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독거노인의 사회적 배제 인식유형에 관한 연구

        신근화(Shin, Geun-Hwa)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인문과학연구 Vol.0 No.39

        본 연구는 독거노인이 인식하는 사회적 배제를 유형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회적 배제의 특성을 밝혀 이론적 토대를 형성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총 11차례의 재범주화 과정을 통해 선정된 36개의 진술문을 24명의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Q분류를 하게 하였다. Q방법을 통해 분석한 결과, 네 가지의 유형이 도출되었다. 유형 1은 ‘노력(소극적 대응)’, 유형 2는 ‘수용’, 유형 3은 ‘자립(적극적 대응)’, 유형 4는 ‘체념’으로 명명하였다. 독거노인의 사회적 배제의 유형화를 통해 사회적 배제의 특성을 유추해 보면, 먼저, 독거노인의 사회적 배제는 연쇄성을 띄고 있다. 둘째, 독거노인의 사회적 배제는 동시성을 띄고 있다. 셋째, 독거노인의 사회적 배제는 순환성을 보이고 있다. 넷째, 독거노인의 사회적 배제는 인과성을 보이고 있다. This study purpose to contribute in formation of the social exclusion recognized by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in establishing a theoretical fundamental by revealing characteristics of the social exclusion based on its formation. Q-sort is conducted on 36 statements selected through total 11 re-categorization processes for 24 the elderly living alone. The result of analysis of the Q-sort draws four different types. Type 1, Type 2, Type 3 and Type 4 are named as "Effort(Passive Response)","Reception", "Independence(Respond Positively)" and "Resignation"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analogy on characteristics of the social exclusion through the formation of the elderly living alone social exclusions, first, social exclusions of the elderly living alone are linked. Second, social exclusions of the elderly living alone are simultaneous. Third, social exclusions of the elderly living alone are circulated. Forth, social exclusions of the elderly living alone show causes and effects.

      • KCI등재

        노인일자리사업에 대한 참여노인의 주관적 인식 연구

        신근화(Geun Hwa Shin),신주화(Ju Hwa Shin) 한국사회정책학회 2010 한국사회정책 Vol.17 No.3

        본 연구는 노인일자리사업에 대한 참여노인의 주관적 인식유형을 파악함으로써 노인일자리사업의 발전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노인일자리사업과 관련하여 32개의 엄선된 진술문을 토대로 28명의 참여노인을 대상으로 Q분류를 하게 하였다. Q방법론을 통한 참여노인들의 ‘노인일자리사업’에 대한 주관적 인식유형은 첫째, ‘아르바이트형’, 둘깨, ‘노후대비형’, 셋째, ‘관리강화형’, 넷째, ‘역량강화형’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가 주는 함의는 먼저, 노인일자리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참여자들의 특성을 고려한 일자리상담 및 알선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그리고 참여자를 위한 직업능력개발훈련 및 역량강화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또한 노인의 욕구와 인식을 반영한 다양한 사업유형개발과 전문적인 업무관리 및 체계적인 사례관리가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참여자와 실무자의 자아존중감을 높일 수 있도록 노후에 일의 가치, 의미, 정체성, 타인과의 관계에 대한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 This research is intended to suggest the moves to strengthen business of employment for seniors by understanding the subjective awareness types of participating seniors for Senior Employment Promotion Project. This study was conducted targeting 28 of participating seniors, and based on 32 statements selected regarding The Senior Employment Promotion Project, they were classified into groups using Q Methodology. As a result, types of subjective awareness about `The Senior Employment Promotion Project` of the elderly through Q Methodology were firstly, `part-time job`, secondly `preparing for old age`, thirdly, `strengthening controling themselves` and fourthly, `strengthening their abilities`. These results imply that hands-on workers need to discuss their occupation and help them find jobs by building database of the senior employment and by considering their characteristics. Also, training and program to develop and strengthen their abilities are needed for the elderly. In addition, various projects should be developed by reflecting their desires and awareness and they have to be professionally and systematically managed. In conclusion, hands-on workers need to strengthen an education of work`s value and meaning for the elderly, their identities and relationships with others so that they can improve their self-esteem.

