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밀키트(가정간편식) 중 농산물의 잔류농약 안전성 조사

        송성민,선유정,서현정,한현호,이가혜,김정임,김명희,허명제,권문주,Sung-min Song,Yoo Jung Sun,Hyun-Jung Seo,Hyun Ho Han,Ga Hye Lee,Jung-Im Kim,Meyong-Hee Kim,Myung-Je Heo,Mun-Ju Kwon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023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Vol.38 No.6

        밀키트 중 농산물의 잔류농약 안전성 조사를 위해 인천광역시 내 대형마트, 밀키트 전문점 및 온라인 스토어에서 밀키트 27개 제품을 수거하여 원재료 중 채소류 76품목, 버섯류 37품목을 대상으로 잔류농약 339 항목에 대해 분석하였다. 채소류 76품목 중 23품목에서 잔류농약이 검출되었으며, 버섯류 37품목은 검출되지 않았다. 잔류농약 검출률은 20.4%(23건/113건)를 보였으며 평균적으로 인천광역시 유통 농산물의 잔류농약 검출률이 8.0%인것과 비교해 보면 2배 이상 높게 검출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조사결과 23건의 잔류농약이 검출된 시료에서 총 45 항목이 검출되었으며, 잔류농약 종류는 29 항목인 것으로 나타났다. 살충제 17 항목(37.8%), 살균제 16 항목(35.5%), 살응애제(살비제) 9 항목(20%), 식물생장조절제 3 항목(6.7%)이었다. 검출된 잔류농약 중 청경채에서 2건이 농약 잔류허용기준을 초과하였으며 초과된 농약은 famoxadone 0.034 mg/kg(기준: 0.01 mg/kg 이하, PLS), fenpyroximate 0.302 mg/kg(기준: 0.01 mg/kg 이하, PLS)이었다. 부적합률은 1.8%(2건/113건)이며, 평균적인 부적합률 1.2%와 비슷하게 나타났다. 이번 조사를 통해 밀키트 중 농산물에 다양한 종류의 농약이 잔류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밀키트 제품의 특성상 농산물에 대한 잔류농약 기준이 따로 설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잔류농약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To investigate residual pesticide levels in agricultural products contained in Meal-kits, 27 Meal-kit products were collected from marts, Meal-kit shops, and online stores in Incheon City, South Korea. Seventy-six vegetable and thirty-seven mushroom products were analyzed for residual levels of 339 pesticides. Residual pesticides were detected in 23 out of 76 vegetables and were not present in the 37 mushroom products. The residual pesticide detection rate was 20.4% (23/113 cases). The pesticides famoxadone 0.034 mg/kg (standard: 0.01 mg/kg or less, PLS) and fenpyroximate 0.302 mg/kg (standard: 0.01 mg/kg or less, PLS) exceeded their maximum residue levels (MRL). This survey revealed that various types of pesticides remain in agricultural products in Meal-kits. Due to the nature of Meal-kit products, there is no separate standard for residual pesticides in agricultural products. Therefore, continuous monitoring of residual pesticides is necessary.

      • KCI등재후보

        마황(麻黃) 추출물이 항산화에 미치는 영향

        송성민,임형호,권기록,임태진,송윤경,Song, Seong-Min,Lim, Hyung-Ho,Kwon, Ki-Rok,Lim, Tae-Jin,Song, Yun-Kyung 대한약침학회 2007 Journal of pharmacopuncture Vol.10 No.2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oxidative effects of Ephedrae Herba extract. Methods : Total antioxidant status was examined by total antioxidant capacity(TAC), total antioxidant response(TAR) against potent free radical reactions, total phenolic conten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the inhibitory effect of the extract on lipid peroxidation in rat liver mitochondria. Results : 1. TAC and TAR of Ephedrae Herba extract at the concentration of 5mg/ml were 3.76 and 1.65 mM Trolox equivalents , respectively. 2. Total phenolic content of Ephedrae Herba extract at the concenuation of 5mg/ml was 3.52 mM gallic acid equivalent. 3. Concentration of Ephedrae Herba extract at which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inhibited by 50% was 0.46mg/ml as compared to 100% by pyrogallol solution as a reference. 4. Ephedrae Herba extract at the concentration of 2mg/ml significantly decreased TBARS concentration by 97%, showing that Ephedrae Herba extract prevented lipid peroxidation at the low concentration. Conclusion : Thus antioxidant effects of Ephedrae Herba extract appear to be due to, at least in part, the prevention from free radicalsinduced oxidation, followed by inhibition of lipid peroxidation.

      • KCI등재

        플립러닝(Flipped Learning)은 대안이 될 수 있을까?

