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구과학과 환경 교육

        신동희,Shin, Dong-Hee 한국지구과학회 2001 한국지구과학회지 Vol.22 No.2

        오늘날 지구 환경 문제가 크게 부각됨에 따라 환경 교육의 중요성도 점차 강조되고 있다. 과학은 환경에 대한 교육, 환경 안에서의 교육, 환경을 위한 교육 등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과목이다. 과학의 여러 분야 중에서 지구 과학은 연구의 대상이 지구에서 일어나는 자연적 또는 인위적 변화의 과정이라는 점에서 볼 때, 환경 교육적 차원에서 접근할 수 있는 내용이 상당히 많다. 따라서, 지구 과학 교육은 환경 교육에 큰 역할을 할 수 있음이 분명하다 이는 지구계 교육과 환경 교육의 목표가 거의 일치하고 있고, 지구에 대한 소양을 갖추기 위한 내용이 환경에 대한 소양을 갖추기 위한 내용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음에서도 알 수 있다. 그러나, 우리 나라의 지구 과학 교육 과정에서는 환경 교육적 차원의 관심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구 환경을 전체적으로 고려한 지구 과학 교육이야말로 지구 과학 교육에 대한 새로운 관심을 집중시키는 방법이 될 뿐만 아니라, 인류의 당면 과제인 지구 환경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환경교육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되는 길이기도 하다. Recently, with the increase of environmental problems,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al education has also been emphasized. Science is a subject that enormously contributes to education about the environment, education in the environment, and education for the environment. Among various fields of science, earth science has a large amount of contents related environmental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s that the subjects of earth science are natural and artificial changes in the earth surface. Accordingly, it is clear that earth science education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environmental education. This is proved in the fact that the goal and specifics of earth systems education coincidence with those of environmental education. Earth science curriculum in Korea, however, contains few contents related to environmental education. Earth science education that concerns our environment as a whole will help not only catch a new interest on the field of earth science but actively participate in solving our environmental problems.

      • KCI등재

        국내 지구 과학 교육 연구의 동향과 나아갈 방향

        신동희,Shin, Dong-Hee 한국지구과학회 2000 한국지구과학회지 Vol.21 No.4

        ${\ulcorner}$한국지구과학회지${\lrcorner}$가 발간된 지 20년이 지난 이 시점에 우리 나라 지구 과학 연구의 과거와 현재를 살펴보고 이를 근거로 나아갈 방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ulcorner}$한국지구과학회지${\lrcorner}$에 게재된 106편의 지구 과학 교육 연구 논문을 분석하였다. 양적 측면의 분석 결과, 지구 과학 교육 관련 연구가 최근 2년 동안 증가 추세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주제 측면에서 보면, 지구 과학 교육 내용에 관한 연구가 가장 많았으나, 우주 과학, 지질 과학, 대기 과학, 해양 과학 등의 ,세부 영역별 연구가 동일한 비중으로 이루어지지는 않았다. 연구의 대상 측면에서 보면, 교사보다는 학생 , 특히 고등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많았다. 연구의 방법 측면에서 보면, 교과서나 교육 과정을 분석하거나 검사 문항 등을 활용한 조사 연구가 가장 많았고, 문헌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연구의 내용 측면에서 보면, 교수/학습과 관련된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진 반면 평가나 교사 양성에 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To investigate the trend of earth science education researches published in ${\ulcorner}$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lrcorner}$ during last 20 years, 106 articles were analyzed. The results show that the number of researches in earth science education has increased, especially in recent two years. From the perspective of areas. general earth sciences were studied more than other areas such as astronomy, geology, and meteorology. From the perspective of subjects, students, especially high-school students, were studied more than teachers. From the perspective of research methodology, survey including content analysis of textbooks or curriculum were most preferred. In contrast, literature study were never accomplished. From the perspective of contents, researches of leaching/learning were the most common. It is notable that few studies were about educational assessment or teacher training.

