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해방 이전 미국의 일본 점령 작전과 한반도 인식

        송정현 인문사회 21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4

        본 연구는 미국이 해방 이전 동아시아 정책 구상에서 한반도를 주목한 배경과 그 진위를 살피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미국이 해방 이전 한반도를 구체적인 점령 계획에 포함시켰던 일본 점령 작전을 통해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 한반도에서도 미국이 점령을 대비해 선정한 거점 지역들이 존재했음을 확인하였고 지역별로 특징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서울・부산・군산-전주 세 곳이 거점으로 선정되었음을 밝혔고 해당 지역들이 정치적 중심지와 교통 요충지 그리고 군사시설 밀집 등 공통된 조건들이 있음을 밝혔다. 특히 미국이 한반도를 일본 본토 공격 시 발생할 수 있는 배후지원 차단과 종전 이후에 실시할 점령 등을 고려한 전략적 교두보로 인식해 이와 같은 준비를 진행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통해 일본 점령 작전이 단독으로 이루어질 수 없었다는 것과 한반도에 대한 지리적・군사적 특수성이 함께 고려되었음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해방 이후 미국의 남한 점령을 미국과 일본 그리고 한반도라는 구도 속에서 살펴야 하는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background and authenticity of the US focusing on the Korean Peninsula in the concept of East Asian policy before liberation. During this process, the Korean Peninsula also confirmed that there were base locations selected by the US for occupation and analyzed characteristics by region. The study revealed that Seoul, Busan, Gunsan-Jeonju were all selected as bases, and that the regions had common conditions, such as political centers, transportation hubs, and concentration of military facilities. It was analyzed that the US recognized the Korean Peninsula as a strategic bridgehead considering the blocking of back support that might occur during the attack on the Japanese mainland and the occupation to be carried out after the war. Through this, it was suggested that the Japanese occupation operation could not be performed alone and that the geographical and military specificity of the Korean Peninsula was considered. It also suggested the necessity to examine the US occupation of South Korea after liberation in the composition of the US, Japan, and the Korean Peninsula.