        송성민(Song, Seong-m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6

        플립러닝은 일방적 지식 전달에 치중하는 전통적 수업 방식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에서 등장한 새로운 수업 패러다임이다. 플립러닝이 학교 현장에서 널리 활용되고 이에 대한 연구도 왕성하게 수행되고 있으나, 이를 과신하거나 남용하는 문제 또한 커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본 연구는 플립러닝의 본질관에 입각하여 일부 연구 경향을 비판적으로 분석해 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플립러닝의 본질을 크게 전환(flipped), 상호작용(interaction), 교수학습 문화(the culture of teaching and learning)로 정리하였다. 이러한 본질관에 입각하여 일부 연구를 분석한 결과, 패러 다임으로서 플립러닝의 취지를 제대로 구현하지 못하거나 엄밀하지 못한 연구 설계로 인해 플립러닝의 효과를 과장하고 효과의 기제를 명확히 설명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플립러닝의 본질적 의미와 미시적 변화에 주목하는 연구들도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플립러닝이 진정한 교수학습의 대안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방향성이 무엇인지 제안하였다. Critics say that traditional teaching methods focus on only one-sided transfer of knowledge. Flipped learning has emerged 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Flipped learning is widely used on schools today. There are also many research on the effects of flipped learning, teaching strategy of flip-learning, etc. However, as flipped learning becomes more popular, misunderstanding are also increasing. In this case, flipped learning can not be used properly. Therefore, in this study, we looked at what the essence of flipped learning is, and then critically examined the research trends on flipped learning and the classroom cases. This study summarized the essence of flip learning as “flipped”, “interaction”, and “the culture of teaching and learning.” In other words, if flipped learning can not change the role, awareness, and climate of teachers and students as a whole, it comes to the conclusion that it is not proper flipped learning. I have criticized some research and teaching cases of flipped learning as follows : First, the effects of flipped learning might be exaggerated due to the inadequate research design. Second, some studies do not properly reflect the essence of flipped learning asa paradigm. Therefore, flipped learning should be considered as an real alternative model of teaching and learning.

      • KCI등재

        사회과 교육과정 연구의 동향 분석

        송성민 ( Seong Min Song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3 시민교육연구 Vol.4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과 교육과정 연구의 동향을 탐색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통해 교육과정 연구의 발전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분석 기준은 연구주제, 연구방법, 연구영역, 발간시기의 총 4가지이며, 이를 준거로 하여 빈도분석 및 교차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먼저 국내 연구 경향을 빈도분석 및 교차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연구주제 측면에서는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 연구, 연구방법 측면에서는 양적 연구, 연구영역 측면에서는 전체영역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2000년대를 기점으로 연구가 급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서도 특히 교육과정 개발 및 설계에 관한 연구에서는 질적 연구방법이, 교육과정 이론 분야 연구는 문헌/이론연구방법이,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 연구에서는 양적 연구방법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시기별로는 2000년대 초반 질적 연구가 성행한 반면, 2000년대 후반부터 양적 연구가 성행한 경향이 파악된다. 다음으로 국제 비교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국내연구는 해외연구에 비해, 연구주제 및 연구방법 측면에서 편중이 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질적 연구방법을 활용한 연구가 부족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나아가 개별 교과목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가 활발한 점, 2000년대 이후 교육과정 연구가 급증한 점 등이 우리의 고유 연구 경향으로 인식되며, 이를 적극적으로 발전시켜야 할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article is aimed at exploratory analysis of trends of social studies curriculum researches and it also aims to draw implication about future direction of curriculum research from the analysis. The criteria of analysis include research topic, research method, research area and year of research publication. And based on this, frequency and cross-tab analysis is conducted. First, The results of domestic research trends are as follows: There are features accounted for the curriculum and textbook analysis being a large proportion of research topic, the quantitative research being a large proportion of research method and the research about entire area being a large proportion of research area. In addition to this, the number of social studies curriculum researches increases sharply since 2000. Also, this study found that in the area of curriculum transition and development, qualitative research is employed to a considerable at significant-level. Also, literature and theoretical research is significant in terms of curriculum research area. Lastly, quantitative research is significant in terms of curriculum and textbook analysis. The fact that qualitative research is prevalent in the early 2000`s and quantitative research is prevalent since the late 2000`s is a noteworthy feature. Next, the results of international comparative analysis are as follows: Compared to the foreign research, domestic research has a striking convergence to research topic and method aspects. Furthermore, we have found that our domestic research have a distinguishing research tendency: first, the field of individual subject curriculum is actively discussed and studied, second the number of study about curriculum field soars since 2000`s. We need to develop.

