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학동 청동기시대 취락의 석기 분석

        손준호(Son Joon ho) 중부고고학회 2017 고고학 Vol.16 No.1

        광명 가학동유적은 청동기시대의 대단위 취락으로, 61기의 주거지와 2기의 수혈에서 다수의 토기와 석기류가 출토되었다. 소위 ‘역삼동식’에 해당하는 유구・유물상을 나타내고 있는데, 총 241점의 출토 석기에 대한 분석 결과 청동기시대 전기 후반~후기 초에 해당하는 형식들이 다수 확인되었다. 퇴화된 혈구와 간략한 홈 형태의 단 연결부를 갖춘 이단병검, 장신형의 삼각만입촉은 전기의 늦은 단계에 해당하며, 심부유단식의 일단병검은 후기의 이른 단계를 나타낸다. 전기에서 후기로의 과도기적 단계를 보여주는 자료로는 이단경촉과 세장유경촉의 공반 관계, 주형에서 역제형 또는 편주형으로 변화하는 중간 과정의 석도 등이 있다. 또, 횡단면 원형계의 합인석부가 다수를 차지하는 것이나 환상석부, 주상편인석부의 등장도 전기 후반부터 나타나는 현상들이다. 한편, 유단석부와 비교적 긴 경부 양측에 홈이 있는 유경석검의 존재는 동일한 소속 시기와 함께 팽이형토기 문화와의 관련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 시기를 벗어나는 유물의 양상이 거의 확인되지 않고 유구 간의 중복 축조도 많지 않은 점을 감안하면 취락의 존속 기간은 길지 않았을 것이다. 그렇다고 한다면 이미 조사된 매장 영역까지 포함하여 상당한 규모의 대단위 취락을 형성하였으며, 주변 지역과의 다양한 교류 활동을 지속하면서 중심 취락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하였을 것이라 생각된다. 교류 활동의 근거로는 팽이형토기 문화와의 관계 이외에 자색 셰일제 석촉과 활석제 방추차의 외부 유입 가능성을 지적할 수 있다. 취락 내 석기 제작이 활발하지 않았다는 점 또한 취락 간 교류의 가능성을 짐작케 하는 현상 중 하나인데, 주변 유적과의 비교 결과 능곡동으로부터의 석기 공급이 상정된다. 한편, 가학동유적을 중심으로 반경 10km 이내에는 소수의 대형 취락이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며 자리하는 가운데, 그 주변으로 기능을 달리하는 소형 취락들이 다수 분포하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다. The Gahak-dong site in the Gwangmyeong city is known as a large-scale settlement site with 61 dwellings and 2 smaller pits, where huge amount of pottery and stone tools were unearthed. Among the four locations where they found the archaeological features dated to the Bronze age, location no.12 is the largest settlement, having 53 dwellings. The plans of dwellings are all rectangular and pottery typology is classified as Yeoksam-dong assemblage. Since as many as 241 stone tools were uncovered from this site, these stone tools help us to understand their chronology, production, subsistence and trade with other area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se tools are mostly belonging to the period covering the later part of the Early Bronze Age and the early part of Late Bronze Age. Stepped-hilt type daggers with rudimental features and long-shape triangle arrowheads correspond to the former period, while straight-hilt type with clear guard correspond to the latter. In addition, co-existence of stepped-rod and long shape arrowheads with rod, as well as ship and inverted trapezium shapes of harvesting knives show that they are belonging to the transitional phase. Also, stepped-back adze and twin-grooved long shape daggers indicates that they have some relationships with Paeng-i pottery culture in northern area. The period of duration seems not so long as there are no artefacts other than above-mentioned period and small numbers of overlapped archaeological features in this site. In other words, the Gahak-dong settlement existed in quite a large scale at one period, being a centre of intercommunion in this area. Other than the influence of Paeng-i pottery culture, stone arrowheads made of purple colour shale and talc spindle whorls are seemingly transported into this site from outside. As stone tool production doesn’t seem to be very active in this site, some of them could be provided from the Neunggok-dong site. In addition, a limited number of large scale settlement sites that keep a certain distance each other are found within 10km diameter from the Gahak-dong site, while much larger number of small size settlement sites are distributed around them.