      • KCI등재

        해방 후 공공성을 둘러싼 위기 담론 속 소거된 부랑자와 공공공간의 정화

        송정현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2022 南道文化硏究 Vol.- No.47

        해방공간은 장기간 식민 통치에 노출된 특수한 환경이었다. 일제 36년간의 침탈과수탈 속에 방치된 그야말로 열악한 상황에 놓여 있었다. 식민 통치 후유증은 정치·경제· 사회 분야에 걸쳐 제 문제로 나타났으며, 식민지 농업 수탈의 유산으로 생겨난 빈민문제의 확산은 부랑자 출현과 연쇄적으로 작동했다. 근대 사회에 들어서면서부터 부랑자는 더 이상 국가의 보호 대상이 아닌 사회로부터 격리해야 하는 위험 요소로 인식되었다. 특히, 부랑자 중에서도 가장 큰 희생자는 부랑 한센인이라 할 수 있다. 부랑 한센인 사례는 개인의 신체에 대해 국가권력이 직접적으로 개입한 것으로 강제적이면서 폭력적인 성격을 가진다. 일제강점기부터 부랑 한센인 관리 방식은 사회로부터철저히 배제하고 격리하는 방식으로 일관하였다. 해방 이후 미군정의 정책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 한센병은 해방공간에서도 혐오스러운 전염병으로 인식되었고 정책 당국조차사회 질서의 정상적인 유지와 재생산에 심각한 위험을 초래하는 대상으로 간주하였다. 미군정은 사회 내 공포와 혐오를 해결해 앞으로 수립할 통치 체제에 국민의 지지기반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미군정은 위험 요소로 인식되었던 부랑 한센인을 공공공간에서처리해줌으로써 통치 목표를 완수하려고 하였다. 그 과정에서 국민에게 신뢰를 얻기 위한 통치 기제로써 포섭과 철저한 배제의 방식인 차별관리가 적용됐다. 국가로부터 배제된 부랑 한센인은 강제적인 격리 방침에 의해서 점차 공공공간에서 소거되었다. 결과적으로 한센인과 비한센인의 경계는 더욱 확고해졌다. 본 논문은 미군정의 남한 점령통치목표에 투영된 통치 전략과 그 안에 함의된 역사적 의미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The liberation space was a special environment exposed to colonial rule for a long time. It was a truly poor situation that had been left unattended for 36 years of Japanese colonial rule. The aftermath of colonial rule appeared as a comprehensive problematic situation in politics, economy, and society and the spread of poverty caused by the legacy of colonial agricultural exploitation had negative interaction in tandem with the emergence of the vagabond. With the emergence of modern society, vagabond has been recognized as a hazardous risk that must be isolated from society, rather than as a subject to state protection. In particular, among the vagabonds, the biggest victim was Hansen’s disease patient. The Vagabond Hansen’s disease patient issue was an incident in which the state power directly intervened in an individual’s body, of which nature itself was also coercive and violent. From the Japanese colonial era, the Vagabond Hansen’s disease patients were consistently treated with thorough exclusion and isolation from society. After liberation, the policy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was not substantially different. Hansen’s disease was still recognized only as an abhorrent infectious disease, and even the policy authorities regarded it as a serious threat to the usual maintenance and reproduction of social order. Accordingly, the US Military Government made it a priority to secure the foundation of public support for the governing system to be established in the future by resolving fear, hatred, and dirt in society. The U.S. military government attempted to approach the goal of governance by resummoning non-citizen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treating vagabond, which was perceived as a threat, in public space. In the process, as a governing mechanism to gain trust from the people, discriminatory management, which was a thorough exclusion of non-citizens and acquisition, was maintained. Patients with Hansen’s disease, who were stigmatized as non-citizens, were gradually eliminated from public spaces, and the boundary between citizens and non-citizens became more solid as coercion was added to the quarantine policy imposed on non-citizens. This study aimed to reveal the historical meaning implied in the US military government’s ruling strategy reflected in the goal of completing the occupation and rule of South Korea.

      • KCI등재

        한일 중소기업 DX 지원정책에 관한 연구 - cooper’s 다차원 정책분석모델을 통한 비교분석 연구 -

        송정현 한양대학교(ERICA캠퍼스)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23 비교일본학 Vol.57 No.-