      • KCI등재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이 성태도에 미치는 영향과 성의식의 매개효과

        신근화(Shin, Geun-Hwa),강명희(Kang, Myeung-Hui)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인문과학연구 Vol.0 No.37

        본 연구는 청소년의 개인심리적인 요인인 자아존중감이 성태도에 미치는 영향과 성의식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여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향상 및 건강한 성의식 형성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C지역 4개의 중?고등학교를 학년에 관계없이 무작위추출을 통하여 총 310부를 SPSS 18.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자아존중감, 성의식이 성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지도력과 인기가 높을수록, 자기주장과 불안이 강할수록 성의식이 높을수록 성태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자아존중감이 성의식에 미치는 영향은 지도력과 인기가 높을수록 성의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함의 및 제언을 제시해 보면 첫째, 부모의 양육태도, 의사소통 그리고 성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에 대하여 교육할 필요가 있다. 둘째, 지역사회의 청소년 및 아동을 양육하고 있는 부모들을 위한 기초교육으로서 자녀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개입기법을 교육할 필요가 있다. 셋째, 또래집단을 활용한 다양한 활동들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넷째, 청소년들의 리더십을 함양해 나갈 수 있도록 리더십 생활기술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지역사회와의 연계를 통한 청소년 문화활동 및 자원봉사활동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come up with a measure to improve self-esteem of youths, establish a healthy sexual consciousness through analyzing the effect of self-esteem, which is a personal psychological factor of youths, on sexual attitude and the meditator effect of sexual consciousness. It analyzed a total of 310 samples using SPSS 18.0, which were obtained through the random selection from the four middle and high schools regardless of grades in the C reg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n this study, as for the effect of self-esteem and sexual consciousness on sexual attitude, it was found that sexual attitude was higher as leadership popularity being higher, self-assertiveness and anxiety being stronger and sexual consciousness being higher. And as for the effect of self-esteem on sexual consciousness, it was found that sexual consciousness was higher as leadership popularity being higher. In regard with th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based on these findings, first, parenting attitudes, communication, and there is a need to train for the right values about sexuality. Second, basic education for parents and youth of the community and raising children, as there is a need to educate the intervention techniques that can improve your child’s self-esteem. Third,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variety of activities that take advantage of the peer. Fourth, there is a need to develop so that it can continue to cultivate the leadership of youth leadership life skills. Fifth, there is a need to strengthen youth cultural activities and volunteer activities through linkages with community.

      • KCI등재
      • KCI등재

        고독사 사업 운영 실태와 개선 방향에 대한 탐색 - 현장 실무자의 경험을 중심으로 -

        신근화(Shin, geunhwa)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2023 한국사회복지행정학 Vol.25 No.2

        본 연구는 고독사 사업 운영 실태를 확인하고 이를 통해 고독사 사업의 효율적 수행을 위한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고독사 관련 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현장 실무자 16명을 대상으로 서면 인터뷰를 활용한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대상자 발굴과 관리, 서비스 제공 및 연계, 사후관리, 운영 지원, 홍보 등 5개 영역의 11개의 상위범주, 14개의 하위범주로 도출되었다. 본 결과를 바탕으로 고독사 사업의 효율적 수행을 위한 개선 방향을 제시해 보면, 첫째, 고독사 사업은 연령에 관계없이 전 계층을 대상으로 제공되어야 한다. 둘째, 고독사 대상자의 특성에 적합한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한다. 셋째, 고독사 대상자의 특성별 차별화된 발굴이 필요하다. 넷째, 고독사 사업 수행 예산지원이 필요하다. 다섯째, 고독사 사업 인력 처우개선이 필요하다. 여섯째, 사후관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일곱째, 고독사 실태조사의 주기를 단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고독사 위험군에 대한 객관적인 기준 마련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current status of the solitary death program and identify areas of improvement in its implementation.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a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using interviews with 16 field practitioners involved in solitary death-related programs. In this study, 11 upper themes and 14 lower themes were found and categorized into five areas, including target discovery and management, service provision and connection, follow-up management, operation support, and marketing. Study findings provide specific directions for improv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solitary death program. First, the solitary death program should be provided to people of all ages. Second, it should be offered services tailored to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solitary death victims. Third, it is important to manage solitary death through recruitment methods that align with the characteristics of solitary death victims. Fourth, adequate funding is required for supporting the solitary death program. Fifth, the solitary death program is required for advancing an effective workforce. Sixth,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aftercare program. Seventh,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investigation cycle of solitary deaths. Finall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objective criteria for identifying the high-risk group of solitary deaths are necessary steps.

