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집/청계천 복원의 사회학]청계천 공구상가의 공간구조와 사회적 성격

        송도영(Doyoung Song) 한국환경사회학회 2003 환경사회학연구 ECO Vol.4 No.-

        청계천 일대의 도시 공간조직은 서울의 도심지역에 걸맞는 것인지의 여부를 둘러싸고 여러 차례 논란의 대상이 되어왔다. 좁고 불규칙한 골목길들, 그리고 통풍과 위생상의 문제들은 특히 부정적인 도심 이미지를 주었다는 주장이 많다. 그러나 이 지역의 공간적 형태와 사회경제적 체계 사이의 관계에 좀더 주목 해보면, 이 일대의 도시 공간조직은 1960년 이래 서울의 도시경제 발전에 긍정적으로 기여해온 능통적인 상호작용의 네트워크가 축적되어 이루어진 것임을 알 수 있다.<br/> 외형적으로는 불규칙성과 혼돈의 모습을 띠고 있지만, 실제로는 각 업체와 소형 공작소틀 간에 서로의 이익을 추구하는 매우 복잡하고 치밀한 상호작용 체계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상호작용의 네트워크는 이 일대가 동대문시장과 남대문시장이라고 히는 두개의 거대시장 사이에 위치하는 것과 무관치 않다. 즉 청계천 일대의 상업지대는 서울을 넘어서서 전국적인 차원, 나아가 부분적으로는 아시아지역 차원에서 영향력을 미치는 활동의 지대인 것이다. 경제활동의 비공식성으로 보이는 것들도 실은 쉴새없이 변화해온 사회경제적 조건 속에서 유연성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의 하나로 발달해온 것이며, 그 결과 적응성이 뛰어난 형태로 오늘에까지 이르렀음을 알 수 있다. 결국 청계천 일대의 도시공간 조직은 발전된 거대도시의 멋진 도심 이미지에는 그리 잘 부합되지 않을지 모르나 그 자체로서 유연성과 상호의존적 커뮤니케이션의 역동성을 발전시켜온 도시 사회경제적 활동의 유산인 셈이다.<br/> 현재 전개되는 청계천 복원사업과 청계천 일대의 재개발프로젝트는 이같이 현존하는 사회적 생태망을 별로 고려하지 않고 있음에 따라, 결과적으로 이 일대의 세밀한 사회경제 시스템과 그 공간적 틀은 별다른 대책 없이 사라질 위기에 놓여 있다.<br/> Urban fabric around the Cheonggyecheon area has long been the object of arguments Narrowness of the streets, denseness of shops, and unsanitary-looking surroundings have never been seen as positive factors. But a more close observ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atial morphology of this area and Its socio-economic implication reveals that the area's urban fabric IS the result of somewhat accumulated history of active communication networks which had positively functioned for the development of Seoul s urban economy since the 1960s.<br/> Under the appearance of irregularity, there functioned highly complex system of interaction for the mutual interest of the shops and small factories The location of an urban industrial zone in this area also fits in well with the functions of two large neighbored markets like Dongdaemun Market and Namdaemun market, both of which have had strong nationwide influences The informality of economic activities also had more adaptability with their flexible strategies in the flow of incessantly changing socio-economic conditions. Consequently, the Cheonggyecheon area's existing urban fablic does not only have a negative points unfit to 'the image of highly developed City' but also has a valuable legacy of socio-economic dynamics which has functioned well with its flexibility and communicability. What this means is that the redevelopment project around the area in question Will destroy its sophisticated socio-economic system as well as its morphology.<br/>

      • KCI등재

        강신표의 한국문화 이해와 대대문화문법(待對文化文法)

