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스트레스 및 불안이 중독문제에 미치는 영향 : 마음챙김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손재환(Son, Jaehwan) 한국교정복지학회 2018 교정복지연구 Vol.0 No.56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사회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대학생 중독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스트레스, 불안, 마음챙김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선행연구에 근거하여 불안은 스트레스와 중독을 매개하고, 마음챙김은 이러한 간접경로 내에서 조절효과를 가질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이를 위해 충북지역 대학생 317명을 대상으로 간이진단검사Ⅱ(KSCL95)와 한국판 마음챙김 주의 알아차림 척도(K-MAAS)를 실시하였다. 불안을 매개로 한 경로모형에 대한 분석결과, 불안은 스트레스를 완전 매개하여 중독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마음챙김의 수준에 따라 불안이 중독문제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미하게 다르게 나타나 마음챙김의 조절효과가 검증되었다. 또한 마음챙김은 스트레스가 불안을 매개로 하여 중독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경로 내에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즉 마음챙김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결과에 대한 시사점과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xiety, mindfulness and addiction in Korean college student. For this purpose, levels of stress, anxiety, addiction, and mindfulness were assessed in 317 Korean college students. The Pearson product moment correlation, path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were utilized and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these variables was identified. Anxiety significan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addiction. And mindfulness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nxiety and addiction. Additionally, indirect effect of anxiety on addiction through stress was moderated by mindfulness. Finall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se results are discussed.

      • KCI등재

        마코프 체인 프로세스에 기반한 학교폭력 발생 예측 모형

        손재환(Son, Jaehwan)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5 한국청소년연구 Vol.26 No.2

        본 연구는 최근 사회적으로 이슈화된 학교폭력 문제를 예측할 수 있는 확률 모형을 제안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공학, 정보학 등 여러 분야에서 미래 예측을 위해 사용하고 있는 마코프 체인 프로세스 확률 모형을 사용하였다. 이에 사용된 분석 자료는 최근 3년간(2012. 6. ∼ 2014. 6) 117학교폭력신고 센터에 접수된 신고 건수로서 월별 자료를 분석하였다. 학교폭력 발생 빈도에 대한 분포 양상을 분석한 뒤 빈도에 대한 상태를 관심(S1), 주의(S2), 경계(S3)로 정의하여 분류한 뒤, 상태 전이 행렬을 산출하였다. 또한 최근 5개월간의 학교폭력신고건수 빈도를 통해 초기 확률을 산출하고 이 값과 전이행렬을 곱하여 다음 달 예측 가능한 학교폭력 상태 및 빈도를 산출하였다. 결과로는 2014년 7월 학교폭력 상태가 주의단계로 나타났으며, 예측빈도가 7,565.86건으로 나타나 실제 관찰된 7,422건과 유사한 결과가 나타났다. 또한 마코프 체인 프로세스를 통해 예측된 2014년 7월의 수치를 다른 예측모형을 통해 나타난 수치와 비교하였다. 비교된 예측모형은 회귀모형과 시계열모형이었다. 우선 학교폭력 건수를 종속변인으로 각 월을 독립변인으로 설정한 회귀모형에서는 예측된 2014년 7월의 수치가 6,970.76건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시계열분석은 대표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ARIMA 모형을 사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예측된 2014년 7월의 수치는 8,002.60건이었다. 따라서 각 예측모형에서 산출된 예측치를 비교해 볼 때 마코프 체인 프로세스 모형이 실제 관찰된 값과 가장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Recently in Korea, school violence has been becoming more complex and varied in form. Therefore, government and public institutions in Korea have need of an early warning and prediction system that is better able to identify adolescents at risk from such things as school violence. This study was carried out for the purpose of suggesting a probabilistic model that can be used to forecast the likely occurrence rate of school violence in Korea. In the pursuit of this purpose, this study made use of the Markov chain process, which can be applied to a great variety of fields such as engineering, and information science. This study proceeded as follows. Firstly, we investigated the frequency of school violence from 2012 to the 2014 in Korea. Second, we applied the Markov chain process to analyze this data. As a result, using the model as proposed in this study, we have been able to identify a model and system which can predict the occurrence probability and occurrence frequency for school violence in Korea.

      • 직교형 고소작업차 구조 안정성 평가에 관한 연구

        한창우(Changwoo Han),손재환(Jaehwan Son),박기진(Keejin Park),장은실(Eunsil Jang),우승민(Seungmin Woo) 한국자동차공학회 2013 한국자동차공학회 지부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3 No.4

        This study is investigated on the structural stability estimation of the vehicle with 4 wheels and 2 rectangular-type lifting utilities. This vehicle can be moved on the dirt sloping load and carried heavy fruits with a heavy motor, batteries, hydraulic balancer, and power-pack that controls lifting utilities. Through the multi-body dynamics analysis on the vehicle mechanism, overturning angles in the right-left and front-rear direction for st-r conditions can be determined. It is verified whether tractive resistances and required powers of the wheels which have been calcurded in climbing different gradients are allowable. Through the analysis on the position of batteries the overturning stability of the vehicle can be determined. And through the finite element analysis on the frame of lifting utility which is loaded maximum von Mises stress and deformation structure are calculated. Therefore it is known that the vehicle for high place operation in the wheel type has dynamical and structural stability.

      • KCI등재

        대학생의 우울, 분노공격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박상규(Park, Sang Gyu),손재환(Son, Jaehwan) 한국교정복지학회 2017 교정복지연구 Vol.- No.50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사회적 위험이 되고 있는 스마트폰 중독과 우울, 분노공격,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예방 및 개입 방안마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충북지역 대학생 344명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중독 척도, KSCL95의 우울, 분노공격 소척도, 자아존중감 척도로 각 변인을 측정하고, Pearson 적률상관분석과 경로분석을 실시하여 변인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스마트폰 중독과 우울, 분노공격, 자아존중감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존중감이 두 변인에 대해 매개하여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기 위해 경로모형을 설정하여 각 경로에 대한 bootstrapping 방식으로 이를 검증한 결과, 우울은 자아존중감을 매개로하여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간접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분노공격은 자아존중감에 대한 매개효과가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논의와 연구의의, 제한점을 기술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among smartphone addiction, depression, anger and self-esteem in college students. Participants were 344 college students in Chungbuk area. The survey tools were smartphone addiction scale, KSCL95 and self-esteem scale. Data were processed R project, using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path analysis. As a result,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smartphone addiction, depression, anger and self-esteem. Second, in path analysis, self-esteem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and anger. However, self-esteem did not have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and anger. Based on the results some implications and importances of mental health were discussed for smartphone addiction of college student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