the emphasis, one particular area of a face was pointed out. With intense colors, a sense of mystery and interest was emphasized. This way, a principle of emphasis could be observed. Fifth, a gradual increase and repetition workedwith various straight lines and curves to express rhythm. A principle of rhythm with dynamic changes was confirmed through various thickness, spaces and sizes of the lines. For follow-up research, it is suggested that constant developments on Art Make-up should be conducted through creative activities based on active application of various design principles.

      • KCI등재

        신체질량지수에 따른 20대 여성의 신체조성과 유·무산소 체력의 상관관계 분석

        신세영(Shin, Se-Young),진승모(Jin, Seung-Mo),김원중(Kim, Won-Jung) 한국웰니스학회 2017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2 No.2

        본 연구는 신체질량지수에 따라 20대 여성의 신체조성과 유산소, 무산소 체력간의 비교 및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신체 질량지수에 따라, 저체중 집단, 정산체중 집단, 과체중 집단 각 50명의 여성을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였으며, 신체조성과 운동부하검사를 통해 유산소 체력, Wingate test를 통해 무산소성 체력을 측정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신체조성과 유산소, 무산소 체력간의 밀접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집단별 유산소 및 무산소 체력간의 차이에서는 정상체중, 과체중, 저체중 순으로 뛰어난 체력수준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현대사회에서의 무분별한 다이어트를 통한 저체중에 비해 정상체중 및 과체중이 체력적인 부분이 뛰어나다는 것은 저체중 집단의 건강상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추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대상에서의 연구를 통해 건강한 체력수준과 신체조성의 기초자료가 제시되어야 할 것이라 생각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12 weeks" aerobic exercise program on obese men"s body composition, blood lipids, C-Reactive Protein(CRP) and Homocysteine by carrying out the program at 60%HRmax five times a week. As research subjects, 14 obese men were selected who were in their late 20s or in their early 30s with over 25% of body fat percentage. This study came to the following conclusion by observing the subjects before the exercise program and 8 weeks and 12 weeks after the exercise program. In the aerobic exercise group, it was found that their weights and body fat percentages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12 weeks" program (p<.05). Although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body fat percentage, TC, TG, HDL-C, LDL-C, CRP and Homocysteine, there was some change found in the values with positive patterns. Consequently, this research is considered to suggest a new possibility of improving the vascular disorder inducing factors of obese men in their middle 20s or early 30s through aerobic exercise. For further studies, it seems necessary to carry out an accurate observation into obese men"s exercise types, various periods of exercise, life styles and patterns and even their eating habits, which is different from the research subjects for this study.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한국 전통 문양 및 색채를 활용한 뷰티디자인 연구

        신세영(주저자) ( Sae Young Shin ),김성남(교신저자) ( Sung Nam Kim ) 한국동양예술학회 2014 동양예술 Vol.26 No.-

