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독교의 순례 역사 개관: “성스러운장소는 신성과의 만남을 매개하는가?”

        손은실 한국종교학회 2024 宗敎硏究 Vol.84 No.1

        본 연구는 기독교 순례 전통에 대한 개괄적 이해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기독교 순례의 역사적 변천을 개관한다. 이 개관을 통해 “성스러운장소는 신성과의 만남을 매개하는가?”라는 질문이 기독교 순례의 변천사를 관통함을 발견하고, 이 질문에 대해 탐구한다. 기독교 전통에서 순례가 가지는 의미, 동기, 그리고 주요 순례지를 소개하고, 물리적인 ‘성스러운 장소’의 개념과 특정 장소로의 순례에 유보적이었던 초기 기독교에서부터 4세기 말 적극적으로 수용하게 된 계기, 그리고 기독교 역사 속에서 일어난순례의 부흥, 쇠퇴, 재생의 과정을 간략하게 소개한다. 기독교 순례의 변천사는 순례에 대한 옹호자와 비판자들이 반복적으로 나타났음을 보여준다. 성지순례를 옹호한 사람들은 순례를 영적 변화와 신앙의 성장을 위한 중요한 영적 여정이라고 본 반면, 반대자들은 순례가 물질적인 요소에 지나치게 의존하며, 육체적이며 도덕적인 위험에 순례자들을 노출하고, 진정한 영적 성장과는 거리가 있다고 주장한다. 종교개혁기에는 이러한 반대 목소리가 더욱 높아져, 루터를 비롯한 개혁자들은 중세 말 횡행했던 순례의 왜곡된 형태를 강하게 비판하고, 신의 편재성과 모든 신자가 하느님의 성전임을 강조하면서, 특정 장소로의 순례가 불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종교개혁자들의 순례 비판에 맞서 트렌트 공의회와 이냐시오 같은 가톨릭 신학자들은 순례와 성인 공경이 영적 헌신을 증진하는 수단임을 강조했다. 성지순례를 지지하는 사람들과 반대하는 사람들 사이의 차이는 우선 전자가 성지순례의 긍정적인 역할에, 후자가 왜곡과 남용에 시선의 초점을 맞추는 데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두 관점 사이에 차이가 발생하는 더욱 근본적인 이유는 성지순례를 지지하는 사람들이 신의 은총을 매개하는 성지의 역할을 강조하는데 반해, 비판자들은 이러한 역할을 경시하거나 부인하는 경향에 있다. 이 연구는 성지순례에 대한 계속된 비판에도 불구하고 기독교 역사 속에서 성지순례가 이어져 온 사실에 대한 해석을 시도하면서 순례라는 종교적 실천이 감각을 매개로 신성과의 구체적 만남을 가능하게하는 차원이 있음을 밝힌다. This study attempts to provide a comprehensive overview of the Christian pilgrimage tradition, exploring its historical development and posing a fundamental question: Can sacred places facilitate encounters with the divine? It examines the significance, motivations, and major pilgrimage destinations within Christianity, tracing the journey of pilgrimage from its inception to its ebb and flow throughout Christian history. The notion of “holy place” undergoes a metamorphosis from initial skepticism in early Christianity to widespread acceptance by the late fourth century. This study identifies recurring arguments for and against pilgrimage. Proponents see it as a vital avenue for spiritual growth, while detractors criticize its materialism and potential dangers. These criticisms intensified during the Reformation. Reformers such as Luther vehemently opposed the distorted pilgrimage practices of the late Middle Ages, emphasizing the omnipresence of God and the concept that every believer is God’s temple. They argued that pilgrimages to specific places were unnecessary. In response to these critics, the Council of Trent and Catholic theologians such as Ignatius maintained that pilgrimage and the veneration of saints served to foster spiritual devotion. The apparent divide between proponents and opponents of pilgrimage stems from their different emphases: proponents emphasize its positive role, while critics oppose its distortions and abuses. At the heart of this contrast is proponents’ emphasis on the role of holy places in mediating divine grace, while critics often downplay or reject this role. The enduring presence of pilgrimages throughout Christian history, despite constant criticism, attests to the aspect of religious practice that allows for tangible encounters with the divine through sensory experience.

