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속성을 갖는 동거관계에 대한 이상형적 이론구성

        송인하(In ha Song),임춘희(Choon hee Lim)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14 여성연구 Vol.87 No.-

        본 연구는 성 평등가치가 일반적으로 받아들이고 있는 나라에서 조차도 성 평등 실천이 아직 미흡하다는 점에 주목하여 지속성을 갖는 성 평등한 동거관계의 형성과 조건에 대해 이상형의 개념을 사용하여 이론적 구성을 시도해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장기적으로 지속성을 갖는 동거관계의 발생 원인이 전통적 결혼의 불안정에서 기인한다는 인식에서 출발하여 지속성을 갖는 동거관계는 성 평등 이념이 체화되어 행위자를 규율하는 에토스를 가진 개인 간의 성애적 결합으로 규정하였다. 그리고 성 평등한 동거의 형성과 그 결과로서 성 평등의 실현은 이념적이기보다는 일상생활에서의 실천적 요소에 의해 가능한 것으로 보았다. 따라서 지속성을 가진 동거가족이 존속하는 조건은 가사분담에서의 공평원리에 대한 인식과 실천 그리고 전통적 결혼제도의 거부로 파악하였다. 이러한 논리적 구성물은 지속성을 갖는 동거관계의 실재를 파악하기 위한 예비적인 작업으로서 의미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ain reasons and conditions for the formation of sustainable cohabitation in cohabiting couple. The author has an idea from being gender inequality in spite of developed countries where people take for granted gender equity as human equality. While gender equity was widespread notion worldwide it is not an ethos which dominates agents. Now the ethos of gender equity is revealed by few sustainable cohabitation agents.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gender equality cohabitation community was established by instability of traditional marriage and sustainable cohabitation relationships based on gender equality itself would be achieved from daily life such as domestic labor equity and rejection to traditional marriage. The concept of sustainable cohabitation was used as an Ideal Type which could be analyzed or explained reality of cohabitation.

      • KCI등재

        농촌성에 따른 귀농인과 원주민 간 갈등 내용과 갈등 해결 방식에 대한 연구

        송인하(SONG In ha) 지역사회학회 2016 지역사회학 Vol.17 No.3

        본 연구에서 농민들은 관행농업적 농촌성과 친환경농업적 농촌성을 지닌 집단으로 구별되며 농민들의 갈등내용과 갈등해결방식은 각 집단의 성격을 결정하는 요소인 농촌성에 영향을 받는다고 보았다. 경험조사에서 원주민은 관행농업적 농촌성을 그리고 귀농인은 친환경농업적 농촌성을 지닌 집단으로 구분되었다. 두 집단 간 갈등내용에 대한 인식은 서로 다른데 그 이유는 농사의 결과에 대한 욕구가 상이하기 때문이다. 귀농인들은 영농활동을 통해서 생태가치를 실현하거나 친환경농산물을 자급하려는 욕구를 가지고 있어서 친환경농법을 철저하게 실행하려고 노력한다. 반면에 원주민들은 농업이 생태환경에 미치는 충격을 고려하지 않으며 생산성 제고에 매달리게 된다. 전자는 영농을 생태 이데올로기의 실천으로 인식하지만 후자는 그것을 생존전략이나 이윤추구 활동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친환경농업적 농촌성을 지닌 사람은 농법에 따른 환경오염문제에 관심을 갖지만 관행농업적 농촌성을 지닌 사람은 농법을 증산을 위한 수단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어서 환경문제에는 별로 관심이 없는 것이다. 이 같은 두 집단 간 이질성으로 인하여 갈등이 표출될 수 있지만 실제로 귀농인 집단과 원주민 집단 간 갈등이 표출되는 경우는 드물 것이다. 그들은 일상생활이나 영농활동에서 부딪게 되는 사소한 가치갈등을 경험하게 되지만 노골적인 이해갈등을 표출하지는 못한다. 마을공동체로 편입된 귀농인은 원주민의 배경에 있는 권력을 인지함으로써 양보나 회피 같은 갈등해결방식을 택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This research reveals conflict between return migrants and long residents according to rurality of individual. Farmers are divided two groups, conventionally-agricultural rurality and environmentally-friendly agricultural rurality. And the conflict fators and conflict resolutions between two groups are decided by each group’s characteristics defined primarily by rurality. Also these are identified in reality that long residents have conventionally-agricultural rurality and return migrants do environmentally‑friendly agricultural rurality. There are different conflict issues recognized between two groups because of their needs of farming result. The return migrants desire to achieve their ecological values to take up thorough organic farming. On the contrary the long residents do not consider environmental impacts of farming. The former cognizes farm work a practices of ecological ideology, while the latter does a bread- and- butter job or profit-making. Such a differences might make a conflict of agricultural method difference or environmental activity in daily life. But it is rare that conflicts between the two different groups are expressed hard. It is easy for newcomers into MAEUL community to choose conflict resolution like yield or evation. Because it is possible that newcomers’ conflict management is restricted by their sense of power behind community of long residents.

