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남북한 통합의 전제에 대한 소고(小考): 법적 문제와 통합변수들을 중심으로

        송철종 ( Cheol-jong Song ),모춘흥 ( Chun-heung Mo ) 한국법정책학회 2018 법과 정책연구 Vol.18 No.2

        본 연구는 남북한 통합을 어떤 방식으로 이루는 것이 합리적이며, 이때 제기될 수 있는 법적 문제와 주요 통합변수들을 논의한다. 본 연구는 통합에 따른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이 가장 합리적이라는 점을 전제하여, 정치적 통일 이후 남북한 경제를 일정 기간 분리 운영하는 ‘과도기 이중체제’를 거치면서 점진적 경제통합을 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다만 남북한을 한시적으로 분리 운영하는 데 따르는 법적 문제가 제기될 수 있지만, 이런 한계는 현행 대한민국 헌법적 근거를 통해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북한 주민의 남하 이주, 재산권 인정, 소득 격차 해소를 점진적 경제통합에 따르는 주요 핵심변수로 고려했다. 이 세 가지 변수는 북한 지역에 시장경제 제도를 도입하는 것을 가정할 때 반드시 살펴봐야 하는 부분이다. 본 연구는 이상의 내용을 논의함으로써 적지 않은 한계에도 불구하고 과도기 이중체제가 필요하며, 이때 필요한 주요 변수에 대한 이론적·정책적 통찰을 제공했다. This study discusses the reasonable way to integrate two Koreas and the legal problems and vital integration variables that may arise. The study regard it desirable that the two Koreas should accomplish the gradual economic integration through a Transitional Double System in which they operate their economies separately for a period of time after political reunification, assuming that it is most reasonable to minimize the costs of integration. However, while legal issues can arise regarding the temporary separation of the two Koreas, these limitations can be resolved through the legal basis of the current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As a gradual measure, the major factors in economic integration are the migration of North Koreans to South Korea, the recognition of property rights, and the reduction of income disparity. These three variables must be looked into when considering the introduction of a market economy system in North Korea. In reviewing the above, this study illustrates that a Transitional Double System is required despite not a few limitations and provides theoretical and policy insights on the key variables requisite for it.

      • KCI등재

        실질환율의 동태적 변화요인 분석

        송철종(CHEOL JONG SONG) 한국경제연구학회 2018 한국경제연구 Vol.36 No.1

        본 연구에서는 동태적 패널모형 분석을 통해 이행기 국가들의 실질환율의 동태적 움직임을 분석하였다. 설명변수로 노동생산성, 교역비율, 정부지출비율, 명목환율, 그리고 이행지수를 고려하였다. 이행기 국가에서는 발라사-새뮤얼슨 효과가 존재하며 개방도의 증가와 자국 화폐 가치 상승은 실질환율을 절상시켰다. 이행과정에서 실시하는 개혁 중에서 소규모 사유화와 기업의 구조조정의 실질환율 절상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대규모 사유화, 가격 자유화 무역 및 외환 자유화도 실질환율의 절상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경쟁촉진 정책의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행기 국가의 실질환율의 동태적 움직임은 개발도상국에 가깝고 선진국과는 다른 양상을 보였다. This study analyzes the movements of the real exchange rates in the transition countries using the dynamic panel data model. Labor productivity, openness, government expenditure, nominal exchange rate and transition indicators were considered as explanatory variables. In the transition economies, the Balassa-Samuelson effect was significant, and the increase in the openness and the overvaluation of nominal exchange rate appreciated the real exchange rate. Among the reform policies during the transition process, small scale privatization and governance and enterprise restructuring have brought about a bigger appreciation of the real exchange rate. Large scale privatization, price liberalization and trade and foreign exchange system have appreciated the real exchange rate as well. However, the effect of competition policy was insignificant. The dynamic movements of real exchange rate of the transition economies were similar to those of the developing countries and different from those of the advanced economies.

      • KCI등재

        한국 서비스 산업의 생산성 분석

        이종화 ( Jong Wha Lee ),송철종 ( Cheol Jong Song ) 한국금융연구원 2014 韓國經濟의 分析 Vol.20 No.3

        한국의 서비스 산업의 노동생산성은 제조업에 비해 낮고, 노동생산성의 성장률도 제조업에 비해 크게 낮아 그 격차가 점점 커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1980년부터 2010년 기간의 12개 세부 서비스업을 포함한 총 17개 산업의 자료를 이용하여 ``산업구조 변화의 생산성 효과 분석법(shift-share analysis)``으로 서비스업의 성장효과를 분석하고 선진국들과 비교하였다. 서비스업의 고용 증가가 경제 전체의 노동생산성 증가에 기여하였으나 최근에는 그 기여도가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요소 생산성을 추계해 본 결과, 세부 서비스 산업 중 도소매업, 음식숙박업 등 전통서비스업뿐만 아니라 사업서비스업, 교육, 의료사회사업 등 고부가가치 서비스업의 총요소 생산성 증가율이 음의 값으로 나타났다. 국가간 자료를 이용한 회귀분석 결과, 인적 자원의 질, 법 · 질서의 수준, 민주주의의 발전 정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대외 시장 개방이 낮을수록 서비스 부문의 생산성 증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제 여건과 정부 정책을 개선하면 서비스 산업의 생산성과 경제성장 효과를 더 높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level and growth rate of labor productivity in Korean service sector is relatively low, compared to manufacturing sector. This paper analyzes the growth effect of service sector, using the shift-share analysis with data of 17 Korean industries including 12 individual service industries from 1980 to 2010, and compare it with the USA and Japan. The shift of labor to service sector has contributed to overall labor productivity growth of the Korean economy, but the contribution has decreased in magnitude. The average growth rates of total factor productivity were negative not only in traditional services such as wholesale and retail trade and hotels and restaurants but also high value-added services such as business services, education, and health and social work. The growth regression using cross-country panel data shows that labor productivity of service sector tends to grow faster when qualities of human capital and institutions, and degree of democracy are higher and the level of trade openness decreases. This implies that the better economic environment and government policies can enhance the labor productivity growth of service sector.