        한 국가의 민족문화의 정체성을 표현하는 문화적 가치는 현재 글로벌 경쟁시대 하나의 전략으로 부각되고 있다. 최근 한류의 열풍으로 한국적 이미지를 활용한 산업체 영역이 확대되고 있고, 특히 디자인 영역에서는 한국의 미를 알리기 위해 다방면에서 전통 문양이 활용되고 있다. 현재 한국인의 정서 속에 나타난 미의식을 표현한 전통문양은 뷰티디자인의 모티브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이를 위한 논의와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한국 전통 문양을 뷰티디자인의 모티브로현대적인 시각화 표현을 구체화 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실존 유물과 각종 문헌, 전문서적, 정기간행물, 연구 논문,웹사이트 등을 참조하여 한국전통 문양의 기원과 역사, 종류, 현재 사용되고 있는 기법등에 대해 알아보고 뷰티디자인으로 활용될 수 있는 디자인요소 및 원리를 중심으로 전통 문양 구조에 대해 고찰하였다. 뷰티디자인 연구를 위해 인체부위 중 얼굴에 한정하여 적용하였으며, 뷰티 디자인 활용적 접근을 위해 우리 민족 고유의 미의식과 장식미를 잘 나타내 줄 수 있으며 인체의 곡선적 요소와 디자인 원리를 적용한 식물 문양과 가면 문양을 중심으로 전통 문양 패턴을 추출하였다. 또한 한국 전통 색채 활용을 위해 단청의 색상배열에서 색상을 추출하여 한국의 독창적인 이미지와 뷰티디자인을 접목하여 패턴을 제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전통 문양 중 뷰티디자인을 위한 식물문양은 반복, 단순화, 연속, 결합의 원리를 사용하여 표현이 가능했으며, 인체의 곡선을 통해 한국적 이미지를 나타내는 패턴으로 이용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식물문양은 곡선의 유기적인 특징을 활용, 간격, 위치, 두께에 따라 효과를 극대화, 인체의 곡선 활용이 가능한 문양이다. 이를 통해 율동감이나 리듬감을 표현할 수 있었다. 둘째, 전통문양 중 가면 문양은 단순화, 재배치, 결합, 확장 기법으로 표현이 가능하며 한국적 이미지를 여러 가지 디자인으로 표현할 수 있었다. 가면의 특징적 요소를 얼굴에 그대로 혹은 부분적용 할 수 있으며, 형태의 크기와 배치, 각도, 명암, 색상대비로 의미와 상징성 부여 및 뷰티 디자인으로써의 활용가능성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한국 전통 색채 활용을 위해 단청의 색상배열에서 색상을 추출하여 한국의 독창적인 이미지와 뷰티디자인을 접목하여 패턴을 제시할 수 있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한국의 전통미를 뷰티디자인을 통해 표현하고 부각시킴으로써차별화된 디자인 영역을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를 통해 한국적 문양을 이용하여 현대적인 뷰티 디자인으로 활용이 가능함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다양한 방법의 접근과 시도를 통해 다양한 한국적인 문양 패턴이 개발되어지기를 기대한다. 우리나라 전통 문양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전통에 대한 현대의 재해석을 통한 뷰티디자인이 개발될 것으로 기대한다. Cultural value that represents an ethnic and cultural identity of a nation has become a strategy in the competitive global world. Recently, industrial areas have been expanded using Korean image along with the Korean Wave. In design, in particular, traditional Korean patterns have been used in various ways to promote the beauty of Korea. Traditional Korean patterns that present the aesthetic sense in Korean sentiment have been used as a motif in beauty design.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discussion about it and systematic study. For this reason, this study aims to specify contemporary visualizing expression as a motif of traditional Korean patterns in beauty design. As study methods, origin and history of traditional Korean patterns, their kinds and current techniques were reviewed by referencing existing remains, various literature, professional books, periodical publications, study thesis and web sites. In addition, structures of traditional Korean patterns were analyzed based on design factors and principles that could be used in beauty design. The beauty design study was conducted on a face among human body parts. For the practical approach to beauty design, plant patterns and mask patterns were chosen among traditional design patterns, which represent Korean aesthetic sense and the beauty of decoration with curve element of human bodies and design principle. Moreover, colors were chosen from color arrangement of traditional multicolored paintwork on wooden buildings and stripes of many colors to suggest a pattern combined with creative Korean image and beauty design.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 plant pattern for beauty design was expressed with the use of principles of repetition, simplification and rhythm. It was identified that the plant pattern can be used to represent Korean image with curves of human body. It is possible for the plant pattern to use organic characteristics of curves, maximizing effects depending on distance, location and width for the use in the curves of human body. Therefore, dynamic and rhythmical senses were able to be expressed. Second, a mask pattern can be expressed with simplification and rearranging technique. In addition, various designs can be created by changing an arrangement of Korean image.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characteristic factors of masks can be applied on the face either entirely or partially. Moreover, size, arrangement, angle, brightness and color contrast made it possible to give meaning and symbolism, proving its possibility to be used in beauty design. Third, for the use of traditional Korean colors, it was possible to suggest a pattern combined with creative Korean image and beauty design bychoosing colors from the color arrangement of traditional multicolored paintwork on wooden buildings and stripes of many colors. The study results would help to construct distinctive design areas by expressing and emphasizing traditional Korean beauty in beauty design. From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raditional Korean patterns can be used in contemporary beauty design. It is expected for Korean design patterns to be developed more variously.

