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국내외 전통공예 인증제도의 운용원리와 정책의 방향성

        송준 국립무형유산원 2019 무형유산 Vol.- No.6

        The scholars defining the present as the period of cultural industrialization have focused on the historical changes of paradigm. They have taken notice that culture is the resource to optimize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and that the cozercialization of the cultural contents becomes the latest trend. With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the so-called ‘cultural industry theory’ has gained the historical vale, which is the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current situation. Whatever opinions we have toward this situation, most of the academic institutions have already started adopting the change. For instance, most universities have cultural contents department, or its COOP department. Most cultural contents projects deal with traditional culture. Accordingly, in terms of the ongoing cultural industrialization, the transmission and applica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its related systems or policies should be considered in depth. There are a variety of cultural contents projects related directly or indirectly to the Korean traditional culture including the cultural archetype project by the Korean government. In addition, different types of discourse are made by private sections, academia or semi-governmental sections. In today’s culture war, this discourse should be dealt with aggressively. This thesis examines the status and application of the Korean traditional crafts, its utilization method, systematic tools, and policy orientation. The existing studies have mainly dealt with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cultural contents only in details. Therefore, this thesis deals with the different situations of Korea and other countries, and the universality and differentiation of the viewpoints about the application of traditional craft by comparing the case studies of authentication system in craft. 문화는 국제시장에서 국가경쟁력 제고의 자원으로 인식되고 있고, 문화상품화가 시대적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특히 전통문화는 문화상품화 과정에서 대외적 차별성을 제공하는 중요한 원천소스라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 주목한 학자들은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른 내부적 위기와 기회상황을 분석하 는 등 다양한 대응방안들을 논의하고 있다. 이른바 ‘문화산업론’이 전통문화 관련 학계의 관심을 끌게 된 것 도 이러한 상황을 잘 대변하고 있는 하나의 예라고 할 수 있다. 문화상품화의 열풍을 비판적으로 성찰하던지, 기회상황으로 분석하던지 간에, 문화를 산업화의 대상으 로 인식하는 것은 이미 학교나 학계에서도 그 변화를 수용하고 있는 일련의 중요한 사회적 현상임이 분명하 다. 예를 들면, 상당수의 대학교에 이미 ‘문화콘텐츠학과’ 혹은 이와 관련된 다종다양한 대학원 협동과정 등 이 만들어져 있다. 현 상황에서 필자가 주목하고자 하는 것은, 문화콘텐츠화 사업으로 평가되는 것들 중에서 많은 부분이 전통문화분야와 관련을 맺고 있다는 사실이다. 문화상품화라는 이름 아래 진행되는 문화산업화 전략의 측 면에서도 전통문화의 활용 그리고 그와 관련된 제도나 정책의 방향성을 고찰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본고는 이와 같은 전제 아래, 문화산업화의 시대적 맥락 안에서 전통공예의 활용의미, 활용방식을 분석하 고 그를 보장하기 위해 적용되었던 제도적 장치 등을 검토해 보고자 한다. 그동안 전통문화와 문화콘텐츠 와의 상관관계에 대한 선행연구들은 주로 총론적 입장에서 논의되어 왔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논의의 집중 성을 제고하기 위해 연구 범위를 공예분야 인증제도로 한정하여, 국내외 사례를 비교하고 한국과 외국의 상 황, 활용시각의 보편성과 차별성에 대해 논의할 것이다.

      • KCI등재

        무형문화유산 ‘전형’개념의 적용 현황과 문제점

        송준 남도민속학회 2019 남도민속연구 Vol.39 No.-

        After promulgating the law on the conservation and promo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e newly introduced principle of typifier preservation came to disrupt both the academic circles and related fields. One of the reasons was that there was no enough information sharing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related fields about the typifier concept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law’ and its systematic orientation. Another reason was that the discussion on typifiers was broken off after two symposiums, compared to continuous discussions on original forms. It is complicating to decide how to conserve and promote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erefore, a paradigm shift like typifier conservation must be fully discussed. In this thesis, the problems of original forms were reexamined. Also, the current situation and problems of typifier application were fully discussed. The term ‘typifier’ was proposed as an alternative of ‘original form.’ To clarify how to use typifier concept in related fields, some potential issues and limitations of typifier concept application were discussed only in mask drama. ‘무형유산의 보존 및 진흥에 관한 법률’의 제정공포 이후, 동법을 통해 전격적으로 도입된 전형(典型)보존주의 원칙으로 인해 시장의 혼란이 지속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게 된 원인 중 하나는 전승이나 행정 현장뿐만 아니라 학계에도 소위 ‘무형유산법’ 상의 전형 개념과 제도적 방향성에 대한 구체적인 사전정보가 없었기 때문이다. 이것은 국가로부터의 전형개념 도입에 대한 충분한 정보공유가 이루어지지 않아서 발생한 문제이다. 시장의 혼란이 지속되는 또 다른 원인중의 하나는, 여러 관련 학회에서 소위 ‘원형의 문제’에 대한 논의의 장은 충분히 제공해 왔지만, 전형과 관련해서는 두 번의 학술대회 이후 대부분 논의가 중단됐기 때문이다. 무형문화유산의 보전 및 진흥 방식을 결정하는 문제는 매우 복잡하고 어려운 문제이다. 전형보존주의라는 패러다임의 전환은 많은 사회적 논의를 필요로 하지만, 이에 대한 학계나 시장의 적극적인 논의가 소위 원형논의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게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현장의 전승실태를 바탕으로 원형의 문제점을 재고하고, 전형 적용의 현황과 문제점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를 진행했다. 전형이라는 용어는 원래 원형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제시된 개념이므로, 전형이 제시된 배경, 도입 경과, 법률화 과정에서 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해서도 고찰했다. 아울러 전형보존주의 원칙을 전승현장에 실제로 적용하기 어려운 이유, 즉 우리나라 무형문화재 복원 과정의 문제, 지정과정의 논란, 전승 과정의 변용 등을 함께 고찰했다. 논의의 방만함을 피하기 위해, 이 글에서는 가면극으로 범위를 한정해 주로 적용의 문제점과 한계에 대해 논의했다.

