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북대학교병원 치과진료처 내원환자들의 진료만족도 및 관련요인에 관한 분석

        송근배,제갈경섭,정성화,장현중 대한구강보건학회 1999 大韓口腔保健學會誌 Vol.23 No.2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wofold. One is to develope and examin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self-developed dental satisfaction questionnaire. The other is to analyze the related factors of dental treatment satisfaction. Data for this analysis were gathered by 1,155 randomly selected samples who had visited division of dental infirmary of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March 2, 1998 to August 31, 1998. Among the final mailed sample of 910, 303 was returned (33.3%). The main questionnaire consisted of 45 items and each item was constructed using a five-likert response fomtat. The questionnaire was pretested (Cronbach's alpha=0.9577) before mailing and all collected samples were analyzed using the SAS 6.04.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is self-developed dental satisfaction questionnaire was favorable. The Cronbach's alpha value of this questionnaire was 0.9359, and the Cronbach's alpha values of subscale were 0.92 (recognition and trustworthiness), 0.83 (kindness), 0.77 (time), 0.75 (cost) and 0.75 (environment and facility). 2. The satisfaction ratio of all respondents was distributed from 24.84 (minimum) to 88.67 (maximum) and the average ratio was 55.21±0.51. The overall satisfaction mean scores of five subscales were 63.84±0.69 (kindness factor), 62.38±0.68 (recognition and trustworthiness factor), 55.31±0.74 (time factor), 51.51±0.61 (environment and facility factor) and 43.00±0.69 (cost factor). All respondents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kindness of dental personnel and other staffs and recognition of hospital and trustworthiness of treatment, but the cost of treatment was most dissatisfaction factor in this survey. 3. The major factors which explain the recognition of hospital and trustworthiness of treatment were kindness and cost factors. The other four subscales accounted for 49% (R²=0.4868) of the variation in recoginition and trustworthiness factor as a result from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 KCI등재
      • KCI등재

        Baum-Welch 학습법을 이용한 HMM 기반 대역폭 확장법

        송근배,김석호,Song, Geun-Bae,Kim, Austin 한국음향학회 2007 韓國音響學會誌 Vol.26 No.6

        This paper contributes to an improvement of the statistical bandwidth extension(BWE) system based on Hidden Markov Model(HMM). First, the existing HMM training method for BWE, which is suggested originally by Jax, is analyzed in comparison with the general Baum-Welch training method. Next, based on this analysis, a new HMM-based BWE method is suggested which adopts the Baum-Welch re-estimation algorithm instead of the Jax's to train HMM model. Conclusionally speaking, the Baum-Welch re-estimation algorithm is a generalized form of the Jax's training method. It is flexible and adaptive in modeling the statistical characteristic of training data. Therefore, it generates a better model to the training data, which results in an enhanced BWE system. According to experimental results, the new method performs much better than the Jax's BWE systemin all cases. Under the given test conditions, the RMS log spectral distortion(LSD) scores were improved ranged from 0.31dB to 0.8dB, and 0.52dB in average. 본 논문에서는 HMM 기반 통계적인 대역폭 확장(Bandwidth Extension, BWE) 방법의 개선에 대해 다룬다. 이를 위해 우선, HMM 모델 학습을 위한 기존의 Jax의 학습법과 일반적인 Baum-Welch 학습법의 관계를 비교 검토하고, Jax의 학습법의 한계점 및 문제점을 검토한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Baum-Welch학습법을 이용한 새로운 HMM 기반 BWE 방법을 제시한다. 결론적으로, Baum-Welch 학습법은 Jax의 학습법의 일반화된 형태로 볼 수 있으며, 보다 유연하고 적응적인 학습능력을 가진 알고리즘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학습 데이터에 대한 보다 정확한 HMM 모델링이 가능하며 아울러, 이와 같이 개선된 HMM 모델을 활용함으로써 BWE 시스템의 성능향상을 가져 올 수 있었다. 실험결과에 의하면, 제시된 새로운 방법이 기존의 Jax의 방법에 비해 실험의 모든 경우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임을 알 수 있다. 주어진 실험조건하에서 근제곱평균(root-mean-square, RMS) 로그 스펙트럴 왜곡(Log Spectral Distortion, LSD) 값이 전체적으로 평균 0.52dB 그리고, 최소 0.31dB에서 최대 0.8dB까지 개선되었다.