      • KCI등재

        울산의 청동기시대 취락과 창평동 환호 유적

        손준호(Son Joon-Ho) 한국고대학회 2018 先史와 古代 Vol.- No.58

        창평동 환호 유적은 울산광역시 창평동 일대에 위치한다. 총 3개 지점 중 청동기시대의 유구는 대부분 A구역에서 확인되었다. 다른 지점의 유구로는 B구역에서 조사된 주거지 1기가 유일하다. A구역은 동-서 방향으로 뻗은 구릉의 아래쪽 끝자락에 해당하는데, 그 앞으로 비교 적 넓은 평지가 펼쳐져 있다. 조사된 청동기시대의 유구는 평면 타원형의 환호와 함께 주거지 3기, 소형 수혈유구 35기 등이다. 주거지 1기를 제외하면 나머지 유구들은 모두 환호 내부 공간에 자리하며 유구 사이의 중복 축조도 없다. 환호는 거의 완전한 형태를 이루는데, 특히 내부 공간에 분포하는 수혈유구들이 환호의 성격을 살펴볼 수 있는 자료로서 주목된다. 유구와 유물에 대한 분석 결과 유적의 시기는 청동기시대 후기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전형적인 울산식 주거지와 환호의 존재, 낟알문과 꼭지형 파수부 토기, 일단병식 석검, 삼각형에 가까운 개량형 석도, 횡단면 타원형의 합인석부, 유구석부와 발전형 편평편인석부, 단추형 원통형 구슬형의 토제 어망추 등은 모두 후기를 나타내는 표지 형식들이다. 한편, 유적의 성격에 대해서는 환호 내부 공간에 소수의 주거지와 다수의 수혈유구가 분포하는 점, 유물의 의도적 훼손과 비정상적 폐기 과정, 불과 관련된 행위의 존재 등을 볼 때 의례와 관련된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주변에서 잘 보이는 돌출된 구릉에 위치하는 점을 감안하면 여러 취락의 공동 제의 공간으로 이용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가시권에 포함된 주변 유적과의 복합체를 한 단위의 거점 취락으로 상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Changpyeong-dong enclosure site is located in the Ulsan city. Most of the archaeological features were excavated in the location A, one of the three areas of the excavation. Only one dwelling pit was found other than in location A; the dwelling pit found in the location B. The location A is located at the lower part of hill running east to west, facing relatively large flat plain. The excavated features consist of an oval shaped enclosure, three dwelling pits, 35 small pits and others. Except one dwelling pit, every features are located inside the enclosure, without any overlapping. The enclosure is almost intact and has importance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enclosure ditch and small pits insid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n archaeological features and artefacts, the time period of this site is revealed to be the Late Bronze Age. Typical Ulsan-style dwelling pits and the existence of enclosure, pressing patterns and knob-shaped handles on pottery, straight hilted stone daggers, triangle like shaped harvesting stone knives, stone axes with oval shaped cross section and grooved stone adzes, developed type stone adzes as well as various type of clay net sinker are all considered to belong to this period. This site seems to be related to some ritual behaviour, based on the fact that only two houses were built inside the enclosure whereas much more small pits were dug, or intentionally deposited artefacts as well as the trace of fire using. In addition, the location of the site which enable the residents look around the landscape widely, this site was a core of the wider networks of several settlements in this area.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무문토기 취사흔의 관찰과 해석