      • KCI등재
      • KCI등재

        ‘하느님’ vs ‘하나님’ 논쟁의 재해석: 기독교 용어 통일의 단초

        손은실 서울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22 종교와 문화 Vol.- No.42

        When Christianity was introduced to the East Asian Sinosphere, there were many controversies over the translation of the divine name due to the clash between the traditional idea of God and the Christian concept of God. In Korea, the Chinese Catholic translation, “Tianzhu” (天主=Lord of Heaven), was used in the Catholic Church while God was translated into “Haneunim,” “Hananim,” or “Hanănim” in the Protestant Bible translation. Although the signifiant of these three terms is different, the signifié is the same, meaning “Lord of Heaven,” to which the meaning of “One Lord” would be added after some time. Then, in 1977, when Catholics and Protestants published a Common Bible Translation, God was translated into neither “Tianzhu”, which was used by Catholics, nor “Hananim” (meaning One Lord in modern speech), which was used by Protestants, but a third alternative, namely, “Haneunim” (meaning Lord of Heaven). Anglicans, Catholics, and Orthodox Churches have been consistently using “Haneunim,” while Protestants reject this solution and continue to use “Hananim.” Regarding the problematic situation of Korean Catholics and Protestants giving different translations for many Christian terms, including the divine name, I try to show in this study that “Haneunim” can be a better term than other translations of God, hoping that the unification of the divine name as “Haneunim” will serve as an impetus toward further unification of Christian terminology in Korea. To this end, I revisit controversies on the Korean translation of the divine name and argue for the option of “Haneunim” from several different perspectives: ecumenical, trinitarian, religio-historical, translative (in particular, from the audience’s point of view), and cultural-historical.

      • KCI등재

        한국 최초 장로교 여목사 최덕지의 해방 직후 교회재건 운동에 나타난 교회론 연구 : 도나투스파 교회론에 비추어

        손은실 한국교회사학회 2017 韓國敎會史學會誌 Vol.48 No.-

        이 글은 한국 장로교 여성 가운데 최초로 목사안수를 받은 최덕지 (1901-1956)가 일제의 신사참배 강요에 굴복하여 무너진 한국교회를 회복 하기 위해 해방 직후에 전개한 교회재건 운동을 살펴보고, 그의 교회론에 대한 신학적 해석을 시도한다. 그의 교회론에 대한 교회사가들의 평가는 지금까지 대체로 매우 부정적 이었다. 대부분의 학자들은 그의 교회론을 ‘극단적 분리주의’ 혹은 ‘극단적 분파주의’ 혹은 ‘도나투스주의’라고 평가한다. 하지만 이들의 평가는 최덕 지의 재건운동에 대한 자세한 분석과 교회론에 대한 깊은 신학적 해석에 기초한 것이 아니다. 본고는 이런 연구의 공백을 메꾸기 위한 하나의 시도 이다. 최덕지의 교회론을 정확하게 평가하기 위해 그의 교회재건 운동을 해방 직후의 구체적인 역사적 상황에 위치시키고 ‘도나투스파 교회론’을 해석학 적 도구로 사용하여 그의 설교를 분석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최덕지의 교회론을 ‘극단적 분리주의, 혹은 분파주의’ 혹은 ‘도나투스주의’라고 단순하게 말하기는 어렵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하지만 동시에 그의 재건운동과 재건교회 설립은 그가 의도하지 않았던 교회의 분열을 낳았고, 그의 교회 론에 도나투스주의와 매우 유사한 성격-장점과 한계 두 측면 모두에 있어 서-이 많은 것도 부인할 수 없음을 확인했다. 전체적으로 보자면 최덕지의 교회재건 운동은 교회의 거룩성 회복을 위 해서는 큰 공헌을 하였으나, 교회의 일치 유지를 위한 노력은 부족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당시 역사적 상황에서 교회의 거룩성 회복이야말 로 보다 중요한 시대적 과제였던 점을 감안하면, 그의 공헌이 한계보다 훨 씬 높이 평가되어야 한다. 최덕지의 교회론이 지금 주님의 몸을 수없이 많은 조각으로 찢어놓고 만신창이로 만든 한국교회에 주는 교훈은 실로 무겁다. 참된 교회의 회복 을 위해서는 ‘일치를 해치지 않는 거룩성’과 ‘거룩성을 해치지 않는 일치’ 를 동시에 추구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연구가 최덕지의 교회재건 운동에 대한 재평가를 위해 그리고 오늘 한국교회의 분열된 현실의 뿌리 이해와 일치의 길 모색 그리고 더 나아가 통일 이후 북한교회가 직면하게 될 해방직후와 유사한 배교자 치리 문제를 예견하고 미리 준비하는 데 기여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 This article looks into the Church Reconstruction Movement during the post-liberation period that was lead by Rev. Deokji Choi (1901-1956), the first woman ordained by the Presbyterian Church of Korea to recover the Church, which had collapsed by the shrine worship forced by the Japanese Empire. It endeavors to propose a theological interpretation of her ecclesiology. Our first question is, “Is Choi’s ecclesiology in the Movement ‘extreme secessionism’, ‘extreme sectarianism’ or ‘Donatism’, as church historians generally define it? To answer this question, we situate Choi’s Reconstruction Movement in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post-liberation period, and analyze her sermons using ‘Donatist ecclesiology’ as an hermeneutical tool. As a result, we came to the conclusion that it is hard to consider her ecclesiology simply as ‘extreme secessionism’, ‘extreme sectarianism’ or ‘Donatism’. At the same time, however, it cannot be denied that her Reconstruction Movement and building of Reconstruction Church engendered the division of the Church, which she had never intended, and that her ecclesiology shares a lot with that of Donatists. Overall, we can state that Choi’s Reconstruction Movement contributed much to the restoration of the sanctity of the Church, but lacked the effort to maintain its unity. The limitations of Choi’s ecclesiology offer significant lessons to the Korean Church, which has severely torn apart the Body of Our Lord: The road to true restoration of church requires sanctity that does not hamper unity as well as unity that does not hamper sanctity.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reevaluating Deokji Choi’s Church Reconstruction Movement, understanding the roots of the division of the Korean Church, and seeking out the way to unity. Furthermore, it will help foresee and prepare for the problem of the treatment of apostates that the North Korean Churches will have to face in the coming post-reunification period.