        송도영 ( Song Doyoung ) 한국문화인류학회 2023 韓國文化人類學 Vol.56 No.1

        강신표는 1970년대 초중반 한국인의 사고방식과 한국의 문화구조에 대한 연구를 시작하여 이 주제를 평생의 과제로 삼아왔다. 그의 연구는 일제 강점기와 6.25 전쟁을 거치면서 새로운 민족국가 형성을 위한 한국의 탈식민을 지향하고 주체적 문화를 만들고자 노력했던 동시대 학계 일부의 흐름과 맥을 같이 한다. 그는 일찍부터 레비 스트로스의 구조주의에서 영향을 받아 ‘한국문화의 심층구조’를 사고구조의 문화적 문법 차원에서 밝히고자 했다. 그가 정리한 한국문화의 심층구조는 중국의 고전철학에 담긴 언어 전개방식이라고 해석된 ‘음양(陰陽)의 논리(論理)’로 설명되었다. 강신표는 이 음양의 논리를 좀 더 발전시켜 대대문화문법(待對文化文法)이라는 형태로 정리했고, 부연설명으로 급수성(級數性), 집단성(集團性), 연극의례성(演劇儀禮性) 세 가지를 언급했다. 강신표의 대대문화문법과 그것을 부연하는 세 가지 개념들은 한국의 문화를 설명하기 위한 토착적 이론의 시도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나 그 논리적 구조상의 타당성에서 적지 않은 문제가 있으며, 특수 지역문화의 보편성과 특수성에 대한 범주 인식과 규정에 있어서도 논란의 소지가 많다고 여겨진다. 그러나 더 큰 문제는 한국 인류학계에서 이에 대한 적극적인 토론이 없었다는 것, 그리고 강신표가 평생 제시한 이론적 틀이 별다른 반향을 얻지 못했다는 것이다. 한국문화의 구조적 논리를 독자적 이론으로 설명하고자 했던 강신표와 같은 학자들의 학문의 탈식민화를 위해 기울인 노력들이 갖는 의미는 오늘날 재평가될 필요가 있다. 또한, 이론적 논쟁이 거의 부재하다시피 한 한국 인류학계는 학문의 진정한 발전을 위해 깊은 반성과 함께 새로운 고민을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Kang Shin-pyo started his study on the cognitive structure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 since the 1970s. The cognitive structure of Korean culture became the main theme of study during most of his academic life. For Kang, the essential objective of cultural studies should be the inquiry to discover the ‘cultural map’ of societies, according to Claude Levi-Strauss’ structural anthropology. Kang mainly explains the cultural logic (map)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 by employing the concept of Yin-Yang as the basis of his theory of Dae-dae-mun-wha-mun-bop. Kang suggested that three main aspects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s logic are hierarchicalism, collectivism, and theatrical ritualism. I argue that the logic and language of Kang’s interpretations of the cultural logic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 have several serious defects. Confusion around the boundary of object cultures and the irregularity of logics are typical ones. Nevertheless, Kang Shin-pyo was a sincere academic of Korea’s post-colonial epoch who strove passionately to develop a kind of ‘indigenous academic knowledge’ which ensures a place for indigenous society (Korean society, in his case) in the discovery, interpretation, and benefits from decision making about its’ own culture and heritage. Korean anthropological society, still lacking sufficient diligence for theoretical debates, should learn the lessons from his legacy.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내 이슬람(할랄) 음식의 소비방식과 공급체계에 대한 문화적 해석

        송도영(Song, Doyoung) 한국중동학회 2011 韓國 中東 學會 論叢 Vol.32 No.1

        This study asks about the practice of food consumption by Muslim population in the context of today's Korean society. As the starting point, the food environment in Korea, especially with its food culture on the perspective of meat consumption and social behavior of food in general, was examined. As the main part of the study, I researched on the practice of Muslim migrant laborers and other parts of Muslims living in Korea, especially concerned with the Islamic concept of 'halal' and 'haram'. At the same time, halal food supply system, partialy connected with more global networks, was studied. The subjects in detail are folloows: a. everyday life and practice of food consumption for Muslim populations in todays' Korea b. food practice related with the concept of 'halal' for Korean Muslims in particular c. evolution of halal food supply system in recent history of Korea d. influence and meaning of halal food consumptions practiced by various population groups in the globalized world

      • Salmonella균과 그 抗生劑에 對한 感受性

        김중명,김재식,이원길,전효진,서장수,송도영,송경은,김경숙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87 慶北醫大誌 Vol.28 No.1

        The authors hove studied on 106 cases of enteric fever from January, 1985 to December, 1985. Cases of typhoid fever, paratyphoid A and B fever were presented in 75.5%, 21.7% and 2.8% respectively in two years. The positive cultures obtained from blood, bone marrow, stool and urine were 74.4%, 43.4%, 30.2%, and 2.8% respectively on the above cases. By monthly prevalence, the cases were occurred more than five in January, Feburary, April, May, June and July. The age distribution of the cases were highest in 20∼29 years group and sex distribution were more in females than males.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 by agar plate dilution method were performed with 0 antimicrobials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One strain of Salmonella typhi was resistant against chloramphenicol, and ampicillin, and tetracycline and nine Strains of Salmonella typhi, intermediately resistant against ampicillin. Six strains of Salmonella typhi were intermediately resistant against tetracycline. Two strains of Salmonella paratyphi A were intermediately resistant against ampicillin and One strain of Salmonella paratyphi A was resistant against tetracycline and intermediately resistant against tetracycli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