      • KCI등재

        BWE 예측기반 대역분할 부호화기에 대한 연구

        송근배,김석호,Song, Geun-Bae,Kim, Austin 한국음향학회 2008 韓國音響學會誌 Vol.27 No.6

        본 논문에서는 입력신호를 하위대역 (low-band)과 상위대역 (high-band)으로 나누어 각 대역을 개별적으로 부호화하는 대역분할 부호화 (split-band coding) 방식에 있어서, 상인대역 신호를 효율적으로 부호화하는 방법에 대해 다룬다. 일반적으로 그리고 특히, 그 동안 대역폭 확장법 (Bandwidth Extension, BWE)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두 대역 사이에 일정 정도의 상관관계가 존재한다는 사실이 밝혀져 있다. 따라서 두 대역간에 예측 부호화 기법을 도입함으로써 부호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BWE 예측기반 부호화 기법과 관련하여, 단순히 선형 BWE 함수를 이용하는 것은 두 대역간의 관계가 비선형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최적의 결과를 얹기 어렵다. 따라서 비선형 BWE 함수를 포함한 다양한 예측 함수들의 성능비교를 통하여 가장 적절한 예측기를 선택하고자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몇몇 대표적인 BWE 함수를 이용한 주파수 대역간 예측 부호화 방법에 대해 살펴 보고 각각의 성능을 평가한다. 또한 BWE 예측기반 부호화기를 (주파수)공간상의 중복제거 기술로 볼 때, 시간적 중복 제거 기술 즉, 예측 벡터 양자화기 (predictive vector quantizer)와의 결합이 부호화 효율향상에 상승효과가 있는지에 대해서도 검토한다. In this paper, we discuss a method for efficiently coding the high-band signal in the split-band coding approach where an input signal is divided into two bands and then each band may be encoded separately. Generally, and especially through the research on the artificial bandwidth extension (BWE), it is well known that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the two bands to some degree. Therefore, some coding gain could be achieved by utilizing the correlation. In the BWE-prediction-based coding approach, using a simple linear BWE function may not yield optimal results because the correlation has a non-linear characteristic.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the new coding scheme more in details. A few representative BWE functions including linear and non-linear ones are investigated and compared to find a suitable one for the coding purpose. In addition, it is also discussed whether there are some additional gains in combining the BWE coder with the predictive vector quantizer which exploits the temporal correlation.

      • 퍼셉트론 형태의 SOM : SOM의 일반화

        송근배,이행세,Song, Geun-Bae,Lee, Haing-Sei 한국정보처리학회 2000 정보처리논문지 Vol.7 No.10

        본 논문에서는 퍼셉트론 형태의 SOM(PSOM)을 정의한다. 그리고 이 PSOM의 출력뉴런의 목표 값을 적당히 설정할 경우 PSOM은 Kohonen's SOM이 됨을 보인다. 이는 PSOM가 SOM의 일반화된 알고리즘임을 시사한다. 또한 클러스터링 문제를 단위 초구면상(Hyperphere)에 분포한 벡터들로 한정할 경우 SOM은 Dot-product SOM(DSOM)과 동등한 알고리즘임을 보인다. 즉, DSOM은 SOM의 특수한 형태이며, 결론적으로, PSOM은 DSOM도 포함하는 알고리즘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증명하고 결론을 맺는다. This paper defiens a perceptron-like self-organizing map(PSOM) and show that PSOM is equivalent to Kohonen's self-organizing map(SOM) if target values of output neurons of PSOM are selected properly. This fact imphes that PSOM is a generalized SOM algorithm. This paper also show that if clustering is restricted to vector sets distributed on hypersphere with unit radius, SOM and dot-product SOM(DOSM) are equivalent algorithms. Therefore we conclude that DSOM is a special case of SOM, which in turn a special, case of PSO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