        손준호(Son, Joon-ho),최인건(Choi, In-gun) 부산고고학회 2012 고고광장 Vol.- No.11

        필자들이 직접 취사흔을 관찰한 5개 유적 85점의 자료에, 기존 연구에서 분석 내용이 도면으로 제시된 98점을 합한 총 183점의 토기를 대상으로 몇 가지 해석을 시도해 보았다. 먼저 용량에 대하여 살펴본 결과 중소형 토기가 주로 취사에 이용되었다는 점과 후기가 되면 상대적으로 중대형 토기를 조리에 이용하는 사례가 줄어든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다음 기종별 비교를 통하여 전·후기 모두 발형토기가 다수를 차지하지만 후기가 되면 옹형이 새롭게 등장하여 발형과 호형의 역할을 일부 대신하였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그리고 완형의 경우는 일정한 취사 방식이 시기에 관계없이 존속하였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기종별 조리 방식에 대해서는 발형과 옹형이 거의 모든 조리에 이용 되는 데 반하여, 호형과 완형은 밥 짓기로 대표되는 A형 조리에 사용되지 않았음이 짐작되었다. 용량과의 관계를 보면 A형 조리에는 주로 중형 이상, 유사한 방식이 상정되지만 취사흔 분포 패턴이 다른 B형 조리에는 비교적 소형 토기가 이용되었으며, 상대적으로 많은 수분이 유지되는 조리(C형) 와 물 끓이기(D형) 등에는 소형부터 대형까지 다양한 크기의 토기가 모두 활용된 것으로 추정되었 다. 조리 방식은 시기에 따라 변화하는데, 밥 짓기 토기가 크게 감소한 반면 물 끓이는 용도의 토기가 증가하는 양상을 통해 저부 투공 토기의 시루 사용 가능성을 제기하였다. 한편, 노지 이용의 구체적인 모습은 토기를 지면에 세우고 그 주변으로 연료를 돌려 가열하는 방식으로 복원하였으며, 취사용 토기의 출토 위치를 검토하여 필요시에만 노지 근처로 옮겨 사용한 것임을 확인하였다. The authors collected 183 pottery samples, including 85 samples from 5 sites recorded by ourselves, as well as 98 samples recorded in the previous studies to investigate the cooking traces on the Mumun pottery. As a result, we pointed out the following; 1) Middle and small size pots were mainly used for cooking especially in the Late Bronze Age, 2) pottery belonging to Ong category newly appeared in LBA and they partly substituted the role of Bal bowl or Ho jar, while Bal bowl are major in the combination of Mumun pottery through time, 3) cooking method using Wan bowl did not change in the Bronze Age, 4) most of Bal bowl and Ong jar were used for cooking, while Ho and Wan were not used for rice boiling named as A type cooking. Consider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cooking traces and pot capacity, 1) A type pattern appeared mainly middle and large size, 2) on the contrary B type pattern appeared in relatively small size pots, 3) while C type, cooking which leave a lot of water inside pot after finishing cooking and D type, water boiling were observed on various size of pottery from small to large. Finally, about the pot using we concluded as follows, 1) considering the decrease of rice-boiling pots and the increase of water boiling pots, pots with a small hole on their bottom could be used for steaming, 2) they seemed to put the fuel around the pot standing on the ground, based on the structure of fireplace and cooking trace on the pottery, 3) comparing excavated context of cooking pots and cooking traces, pots were moved to the fireplace while they kept them in the other places inside the house.

      • 하이브리드 가로등의 무선네트워크 감시제어장치 개발

        손준호(Joon-ho Son),김선영(Sen-young kim),지성호(Seong-ho Ji),박재범(Jae-Bum Park),노대석(Dae-seok Rho) 대한전기학회 2010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0 No.7

        하이브리드 가로등의 무선네트워크 시스템은 스마트그리드 구축 시 전력 데이터를 무선 네트워크로 무선단말기가 위치한 수용가에 데이터를 실시간 제공할 것으로 예상된다. 무선 네트워크 데이터 전송시스템은 급속도록 발전하고 있으며, 단말기 가격도 저렴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그리드의 무선 네트워크 통신의 개념을 이용하여 하이브리드[태양광/풍력] 가로등에서 출력된 전력 데이터[전압/전류]를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을 이용하여, PC에서 실시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 KCI등재