      • KCI등재

        이상형으로서 사회이론의 유용성

        송인하(Song, Inha) 한국이론사회학회 2013 사회와 이론 Vol.22 No.-

        본 논문은 사회이론을 개념실재론적 이론과 이상형적 이론으로 나누고 두 이론의 유용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개념실재론적 이론은 명증성을 요구하고 그것이 현실 적합적이어야만 이론으로서 유용하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이론이 현실 적합할 경우에는 사회현상의 분석 수단로서의 유용성이 제한되는데 문제가 있다. 즉 이론이 현실과 정합적이라면 이론 그 자체가 현실로 되고 이론을 이용하여 사회현상을 연구할 가능성이 적어지게 된다. 개념실재론자는 이론으로부터 현실을 연역할 수 있다고 믿으며 법칙적으로 구성된 이론은 현실 세계에서 증명되어야하기 때문에 이론 그 자체를 위한 연구에 전념하게 된다. 법칙적인 이론이 구성되었다 하더라도 사회현상은 불가피하게 역사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어서 매우 유동적이다. 오늘날 경험적 조사에 의한 이론의 검증은 시간과 장소에 따라 서로 다른 결과를 내는 경우가 많으며, 그 이론으로 현실 세계를 설명할 수 있는 부분도 극히 제한된다. 반면에 이상형적으로 구성된 이론은 연구자에게 다양한 관점을 제공해주고 연구자는 이상형적 이론을 경험적 사실과 비교하여 인과관계를 쉽게 해명할 수 있는 장점 때문에 유용성이 있다고 생각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이상형적 이론이 사회현상 분석 수단으로서 유용성을 지니고 있는지 개념실재론적 이론과의 대비를 통해 살펴보고 있다. 어떤 사회이론을 실재론적 입장에서 보는 것보다는 이상형적인 이론으로 간주하는 것이 사회분석을 위한 유용성측면에서 더 유리하다는 점을 주장한다. 어떤 사회이론이 실재를 얼마나 잘 모사하고 있느냐에 따라 평가된다면 연구 수단으로서 이론은 무의미해진다. 이론과 실재와의거리가 존재한다는 전제하에 연구자는 어떤 사회현상을 이상형적으로 구성된 이론과 비교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사회현상의 분석에서 이상형적이론의 유용성을 강조하기 위해 자연과학의 영역에서 가설의 증명을 통해 이론을 구성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사회과학에서도 경험적인 증명을 통해 사회법칙을 정교하게 만드는 것을 이론의 목표로 삼는 개념실재론적입장에 대해 유용성 문제를 제기하며 비판하고 있다. This article is discussed in the context that a social theory is the Ideal Type. And if the theory were considered as the Ideal Type, then it might be a useful method to study social phenomenon. The theory makes not a researcher supply very colorful viewpoints but interpret causality with comparing to the reality. A theory of Ideal Type is not a photocopy of reality. If a theory were assessed by relevance of reality, it might be useless as a method of sociological studies. This article criticizes that social researchers tend to regard the natural scientific method as more effective tool than social scientific method such as the Ideal Type, because it may not be effective to develop a theory based on empirical proof in social science as it is in natural science. This article emphasizes: it is necessary that the realistic social theory may be considered as an Ideal Type theory.

