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홍콩과학관 전시물 사례연구: 에너지와 관련하여

        손정우,이봉우,김희경 에너지기후변화교육학회 2016 에너지기후변화교육 Vol.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관의 전시물 중에서 에너지와 관련된 전시물이 어떤 특징이 있는지에 대하여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홍콩에 있는 홍콩과학관의 전시물을 사례로 분석하였다. 홍콩과학관에는 에너지와 관련된 전시물을 많이 발견할 수 있었다. 가장 대표적인 전시물로는 에너지 머신(Energy Machine)으로 에너지 전환을 보여주는 세계에서 가장 큰 전시물이다. 홍콩과학관의 에너지 전시물이 가진 특징으로는 첫째, 효율적인 에너지의 활용과 관련된 전시물이 많이 있었다는 것이고, 둘째, 에너지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고 있었다는 점이다. 추가적으로 홍콩과학관의 에너지 관련 전시물에 대한 소개와 관련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학습 흥미 진작을 위한 과학 관련 TV프로그램의 특성과 학습자 생산 미디어 학습자료(UCC)에 관한 중학생들의 인식 조사

        손정우,조선옥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08 교과교육학연구 Vol.12 No.2

        본 연구는 과학 관련 TV프로그램의 어떤 요소가 학생들의 수업에 관한 흥미를 북돋우고, 개념 이해에 도움을 주는지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의 결과는 학생들이 생산할 UCC의 제작 방향의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중학교 1, 2학년을 대상으로 과학 기술 및 학습에 대한 관심과 TV 시청에 관한 태도 특성, 과학 관련 TV 프로그램에 대한 특성과 학습 환경에 관한 설문 조사를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학생들은 과학기술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에 비해 관심도가 낮았으며, 과학 학습의 분량이 과학수업에 대한 흥미도에 비해서도 낮았다. 둘째, 과학 공부를 위한 최적의 조건으로 잘 가르치 는 교사와 재미있는 학습 자료를 선택하였고, 대부분의 과학 기술에 관한 정보를 과학 수업보다 TV와 인터넷을 통해 얻고 있었다. 셋째, 과학 관련 TV 프로그램의 흥미 있는 요소는 일상생활 속 에서의 과학지식과 실험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넷째, 학습을 위해 과학 관련 TV 프로그램을 보는 것에 대해 긍정적이며, 나아가 UCC를 제작하는 것이 학습에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UCC 제작에 대해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더 적극적이었고, 과학기술에 대한 관심도가 남 학생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여학생이 과학 공부는 더 많이 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우리는 일상생활 속의 과학지식과 실험 과정을 담은 동영상을 학생 스스로가 UCC로 제작하는 학습자 생산 미디어 활용이 과학교육에 있어 필요하며, 그에 관한 교수-학습 방 법을 개발하는 것도 필요하다는 것을 결론지을 수 있었다.

      • KCI등재

        청소년 정신과 환자 중 외톨이 혹은 왕따 특성을 보이는 환자에 대한 예비 연구

        손정우,김은정,홍성도,이시형,홍강의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2000 소아청소년정신의학 Vol.11 No.2

        본 연구는 청소년 정신과 환자 중 외톨이 혹은 왕따 특성을 보이는 환자에 대한 예비연구이다. 청소년 정신과 환자 25명에게 외톨이 설문지, 왕따 설문지 등 8개 설문지를 시행하였고, 일반적인 친구 관계를 질문하였다. 외톨이 설문지 및 왕따 설문지의 점수를 근거로 15명의 외톨이-왕따 집단과 10명의 비외톨이 집단으로 나눈 뒤 일반적 친구 관계와 8개 설문지의 점수를 비교하였다. 또한 5명의 외톨이-왕따 환자 사례를 분석하였다. 이때 SCL-90-R의 우울 차원 점수, 불안 차원 점수, 편집 차원 점수, SCL-90-R의 4가지 차원의 총합, 사회 불안 설문지 점수 등에서 두 집단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5명의 외톨이-왕따 환자의 사례 분석 결과, 병원을 찾은 청소년 정신과 환자는 언어 발달 및 인지 발달의 지연 등 발달에서의 문제가 동반되는 경우에 외톨이-왕따를 당할 가능성이 높은 경향을 보인다. 중심 단어 : 외톨이ㆍ왕따ㆍ청소년ㆍ발달. This study was a preliminary study on the adolescent psychiatric patients that show the characteristics of peer group neglect or rejection. We divided the adolescent psychiatric patients (n=25) into neglect-reject group(n=15) and non-neglect group(n= 10). Each patient answered 8 scales and several questions about general relationships with friends. And, both the score of each 8 scales and answer about qusetions were examined. Lastly, records of 5 cases from neglect-reject group were analyzed. The depression dimension score of SCL-90-R, anxiety dimension score of SCL-90-R, paranoid dimension score of SCL-90-R, interaction anxiousness scale(IAS) sco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2 groups. On the result of case analysis about 5 patients of neglect-reject group, the adolescent psychiatric patients had a tendency to be rejected or neglected in case of having developmental problems(for example, language development or cognitive impairment). KEY WORDS : Peer neglectㆍPeer rejectionㆍAdolescentㆍDevelopment.