      • KCI등재

        한국 20∼30대 여성의 패션 프레임과 패션이미지 유형화

        신세영(Sae Young Shin),김영인(Young In Kim) 한국복식학회 2013 服飾 Vol.6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ake a look at the fashion frame of Korean women in their twenties and thirties to sort the actual fashion image and the ideal fashion image according to the fashion frame of Korean women in their twenties and thirties, and also to find out the standards and features that divide such a classification. For this study, we used the Q method, which is valued as an effective way to assess subjectivity. This helps to objectively classify the perception the fashion images of and the response to them as well. The analyzed materials were divided into two actual fashion frames and two ideal fashion frames, and classified them into 12 fashion image types in total, that is, six actual fashion images and six ideal fashion images, and we named each type of the fashion images and analyzed the features of each fashion image type through the in-depth Q workshop in which 14 professionals participa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ctual fashion frames of Korean women in their twenties and thirties was largely divided into ``Fashion Gold Girl``, the fashion frame of mainstream and ``Indi-idol``, the fashion frame of subcultures, and this was further divided into six fashion image types: ``Basic Casual``, ``Vintage Performer``, ``Easy Chic``, ``Ladies`` Look`, ``City Office Girl`` and ``Club Mania``. Second, the ideal fashion frame of Korean women in their twenties and thirties was divided into ``Urban Refinement``, the fashion frame of the mainstream and ``Mismatched Style``, the fashion frame of subcultures. It was also divided into six fashion image types: ``Power Fashion``, ``Fashion Conservative``, ``Semi-culture``, ``Fashion Otaku``, ``Sweet Darling`` and ``Fashion Panic``. Third, The characteristics of the fashion images`` colors are recognizable according to the type of fashion images.

      • 지하철 상부 근접시공에 따른 구조물 및 운행선의 안정성 검토에 관한 연구

        신세영(Shin se-young),이준석(Lee Jun-seok),박용걸(Park Yong-gul) 한국철도학회 2009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09 No.11월

        본 연구는 경의선 복선전철 노반 신설공사 중 기존 도시철도 터널상부 근접통과 구간으로 도시철도공사에서 제시하는 안전영역 중 굴착금지 구간에 상부 경의선 굴착공사 시공에 따른 기존터널(도시철도 6호선) 구조물 및 운행중인 철도노반 침하의 안정성을 검토하였다. 경의선은 기존터널과 약 3.5m 근접하여 시공되는 조건으로 기존의 근접공사 시공사례와 비교해 볼 때 상대적으로 근접정도가 심하며, 도시철도공사에서 제시하는 안전영역중 굴착이 금지된 구역에 해당하는 구간이나, 근접공사에서의 안전영역은 터널 간 상호관계, 지반조건 등 여러 가지 제반여건에 따라 결정되어 진다는 기존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현장여건에 맞는 탄력적인 평가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국내외 각종 철도노반 유지관리 기준을 살펴보고 시공단계와 보강조건을 고려한 3차원 정밀수치해석을 수행하여 경의선 굴착시공에 따른 하부 기존터널의 안정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수치해석을 통한 3차원 안정성 검토결과 경의선과 기존터널 사이의 지반을 수평 강관보강 또는 수직 지반보강그라우팅보강을 적용할 경우 기존터널의 안정성 확보가 가능하며, 철도노반 침하도 허용치 이내로 안정성 확보가 가능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근접시공 조건하에서 기존터널 구조물의 안정성 평가는 구조물의 상호 위치관계, 주변 지반조건, 보강조건 등을 포함한 변수를 고려하지 않고 경험적인 안전영역을 획일적으로 적용하기 보다는 경험적인 평가기준을 보완하여 시공조건, 보강조건 등을 고려한 상세 안정성 검토결과를 반영하여 종합적인 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국제철도 연합(UIC) 유지보수기준에서 제시하는 것처럼 궤도정비 기준도 선로계측 및 유지관리 데이터를 기초로 국내실정에 맞게 단계별, 속도별 유지관리기준을 재정립하여 합리적인 평가가 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stability of the existing tunnel structure influenced by kyoung-ui electric double track constructed upper-closely within the tunnel safety-protective zone is considered in this study. Although the sector on 3.5m top of existing tunnel structure is strictly forbidden to be excavated because of the safe zone around the tunnel, a flexible adjustment of safety zone is proposed based on the previous works on the interaction of the subway structure and geologic conditions. Also proposed are the estimation procedure of safety standard on the structures under construction and the maintenance criteria of the track. The results show that excavation is currently possible in the construction-prohibited area on the assumption that reinforcement is applied, and the studies on the foundation of domestic maintenance standards for roadbed are needed to be considered according to phase and operation speed in the same way of UIC maintenance standard. It is important to analyze systematic measurement and design data of similar-typed neighboring construction continuously because neighboring construction certainly affects existing structure and surrounding grou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