      • KCI등재

        지역사회 내 친구집단의 학교폭력 예방가능성에 관한 연구

        송인하(Inha Song) 한국이론사회학회 2019 사회와 이론 Vol.35 No.-

        본 연구는 권력적 관점에서 학교폭력을 완화하거나 예방할 수 있는 세 가지 중재자 유형을 제시하였다. 세 가지 유형은 개인 권력에 의한 개별 중재자, 친구집단의 권력배경을 갖는 개인 및 다수 중재자 그리고 친구집단 간 권력균형에 의한 집단 중재자 등이다. 이 같은 유형이 어떠한 조건에서 나타나게 되는지를 이상형(Idealtypus)으로 제시하였다. 지역사회에 다양한 친구집단이 존재하고 그들 간 권력균형이 이루어짐으로써 친구집단의 중재자로서 역할 가능성과 그 중재효과가 극대화된다는 점을 일면적으로 강조하였다. 청소년기 학생 개개인이 친구집단을 중심으로 연대가 강화되면 타인이 그 친구집단세력의 존재를 인식하게 되고 그에 따른 중재효과에 의해 학교폭력은 제약된다고 보았다. 마찬가지로 또래집단 내에 합리적 친구집단에 소속된 개인들이 다수를 차지하게 되면 학교폭력 과정에서 그들이 집단권력 배경에 의한 개인 중재자로서 역할을 행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았다. In this study three types of defenders on school violence were suggested. There are three types of defenders in school violence; independent individual mediator, a personal or a number of mediators in the background of a group forces and group mediator of group effects in accordance with awareness of the presence of the group forces. It is presented as an Ideal Type that under what conditions this type will be appeared. It emphasized that the existence of various groups of friends in the community results in a balance of power between them and, ultimately, maximizes their potential to play a role as a mediator in the group of friends. And the more adolescence school students make a solidarity pivoting on friendship groups, the more school violence is constrained by defense effects in accordance with awareness of the presence of the friendship group forces. Similarly, if individuals belonging to a rational friendship group within a peer group take up a majority, they are likely to act as individual interventions based on the background of their collective power in the course of school violence.

      • KCI등재

        젠더의 관점에서 본 농촌의 마을공동체 재구조화의 문제

        임춘희(Lim, Choonhee),송인하(Song, Inha)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0 여성연구 Vol.79 No.-

        현재 농촌에서는 여성들의 인구비율이 높으며 공동체 내의 사회자본 축적에 대한 기여도가 남성보다 높음에도 불구하고 젠더레짐은 여전히 여성들의 사회참여를 제약하는 기제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외부와의 연계성에 의한 사회자본의 형성에는 여성의 참여가 제한되고 있다. 이는 마을공동체의 외부연결망을 형성하는 것은 암묵적으로 남성의 역할로 당연시되는 마을내의 젠더 불평등의식의 대표적인 현상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현상들을 젠더레짐으로 설명하면서 마을만들기운동같은 마을공동체운동에서 젠더레짐이 고려되고 있지 않다는 점을 밝혔다. 여성들이 사회활동이나 사회적 연계망이 제한되어 있고 여성들의 사회참여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에서 사회발전은 기대할 수 없다. 현재 농촌지역에서 추진되고 있는 마을공동체운동의 목표가 민주시민을 양성하기 위한 가치관의 재조직화에 있다고 볼 때, 공동체의 구성원들이 이러한 비민주적인 지배이데올로기의 하나인 젠더의식을 탈피하지 못한다면 마을공동체 운동의 성과는 여성의 입장을 배제한 절반의 효과에 그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농촌 재구조화운동에서 이루어지는 농촌지역사회 구성원들의 교육과 사회화에 있어 젠더의 관점과 문제가 반드시 다루어져야 하며 그러한 결과로 현재 농촌의 마을공동체 재구조화운동에서 양성평등을 통한 지역의 발전적 성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revealed gender regime worked still as a constraint of women's social activities in spite of the high population rate and the high accumulation of social capital of women. Women's contribution to the social capital accumulation in rural village got far ahead of men's. However, men monopolized the representative of community in most of rural villages, because they had taken for granted the representative of an external network of village was a role of male, Judging rationally in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within a village, it is more efficient for women to make a networking with outside world on the basis of social capital in inner village. In spite of the high accumulation of social capital of women, outer networking of women was constrained to sex role. This phenomenon was explained by gender regime. There were many overlapped gender inequality in the level of rural village. These supported the existence of gender regime in community. Having been limited social participation and social network of women, successful development of community have been remained also unfulfilled. To overcome this problem and restructure community movement, community members must recognize gender problem and aim to educate democratic community members gender equal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