        Associety'sdigitalizationprogresses,companies'abilitytoutilizedigitaltechnology has emerged a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that determine their competitiveness. However, in the case of SME that are difficult to invest their budgets in digital transformation, digital transformation is slower than that of large companies, which causes management deterioration of SMEs in the mid to long term. Accordingly, countries around the world are making efforts to promote DX for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Accordingly,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DX support policies for SME in Korea and Japan using Cooper's four dimensional model and derived implications for Kore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At the Normative dimension, it was common that the Korea Japan SME digital transformation support policy was introduced to improve SME’s productivity and strengthen manufacturing competitiveness against the backdrop of the widening digital gap between SME and large companies.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Korea, goals such as job expansion and industrial accident reduction were pursued at the same time, and in the case of Japan,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a wide range of support policies such as management support and cybersecurity were established. At the Structural dimension, both countries have something in common that supports SME digital facility investment, but in Korea, a level check and consulting budget were set up separately, and in Japan, support for purchasing peripherals such as computers and tablet PCs was made. At the Constitutive dimension, both countries have something in common that the central government led digital transformation of SMEs took place, but in Korea, several government ministries were involved, and in Japan, a single ministry was involved. Another difference was that Korea's relatively emphasized the role of the state in the digital transformation of SME.At the Technical dimension, both countries have prepared indicators to evaluate the degree of digital transformation of SME. On the other hand, in Korea, government agencies quantitatively evaluated the performance of support projects, but in Japan, there was a difference that companies were encouraged to judge the degree of digital transformation themselves. 사회의 디지털화가 진전됨에 따라 기업의 디지털기술 활용 역량은 기업의 경쟁력을 결정 짓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 부상하게 되었다. 하지만 디지털 전환에 예산을 투입하기 어려 운 중소기업의 경우 대기업에 비해 디지털 전환이 더디고, 이는 중장기적으로 중소기업의 경 영악화를 야기하게 된다. 이에 세계 각국은 중소기업의 DX 촉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Cooper’s 다차원정책분석모델을 활용하여 한국과 일본의 중소기업 DX 지 원정책을 비교분석하고 한국에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규범적 차 원의 경우, 한일 중소기업 디지털 전환 지원정책은 중소기업 대기업 간 디지털 격차 심화를 배경으로, 중소기업 생산성 향상 및 제조업 경쟁력 강화를 목적으로 도입되었다는 점은 공통 적이었다. 반면 한국의 경우 일자리 확대, 산업재해 감소 등의 목표를 동시에 추구하였고, 일 본의 경우 경영지원, 사이버 보안 등 폭넓은 지원정책을 수립하였다는 차이점이 존재한다. 구 조적 차원의 경우 양국 모두 중소기업의 디지털 설비투자를 보조한다는 공통점이 있으나, 한 국의 경우 수준확인, 컨설팅 예산을 따로 편성하였으며, 일본의 경우 컴퓨터, 태블릿 PC 등의 주변기기 구매 지원까지 이루어졌다는 차이점이 나타났다. 구성적 차원의 경우, 양국 모두 중 앙정부 주도의 중소기업 디지털 전환이 이루어졌다는 공통점이 있으나, 한국의 경우 여러 정 부부처가 관여하였고, 일본의 경우 단일 부처가 관여하였다는 점이 차이점으로 나타났다. 또 한 중소기업의 디지털 전환에 있어 한국이 상대적으로 국가의 역할이 강조되었다는 점도 차 이점으로 나타났다. 기술적 차원의 경우 양국 모두 중소기업의 디지털 전환 정도를 평가할 수 있는 지표를 마련하였다는 공통점으로 나타났다. 반면 한국은 정부기관이 지원사업의 성 과를 정량적으로 평가하였으나 일본은 기업 자체적으로 디지털 전환 정도를 판단하도록 유도 하고 있다는 차이점이 나타났다.

      • 가전제품 구매행동에 관한 통계분석

        송정현,정형철 고려대학교 대학원 통계학과 1990 통계상담 Vol.5 No.1

        구매행도에 대하여 관련된 각 변수들을 인자분석하여 그 차원을 축소시키고 소비자 행동에 대해 소비자들을 몇개의 집단으로 분류하여 가전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구매행동을 알아보고자 한다.

      • KCI등재

        莞島와 倭寇 : 李朝時代를 中心으로

        宋正炫 全南大學校 湖南文化硏究所 1966 호남학 Vol.4 No.-

        완도군은 전남의 서남단에 위치한 국내 육거도의 하나로 고금도 신지도 노화도 포길도 청산도 등의 유인도 65개와 133개의 무인도로 구성되어 있다. 이 완도는 통일신라시대 청해진이 설치되어 중국과 일본의 해상항로의 중간지점으로 중요성을 발휘하였던 곳으로 서남해의 제해권장악과 민간무역의 중심이 되기도 하였다. 고려시대에는 삼별초군이 한 때 이룩한 해상왕국의 진도 다음가는 근거지였으나 난이 평정된 후에는 끊임없는 왜구로 시달리던 곳이였기도 하다. 이조에 이르러서도 왜구의 끊임없는 침노는 완도에 진을 설치하여 대비하지 않으면 안되었고 임진왜란시는 완도의 고금도가 해군의 중심지가 되기도 하였으며, 그 후에도 왜구문제의 해결을 통하여 증진이 이루워졌던 것이다. 필자는 완도를 답사하는 기회에 유적을 찾았으나, 고금도와 청산도의 석축성 양적이외의 별다른 유적을 찾아 볼 수 없었다. 이제 이조시대를 중심으로 왜구와 그에 대비한 설진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