        四孔石刀考

        孫晙鎬(Son Joon-Ho) 부산고고학회 2017 고고광장 Vol.- No.21

        반월형석도 가운데 4개의 구멍이 뚫려 있는 것을 본고에서‘4공석도’로 명명하였다. 구멍의 위치에 따라 4개가 횡으로 나란히 뚫려 있는‘좌우 4공석도’와 2개씩 쌍을 이루어 위아래로 천공된‘상하 4공석도’로 구분되는데, 전체적으로 주형이 많고 어형, 즐형, 장방형도 확인된다. 시기적으로는 대부분 전기에 속하지만 특정 시기의 유행을 나타내기보다는, 해당 시기의 유물에만 적용할 수 있는 기술적 한계 때문에 발생한 시간적 편중성으로 보는 편이 좋다. 지역적으로는 호남지역에서만 출토 사례가 없는데, 이는 해당 지역에 전기 유적이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이다. 먼저 좌우 4공석도는 2개의 구멍을 뚫어 사용하다가 후에 한쪽으로 약간 치우쳐 2개를 추가로 천공하였다. 이를 통해 날의 한쪽만 집중적으로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오랫동안 석도의 사용이 가능하였을 것이다. 그러나 4공석도의 사례가 지나치게 희소한 점을 생각하면, 해당 형식의 등장을 단순히 제작 및 사용상의 효율성 때문으로 보기는 어렵다. 필자는 특정 개인이 특별한 의미로 소장한 소위‘애착 물건’이었을 가능성을 상정하고, 오랜 기간 동안 기능을 유지한 상태로 사용·소유하기 위하여 추가 천공이 이루어진 것으로 파악하였다. 다음 상하 4공석도는 좌우 4공석도와 다른 목적으로 제작 및 사용되었음이 분명하다. 그러나 중앙에 있는 2개의 구멍을 먼저 뚫고 위에 2개를 추가로 천공하였다는 점은 확인되지만, 구체적인 제작 목적이나 사용 방식은 추정하기 어렵다. 다만 위쪽에 뚫린 2개의 구멍에 대해 상대적으로 작고 등 부분과 지나치게 가까워 제작 또는 사용 시 파손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큰 힘을 받지 않는 보조적인 역할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좌우 4공석도와는 달리 실물 관찰이 이루어지지 않아, 이를 기초한 사용흔 분석을 실시하여 구체적인 사용 방식을 상정할 필요가 있다. Naming the stone knives with four holes on it as the four-holes stone knives, this study divides these artifacts into two groups. One is stone knives which have 4 holes on the line from left to right (one line four-holes knives) and the other is two pairs of double holes (line splitting four-holes knives). The typological category of these tools are mostly boat shape, although some of them are fish, comb and rectangular shapes. These belong to the Early Bronze Age, as in this period relatively larger knives are found which make it possible to have four holes on them. Geographically they are distributed widely except in Honam area, seemingly because in this area limited number of sites in EBA are confirmed. First, one line four-holes knives seem to have had only two holes, added by two more holes after several times of use. By doing so, it should be possible to use these tools longer than keeping on using the same holes. However, as the examples of four-holes knives are extremely limited, the emergence of this type seems not just because of the efficiency of use. The author assumes that these tools were “beloved items” to be used repeatedly and for long time, making the additional holes. Second, line splitting four-holes knives are obviously made in the different intention than the one line four-holes knives. It was confirmed that the holes on the bottom line were perforated first, yet it is still difficult to know the purpose of making and use of this kind of tools. Nevertheless, as the holes on the top are smaller than the ones on the bottom and very close to the upper edge of the knives, which makes these tools less durable, they should be used as supplementary tools rather than using it with a strong force. Further research including use-wear analysis is required to identify their function.

      • 배전계통에서 분산전원을 증가시키는 새로운 전압조정방법에 관한 연구

        손준호(Joon-Ho Son),김미영(Miyoung Kim),노대석(Dae-Seok Rho) 대한전기학회 2009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9 No.7

        최근 부하증가에 대한 안정적 전력공급과 환경문제 해결은 전 세계적 이슈로 등장되고 있으며, 그 해결책으로써 분산형전원(Distributed generation, DG)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DG는 경제적 · 효율적 이유로 기존 전력계통과 연계해 운전되는데, 태양광이나 풍력과 같은 재생에너지를 이용한 DG의 불확실하며 빈번한 출력변동은 배전계통의 전압조정을 어렵게 만든다. 배전계통의 전압조정을 위해 배전용변전소의 부하시 탭변환기(Under Load Tap Changer, ULTC)가 이용되고 있다. ULTC는 부하변동에 따른 배전선로상 전압강하를 보상하는 선로 전압강하보상법(Line Drop Compensation, LDC)에 의해 조정된다. LDC 전압조정법에서, 측정된 뱅크전류와 미리 설정된 LDC 정정치(LDC parameters, 부하중심점 전압과 등가 임피던스)를 이용해 ULTC의 송출전압을 결정한다. LDC 정정치 설계시, 기존에는 ULTC 탭 동작횟수를 줄이는 것이 주요 목표였고, 이 목표는 DG 도입을 제한하는 큰 원인이 되고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DG 도입을 증가시키는 새로운 ULTC 전압조정법을 제시하고 모델 배전계통 시뮬레이션을 통해 그 유효성을 확인한다.

      • 태양광발전의 수배전반용 보호기기의 최적 알고리즘 개발

        손준호(Son, Joon-Ho),노대석(Rho Dae-Seok)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 한국산학기술학회 학술대회 Vol.- No.-

        본 논문에서는 태양광이 연계된 배전계통에 있어서 발생 가능한 보호협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통합 보호기기의 최적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현재의 배전계통 보호 방식은 단 방향 조류방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태양광전원의 수용가 설비의 연계에 의하여 역방향의 전력조류가 발생될 수 있으며, 또한 사고 시에는 태양광전원의 사고전류 공급으로 양방향으로 사고전류가 흐를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양방향의 사고전류에 대한 새로운 수용가 보호 알고리즘을 탑재한 보호기기의 양방향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