      • KCI등재

        고령장애인 근로자의 장애수용과 삶의 만족도 간 관계: 고용환경에서 경험하는 차별과 직장 내 장애인 인식개선 교육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신동희,김여주,김기연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22 장애와 고용 Vol.32 No.1

        Purpose o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discrimination in the workplace and the education for disability awareness in the workpla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cceptance of disability and life satisfaction. Method: The sample was drawn from the 2020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PSED), and a total of 789 adults aged 50 or older were included in analyses based on their employment status. The Complex Samples General Linear Model was conducted. Results: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discrimination in the workplace and the education for disability awareness in the workplace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cceptance of disability and life satisfaction among the older workers with disabilities. Conclusion or Implications: Findings suggest the need for a careful approach to an individual’s acceptance of disability and the long-term and comprehensive impacts of discrimination experienced in the workplace, as it is the social and environmental context for the older workers with disabilities. 연구문제 또는 목적: 본 연구는 고령장애인 근로자의 장애수용과 삶의 만족도 간 관계에서 직장 내차별 경험 및 직장 내 장애인 인식개선 교육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개인적차원의 장애수용과 사회·환경적 맥락으로서 직장 내 차별 경험 및 직장 내 장애인 인식개선 교육의상호작용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한국장애인고용공단에서 실시한 2020년 장애인고용패널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취업 상태인 50세 이상 고령장애인 근로자 총 789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여 복합표본 일반선형모형(CSGLM)을 적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고령장애인 근로자의장애수용과 삶의 만족도 간 관계에서 직장 내 차별 경험 및 직장 내 장애인 인식개선 교육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였다. 직장 내 차별 경험이 있을 경우 개인의 장애수용이 높더라도 삶의 만족도가 낮았으며, 직장 내 장애인 인식개선 교육은 고령장애인이 체감하는 고용환경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나 오히려 장애수용이 높은 개인의 삶의 만족도 향상을 방해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또는 시사점: 본 연구의 결과는 고령장애인의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개인의 장애수용에 대한 신중한 접근과더불어 사회·환경적 맥락으로서 고용환경에서 경험하는 차별의 장기적이고 포괄적인 영향을 시사한다. 또한 직장 내 장애인 인식개선 교육의 중요성과 함께 질적 개선 및 내실화의 필요성을 함의한다.

      • KCI등재

        Graphene Synthesis from Graphite/Ni Composite Films Grown by Sputtering

        신동희,Seung Bum Yang,Dong Yeol Shin,김창오,김성,최석호,백상현 한국물리학회 2012 THE JOURNAL OF THE KOREAN PHYSICAL SOCIETY Vol.61 No.4

        Graphite/Ni composite films have been deposited on SiO<SUB>2</SUB>/Si (100) wafers by varying their graphite concentration (<I>n</I><SUB>G</SUB>) and thickness (t) from 2 to 12 wt % and 40 to 400 nm, respectively in a RF sputtering system, subsequently annealed at 900 ℃ for 4 min, and then slowly cooled to room temperature to form graphene layer on Ni surface. Several structural-analysis techniques reveal optimum <I>n</I><SUB>G</SUB> (~8 wt %) and t (~160 nm) of the composite films for the synthesis of fewest-layer and defect-minimized graphene. At the annealing temperature, carbon atoms diffuse out from the composite film followed by their precipitation as graphene on the Ni layer as the carbon solubility limit in Ni is reached during the cooling period. Based on this mechanism, the optimum conditions are explained. Our approach provides advantages to tune the number of layers simply by varying <I>n</I><SUB>G</SUB> and t of the composite films.

      • KCI등재

        In-situ Monitoring of AuCl3-doping and -dedoping Behaviors in Graphene

        신동희,김성,장찬욱,김종민,김주환,최석호 한국물리학회 2014 THE JOURNAL OF THE KOREAN PHYSICAL SOCIETY Vol.64 No.9

        In-situ variations of the surface morphology, transmittance, sheet resistance, and Dirac curveof graphene have been monitored during AuCl3-doping and annealing-induced-dedoping processes. The transmittance of graphene shows a monotonically-decreasing behavior due to doping and subsequentannealing at higher temperatures (TA), resulting from the continuing increase in the surfacecorrugations due to intensified coalescing of Au clusters. Electronic parameters, such as the sheetresistance, work function, Dirac point, and electron mobility, show their extreme values when annealedat 50 C after doping, which can be attributed to further enhancement of a reaction donatingelectrons to Cl ions from graphene at TA = 50 C. The annealing at higher TA induces a dedopingeffect due to the Cl desorption, thereby decreasing the doping efficiency. These results suggest thatCl anions play a crucial role in the doping and the dedoping processes, especially causing variationsin the electronic properties of graphe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