      • KCI등재

        Contractual Matching of Finite Economy: Limits of Decentralization

        송준 한국계량경제학회 2011 계량경제학보 Vol.22 No.2

        This paper considers incentive-constrained efficient contractual matching of individuals in the presence of moral hazard. By considering an economy with finite number of individuals, this paper shows what were assumed away in continuum models. Contract arbitrageurs specializing in writing (randomized) contracts, insurers, a market for lotteries on contracts, Lindahl-like prices for the lotteries, and a public randomization device are required for the incentive-constrained efficiency. The public randomization device needs to coordinate the matchings of individuals,and each team's contract is dependent on other firms' outputs. Insurers are committed to avoid cream-skimming, and essentially cross-subsidize across teams. This unrealistic role of the insurers shows the impossibility of decentralization in a reasonable sense (even when economics agents are price takers). Applications in Labor economics and Theory of merger are discussed. Technical contribution is to formulate a finite economy by linear programming.

      • KCI등재
      • KCI등재

        태권도 시범 공연화로 인한 시범단원의 전문성 탐색 및 제고방안

        송준,전정우 국기원 2019 국기원태권도연구 Vol.1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rofessionalism of demonstration members due to the performance of Taekwondo and suggest ways to improve it. Through thi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recognize the social value of the demonstration members as a professional and to provide basic data that can help to improve the quality of Taekwondo performances. To achieve this goal, ten nominees including eight performers and two directors were selected by applying nomadic sampling. In order to secure reliability and validity in analyzing the data, the subjects' subjective biases and errors were minimized through three rounds of consultation with expert groups. The collected data wer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of search results and 13 categories by inductive category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valuating the professionalism of the present demonstrators, there was a demand for change and the lack of performance as a performer. Second, the factors for the demonstration member's professionalism in Taekwondo performances were divided into theoretical ability, practical ability, values ​​and beliefs. Third, the obstacles that hinder the professionalism of the demonstration members were the performance-related education, the environment and culture of the Taekwondo performance, the social position of the demonstration members,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Taekwondo performance. Fourth, as a measure to enhance the professionalism of the demonstration members, the specialization process of the demonstration members, the environmental improvement of the Taekwondo performance, the qualitative approach to the Taekwondo performance, and the provision of institutional support devices were presented. 본 연구는 태권도 시범 공연화로 인한 시범단원의 전문성을 탐색하고 이에 대한 제고방안을 제안고자 한다. 이를 통해 전문직으로서 시범단원의 사회적 가치를 인정받고 태권도 공연의 질적 향상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유목적 표집법을 적용하여 태권도 공연의 공연자 집단 8명과 연출자 집단 2명으로 구성된 10명의 연구 참여자들을 선정하였으며, 심층면담을 토대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또한 자료의 분석 과정에서 신뢰도 및 타당도를 확보하고자 3차에 걸친 전문가 집단과의 협의 과정을 통해 연구자의 주관적 편견이나 오류를 최소화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귀납적 범주분석을 통해 총 4가지 영역의 탐색 결과와 13가지 영역의 범주로 분류되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시범단원들의 전문성에 대한 평가 결과 시범단원의 변화 요구 및 공연자로서의 역할수행 결여가 나타났다. 둘째, 시범단원이 태권도 공연에서 전문성을 형성하기 위한 요인은 이론적 능력, 실기적 능력, 가치관 및 신념으로 구분되었다. 셋째, 시범단원의 전문성을 저해하는 장애요인은 공연 관련 교육, 태권도 공연 환경 및 문화, 시범단원의 사회적 위치, 태권도 공연에 대한 이해로 나타났다. 넷째, 시범단원의 전문성 제고방안으로 시범단원의 공연 전문화 과정, 태권도 공연의 환경 개선, 태권도 공연에 대한 질적 접근, 제도적 지원 장치 마련이 제시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