      • KCI등재

        실질실효환율과 노동생산성의 국가 간 상호연계성 분석: 한국, 중국, 일본을 중심으로

        이진희(Jinhee Lee),송철종(Cheol Jong Song) 한국경제연구학회 2020 한국경제연구 Vol.38 No.3

        본 연구는 확산효과지수를 이용하여 한국, 중국, 일본의 실질실효환율과 노동생산성 사이의 상호연계성을 분석하였다. 확산효과지수는 한 변수의 변화가 다른 변수의 변화에 얼마나 기여했는지 수치화하는 분석방법이다. 분석 결과, 첫째 한중일의 실질실효환율과 노동생산성 증가율에서 한 변수의 변화에 있어서 다른 변수들이 기여한 부분이 40%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 국가의 실질실효환율과 노동생산성 증가율의 변화에 다른 국가의 변수가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동생산성 증가율이 실질실효환율에 미치는 연계성보다는 실질실효환율이 노동생산성 증가율에 미치는 연계성이 더 크다. 넷째, 최근의 표본구간에서는 일본이 중국과 한국에 미치는 영향력은 하락하고 있는 반면 중국이 일본과 한국에 미치는 영향력은 증가하는 추세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interconnectedness between real effective exchange rate and labor productivity in Korea, China and Japan using the spillover index. Spillover index is an analysis method that quantifies how much a change in one variable contributes to the variability of another variable. As results, firstly, about 40% of variation of each variable, among real effective exchange rates and labor productivity growths in Korea, China and Japan, comes from the changes of other variables. Secondly, the changes in the real effective exchange rate and labor productivity growth, which comes from other countries’ variables, of one country is sizeable. Thirdly, the spillover effect of the real effective exchange rate to labor productivity growth is greater than that of labor productivity growth to the real effective exchange rate. Fourthly, in the recent windows, while Japan’s influence on China and Korea is decreasing, China’s influence on Japan and Korea is increasing.

      • KCI등재

        경제정책 불확실성이 장단기 국채 수익률에 미치는 영향 분석

        박유현(Yuhyeon Bak),송철종(Cheol Jong Song) 한국자료분석학회 2023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5 No.5

        본 연구는 국내와 해외의 경제정책 불확실성이 국내 장·단기 국채 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우선 국내 경제정책불확실성이 장기와 단기의 국채 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해외 경제정책 불확실성에 대한 국내 경제정책 불확실성의 비율로 구성한 상대적 불확실성을 이용하였다. 해외 경제정책 불확실성으로 일본, 중국, 미국을 고려하였다. 또한 주성분분석을 통해 한국의 경제정책 불확실성을 한국 고유 요인과 주변국과의 공통 요인으로 구분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의 경제정책 불확실성은 장기와 단기 국채 수익률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경제정책 불확실성 중 한국의 고유 요인은 단기 국채 수익률을 유의하게 상승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일본, 중국, 미국의 경제정책 불확실성은 한국의 단기국채 수익률을 상승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상대적 경제정책 불확실성을 이용한 경우, 한국의 경제정책 불확실성이 중국보다 상대적으로 커질 때 한국의 단기 국채수익률이 상승하였다. 이는 경제정책 불확실성을 국가 고유 요인과 공통 요인으로 구별해야 불확실성이 국채 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impact of Korean and foreign economic policy uncertainty on Korean short-term and long-term government bond yield. First of all, the effect of domestic economic policy uncertainty on short-term and long-term government bond yields was analyzed, and then relative policy uncertainty, which was constructed as a ratio of Korean economic policy uncertainty to foreign economic policy uncertainty, was used. Japan, China, and the United States were considered for foreign economic policy uncertainty. In addition, through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Korea's economic policy uncertainty was divided into Korea-specific factors and common factors with Japan, China and USA.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Korea's economic policy uncertainty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long-term and short-term government bond yields. Second, Korea's unique factor in economic policy uncertainty was found to significantly increase short-term government bond yields. Third, the economic policy uncertainties of Japan, China, and the US have been shown to increase Korea's short-term government bond yields. Fourth, in case of analyzing the effect of relative economic policy uncertainty, Korea's short-term government bond yield rises when Korea's economic policy uncertainty is relatively greater than China's. This implies that the impact of uncertainty on government bond yields can be clearly understood only when economic policy uncertainty is distinguished as a country-specific factor and a common fact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