      • KCI등재

        장침 전기자극 시술이 복부지방과 비만지표에 미치는 효과

        송성민 ( Sung Min Song ),송윤경 ( Yun Kyung Song ),임형호 ( Hyung Ho Lim ) 한방재활의학과학회 2010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Vol.20 No.2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electroacupuncture therapy on abdominal fat deposit without diet, exercise and herbal medication. It was also designed to check the changes of free fatty acid in blood and catecholamine in urine to observe the mechanism of the electroacupuncture efficacy. Methods :10 volunteers over 85 ㎝(male, 90 ㎝) in waist circumferences were recruited, and 10 electroacupuncture treatments were applied on their abdominal subcutaneous fat area for 4-5 weeks. We measured anthropometric factors, abdominal fat area with CT scanning, and the changes of free fatty acid in blood and catecholamine in urine before treatment and after the last treatment. Results :In this study, significant changes were shown in weight, waist circumference, waist/hip ratio, body mass index and body fat percent after the electroacupuncture therapy. There were also significant decreases of visceral fat area, visceral/subcutaneous fat area ratio in CT scanning. The blood level of free fatty acid and the urine level of catecholamine were increased after treatments, but the chang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s :This study showed the efficacy of the electroacupuncture therapy on the abdominal fat deposit. But significant changes couldn`t be found out in free fatty acid and catecholamine. Further studies that compensate for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required to confirm the mechanism of the electroacupuncture efficacy.

      • KCI등재

        양성평등관점에 입각한 법사회화 이론의 비판적 검토

        송성민 ( Seong Min Song ) 한국법교육학회 2011 법교육연구 Vol.6 No.1

        The concept of legal socialization is that the process through which individuals acquire attitudes and beliefs about the law. At this point, These classic theories are admitted generally such as Cognitive Development(Piaget), Moral Development(Kohlberg), Legal Development(Tapp & Levine). In gender aspect, main ideas of these theories are masculine gender is prior to feminine gender in; learning legal knowledges, acquiring legal skills and attitudes etc. Legal developmental theory, however, has been pointed out the faults by some feminism critics such as Chodorow, Gilligan, Noddings. As applying these critics` view, this study was going to clarify the defects of legal socialization theories. the defects of the legal socialization theories can be conceptualized as followings. In gender equality perspective, Legal socialization theories have some limitations; of backgrounds, of applicable coverages, of conceptualizing ``citizenship``, of conceptualizing ``public sphere``, of consistent judgement. It is anticipated that legal socialization theories will be reinforced up and adequate more, thereby being made up the defects the above.

      • KCI등재

        준법교육의 의의와 한계에 관한 고찰

        송성민 ( Seong Min Song ) 한국법교육학회 2012 법교육연구 Vol.7 No.1

        준법교육을 법규와 사회 보편 가치를 준수하고 이에 따라 행동하기 위해 시행되는 직간접적인 모든 교육활동으로 전제한다면, 현재 법교육은 준법교육이 강화되는 경향을 보인다고 말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다양한 논문에서 준법교육의 의의와 한계를 주장하고 있으나, 특정 입장만을 전달하거나 추상적인 담론만을 제기하고 있다. 따라서 학습자의 심리적 측면과 교육적 본질 측면에서 준법교육의 의의와 한계를 공정하고 면밀하게 고찰해 본 결과, 준법교육의 성과와 한계를 다음과 같이 정리해 볼 수 있었다. 우선 준법교육은 비행 청소년들의 재범률을 낮추고, 범죄와 비행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었다. 또 준법교육은 학습자들의 법 관련 인지능력과 사회적 기능을 신장시키거나 법체계와 법질서에 대한 긍정적인 가치·태도를 형성하게 하는 데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러한 성과에도 불구하고 도덕성 발달론, 법인지 발달론, 인지부조화 이론과 같은 심리학적 측면의 이론에 따르면 일부 학습자에게는 단순히 규칙 준수를 강요하는 방식의 교육이 준법의식 형성에 무용한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나아가 교육적 측면에서도 가치교육의 입장이나 법교육의 본질관에 비추어 볼 때, 준법교육은 가치 내면화에 취약할 수 있고 법교육의 목표와 성격을 완전하게 구현하지 못하는 등의 한계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준법교육은 법교육의 일부 영역에 해당한다는 위상을 인식하여 준법교육의 성과는 극대화시키되, 이러한 한계를 뛰어넘을 수 있는 입법교육이나 헌법재판교육 등의 대안적 교수-학습방법이 법교육에서 활성화되어야 할 것이다. If a compliance education can be regarded with educational activities that carry out compliance with laws and universal values directly or indirectly, recent LRE(Law-Related Education) is thought to be inclined to compliance activities. In a compliance education, the significance that we ought to concentrate on are : to prevent crime and delinquency more effectively; to reduce the recidivism rate of juvenile delinquents; to enhance the learner``s cognitive abilities about the law and order; to promote social skills such as personal relations, decision-making abilities and so on; to cultivate attitudes and values that is related to law systems and orders. Despite these achievements, a compliance education also has some limitations in terms of psychological and educational aspects. First, some students who simply forced to comply with the rules of the law can be one of the useless case in internalizing pro-social values. Second, citizenship education is beyond cultivating compliance with law and social values. After all, alternative LRE such as law-making education, judicial review education are added to a compliance training activ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