      • KCI등재

        탐구적 과학글쓰기를 활용한 스토리텔링 교수 · 학습 방법의 개발 및 적용

        손정우,정은주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2013 교과교육학연구 Vol.17 No.3

        현대의 학습자는 다양한 매체를 통한 지식과 정보를 해석할 수 있는 능력과 새로운 언어로 재창조할 수 있는 실천적 능력을 필요로 한다. 이를 위해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과학에 대한 흥미 와 호기심을 높일 수 있도록 과학자 이야기, 과학사, 시사성 있는 과학 내용을 도입하였다. 그리고 과학 글쓰기와 토론을 통하여 과학적 사고력, 창의적 사고력 및 의사소통 능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본 연구는 과학 수업의 흥미, 과학적 사고력과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을 위한 새로운 교수․학습 방법으로 탐구적 과학글쓰기를 활용한 스토리텔링 교수․학습 방법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먼저 내러티브, 스토리, 스토리텔링, 탐구적 과학글쓰기 등의 문헌 연구를 통해 탐구적 과학글쓰기를 활용한 스토리텔링 교수․학습 방법을 제안하였다. 탐구적 과학글쓰기의 6단계 과정을 스토리텔링 기반 학습 모형의 3단계와 결합하였다. 이 교수․학습 방법은 스토리 중심의 스토리텔링 전 활동, 학습자들 간의 내러티브와 탐구가 진행되는 스토리텔링 본 활동, 수업 전체 활동에 대해 피드백을 받는 스토리텔링 후 활동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수업 전 과정을 모둠별 스토리로 완성하는 활동과 이를 스토리텔링하는 활동이 포함된다. 수업 중에 완성하는 스토리는 문제 인식과 관련된 배경스토리, 문제 해결과 관련된 해결스토리, 수업 전 과정을 반성하는 반성스토리가 있다. 다음으로 과학자 스토리(갈릴레이, 뉴턴, 패러데이)를 기반으로 하는 스토리텔링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초등영재학생 20명에게 적용하였더니, 과학 수업의 흥미, 과학 관련 직업의 선호, 과학에 대한 성차 인식이 유의수준 5%에서 의미 있는 향상이 있었다. 면담을 통해, 학생들은 탐구적 과학글쓰기를 활용한 스토리텔링 수업을 통해 과학자의 논증 과정과 학생들 간의 내러티브를 경험하였고, 과학자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탐구적 과학글쓰기를 활용한 스토리텔링 교수․학습 방법은 흥미, 탐구, 글쓰기, 토론, 논증, 내러티브 등을 경험할 수 있고, 현장적용성이 높은 교수․학습 방법이 될 수 있다. The modern learner requires a practical capacity can be re-created through new language and the ability to interpret information and knowledge through various media. To this end, the 2009 revised curriculum introduced the stories of scientists, the history of science, and the topicality of science in order to raise curiosity and interest in science. In addition, its purpose was to cultivate scientific thinking, creative thinking, and communication skills through discussion and science writ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torytelling teaching-learning method using the science writing heuristic as a new teaching-learning method for the improvement of communication skills, scientific thinking, and a greater interest in science class. We have developed a storytelling teaching-learning method using the science writing heuristic through research reviews of narratives, stories, storytelling, and the science writing heuristic. We have combined the three stages of storytelling based on an instructional model and the process of the six stages of the science writing heuristic. This teaching-learning method is composed of storytelling before activities focusing on stories, storytelling activities progressing through narrative and inquiry among students, and storytelling follow-up activities receiving feedback on the activities of the whole class. This model includes activities to complete the group’s story through the whole process of the class and the activities involved in the storytelling. With respect to the stories to be completed in class, there are: the ‘Background story’, related to problem recognition; the ‘Solving story’, related to problem solving; and the ‘Reflection story’, which reflects on the entire lesson. We then developed a storytelling program which is based on the stories of scientists (Galileo Galilei, Sir Isaac Newton, and Michael Faraday). The participants were twenty gifted, elementary students. Interest in science class, favorite science-related career, and gender difference awareness in science all showed asignificant improvement at the 5 percent significance level. Through interviews, we found that the students developed an increased interest in scientists and experienced a narrative between the students and the argument processes of the scientists. A storytelling teaching-learning method using the science writing heuristic is therefore a way to enhance interest, inquiry, writing, discussion, argument, and narrative; it’s applicability in schools is high.

      • 인공지능 기반 영상 콘텐츠 생성 기술 동향

        손정우,한민호,김선중,Son, J.W.,Han, M.H.,Kim, S.J.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19 전자통신동향분석 Vol.34 No.3

        This study introduces artificial intelligence (AI) techniques for video generation. For an effective illustration, techniques for video generation are classified as either semi-automatic or automatic. First, we discuss some recent achievements in semi-automatic video generation, and explain which types of AI techniques can be applied to produce films and improve film quality. Additionally, we provide an example of video content that has been generated by using AI techniques. Then, two automatic video-generation techniques are introduced with technical details. As there is currently no feasible automatic video-generation technique that can generate commercial videos, in this study, we explain their technical details, and suggest the future direction for researchers. Finally, we discuss several considerations for more practical automatic video-generation techniqu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