      • KCI등재

        비행청소년의 사회적 자본 인식 유형에 관한 연구

        신근화(Geun Hwa Shin) 한국사회정책학회 2018 한국사회정책 Vol.25 No.2

        본 연구는 비행청소년의 사회적 자본 인식유형을 Q방법론을 활용하여 비행청소년의 사회적 자본 유형별 특성을 밝히고, 사회적 자본 형성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사회적 자본에 관한 진술문 33문항을 비행청소년 16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한 결과, 5가지의 유형이 도출되었다. 유형 Ⅰ은 ‘친구 지지형’, 유형 Ⅱ는 ‘가족친화형’, 유형 Ⅲ은 ‘능력자형’, 유형 Ⅳ는 ‘정의사회형’, 유형 Ⅴ는 ‘학교 신뢰형’으로 명명하였다. 이를 토대로 사회적 자본 형성방안을 제시해 보면, 첫째, 또래관계 내 사회적 자본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친한 친구를 활용한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둘째, 부모 자녀간의 직접적인 관계에서의 개입 즉, 대화, 관심, 의사소통 뿐만 아니라 자녀와 간접적으로 형성하고 있는 자녀의 친구, 자녀의 학교에 대한 개입이 요구된다. 셋째, 일상생활에서의 지속적인 감정 통제 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개입할 필요가 있다. 넷째, 사회제도의 불합리성과 유해환경에 대한 감시감독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학교 규범의 수준을 강화하여 학교에 대한 신뢰를 높일 수 있도록 환경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types of social capital by delinquent adolescents using the Q methodology and to find ways to form social capital. As a result, 33 types of statements about social capital were extracted from 16 juvenile delinquents and five types were derived. Type I was named as "Friend Supportive Type", Type II as "Family Friendly", Type Ⅲ as "Ability Type", Type Ⅳ as "Social Justice" and Type Ⅴ as "School Trust Type". Firs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ogram that uses good friends to improve social capital in peer relations. Second, intervention in the direct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children, that is, communication with friends, children of friends and children who are indirectly formed with children, as well as communication, attention, and communication are required. Third, it is necessary to intervene to control the continuous emotional control ability in daily life. Fourth, there is a need to strengthen the irrationality of the social system and the supervision over the harmful environment. Finally, there is a need to improve the environment to enhance the level of school norms and confidence in the school .

      • KCI등재

        독거노인의 주거 인식유형에 관한 연구

        신근화(Shin Geun Hwa ),신원식(Shin Won Shik) 한국노년학회 2016 한국노년학 Vol.36 No.1

        본 연구는 독거노인들의 주거유형에 관한 주관적 인식을 Q 방법을 통해 유형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주거유형별 특성을 파악하여 이론적 토대를 형성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총 세 차례의 수정 및 재검토 과정을 거쳐 선정된 23개의 진술문을 23명의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Q 분류를 하게 하였다. 분석 결과, 네 가지의 유형이 도출되었다. 유형 1은 ‘지지적 교류관계 부재형’, 유형 2는 ‘완전 고립형’, 유형 3은 ‘대인적 교류관계 단절형’, 유형 4는 ‘만족형’으로 명명하였다. 독거노인의 주거유형화를 통해 주거유형별 특성을 유추해 보면, 첫째, 유형 1은 향후 자살, 우울과 같은 심리적인 문제로 연결될 수 있다. 둘째, 유형 2는 총체적이면서 인과적인 주거선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셋째, 유형 1과 3은 주거의 의미를 사회적․심리적 관계 측면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s to grasp the subjective perception of the elderly people living alone about housing type through Q methodology and to contribute to form the theoretical basis to understand the type of housing properties based on it. A total of three times selected through a process of modification and review of 23 statements on the door to the Q classification was targeting 23 elderly people living alone. Analysis, four types were derived. Type 1 is support exchanges between member type, Type 2 is fully isolated type, Type 3 is interpersonal exchange relationships break type, Type 4 was named as satisfaction type. When to infer the type of housing typology of housing properties through the elderly living alone, first, type 1 can be linked to psychological problems, such as future suicide, depression. Second, type 2 can be connected as a whole, yet casual residential choice. Third, type 1 and 3 , it is necessary to access the sense of social housing to psychological side relationship.

      • KCI등재

        비행청소년의 사회적 배제 인식유형에 관한 연구

        신근화(Shin, Geun Hwa) 한국사회정책학회 2017 한국사회정책 Vol.24 No.2

        비행청소년의 물질적‧심리적인 취약점은 사회의 주변화가 될 가능성과 사회적 배제 노출의 가능성을 높인다. 따라서 본 연구는 비행청소년이 경험하는 사회적 배제의 인식유형을 Q방법론을 통해 사회적 배제의 특성을 밝히고 정책적・실천적 개입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사회적 배제에 관한 진술문 36문항을 비행청소년 15명을 대상으로 기관의 사전협조와 연구대상자의 동의를 거쳐 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4가지의 유형이 도출되었는데 유형 1은 ‘사회단절형’, 유형 2는 ‘포괄형’, 유형 3은 ‘빈곤형’, 유형 4는 ‘서비스부재형’으로 명명할 수 있다. 이를 토대로 비행청소년의 사회적 배제의 특성을 살펴보면, 복합성, 긍정성, 개별성, 보편성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weaknesses of delinquent adolescents increase the possibility of socialization and the possibility of social exclusio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cial exclusion through the Q methodology and to suggest policy and practical intervention directions. For this purpose, 36 statements about social exclusion were conducted through 15 prejudicial adolescents with the prior cooperation of the institution and the consent of the subjec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our types were derived. Type 1 can be named as social disconnect type ‘Type 2 is total type’, type 3 is ‘poverty type’ and type 4 is ‘service type’. Based on this, it can be sai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exclusion of juvenile delinquents are complexity, inclusivity, individuality, universality.

      • KCI등재

        독거노인의 가족해체 유형에 관한 연구

        신근화(Geun Hwa Shin) 한국사회정책학회 2012 한국사회정책 Vol.19 No.4

        본 연구는 독거노인의 가족해체요인을 경제적인 측면 외에 다양한 측면에서 유형화하고자 한다. 8차례의 재범주화 과정을 통해 선정된 29개의 진술문을 29명의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Q분류를 하게 하였다. Q 방법을 통해 분석한 결과, 네 가지 유형이 도출되었다. 유형 1은 정체성상실과 무력감으로 인한 자립형, 유형 2는 개인주의와 결속력 약화로 인한해체형, 유형 3은 가족자원의 결핍으로 인한 해체형, 유형 4는 건강상태에 의한 자립해체형으로 명명하였다. 본 연구가 주는 함의를 보면, 첫째, 혼자 살기를 원하는 자립형 독거노인에 대한 정책과 서비스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독거노인의 심리적 적응에 대한 개입과 서비스로 기존의 노인돌봄서비스를 한층 더 강화하여 밀착형 관계서비스를 개발해야 한다. 셋째, 독거노인복합공동체 개념도입과 이에 따른 독거노인 전용센터와 같은 전문적 보호기관의 설립이 요구된다. 넷째, 가족해체로 인한 독거노인의 경우 가족으로부터 고립되어 심리사회적인 문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사회적 관계망을 통한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 This study classified the factors of family disorganization of elderly people live alone in diverse aspects except the economic aspect. 29 statements selected through 8 times of recategorization process were distributed to 29 elderly people live alone and Q-sort was performed. Four types were deducted through the analysis by Q methodologies. Type 1 is independent type which is resulting from loss of identity and sense of helplessness. Type 2 is disorganization type because of weakening of individualism and social cohesion. Type 3 is disorganization type because of lack of family resources. Type 4 is called as independent disorganization type according to the health conditions. Implications of this study shows, First, development of policies and services for independent elderly people live alone who want to live alone is required. Second, existing old people care services should be much more intensified and intensive related services should be developed. Third, introduction of the concept of elderly people live alone multiple communities and consequent establishment of professional protection institution like elderly people live alone exclusive center are required.Fourth, for elderly people live alone who suffer from family disorganization, it is necessary to find the solutions through social relationship networks because they have problems of psychosocial problems that they are isolated from their famili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