      • KCI등재후보

        중세시대의 복음주의 -발도파와 설교자 수도회의 “그리스도 따르기”를 중심으로

        손은실 한국교회사학회 2009 韓國敎會史學會誌 Vol.25 No.-

        In this article, we examine the evangelical movement during the 12th and 13th centuries. In the Middle Age, during these centuries, the evangelical movement, which tried to obey the teachings of the Gospel, saw its most powerful expression. Among various forms of evangelical movements from peoples of diverse classes, we focus on two kinds of people: Waldensians, “heretics” of the medieval church, who separated themselves from the church by criticizing and resisting the institutional church, and the mendicant friars, who aimed at returning to the apostolic tradition within the church. All these evangelical movements show that they placed an evangelical value to poverty. In other words, for those who wanted to live according to the teachings of the gospel, poverty was the first practice and the effective symbol of evangelical awakening. Thomas Aquinas, representative theologian who showed theological reflection on this evangelical poverty, says that the voluntary poverty is the first basis on the way to the perfection of Christian life. This is because the perfection of human life is the union with God, which is the ultimate goal of the humanity and because the love of wealth decreases the love of God. We find that the medieval evangelical movement challenges the evangelicals today, especially those in the Korean church. The essence of the evangelical spirit shown through the evangelical movement is the unlimited obedience to the words and the acceptance of the voluntary poverty as the condition of apostolic life. This can be summarized as discipleship(sequela Christi). We believe that we can take significant lessons and insights from the emphasis on the discipleship which is a characteristic of the medieval evangelicalism. We think so in view of the context of the Korean church, where she emphasizes on sola gratia but where the sequela Christi can hardly be found. If anyone truly believes in the forgiveness of sins through the redemption of Christ and the gospel that means the eternal grace of salvation, he or she cannot but follow Christ; the Gospel can’t be separated from the discipleship.

      • KCI등재

        니콜라우스 쿠사누스의 『신앙의 평화(De pace fidei )』에 나타난 종교 간 대화 : “의례의 다양성 안에 존재하는 하나의 종교”

        손은실 한국서양중세사학회 2020 西洋中世史硏究 Vol.- No.45

        이 글의 일차적인 목표는 중세 그리스도교 세계에서 나온 유명한 종교 간 대화 문헌인 니콜라우스 쿠사누스(Nicolaus Cusanus, 1401-1464)의 『신앙의 평화』(1453)를 철저한 원전 분석을 통해 소개하는 것이다. 이 작품에서 쿠사누스는 1453년 유혈이 낭자한 콘스탄티노플 함락 소식을 들은 직후 종교 간 평화를 찾기 위해 천상의 예루살렘에 당시 알려진 거의 모든 민족과 문화를 대표하는 17명이 참여하는 종교 간 그리고 문화 간의 가상의 대화를 기술한다. 당시 이슬람에 대한 공포에 휩싸인 유럽의 그리스도인들 사이에 투르크의 침공을 보복하고 그 진격을 막기 위해 십자군을 재개하자는 목소리가 큰 상황에서 저자는 종교 간의 갈등을 해결하는 방법은 전쟁이 아니라 대화라는 확신을 가지고 이 작품을 집필했다. 쿠사 누스는 종교 간의 갈등의 원인이 사람들이 각 종교 전통의 오랜 관습을 진리로 간 주하는데 있다고 보고, 종교 간의 평화를 위한 대화의 중심적인 원리로 ‘의례의 다 양성 안에 존재하는 하나의 종교’(una religio in rituum varietate)를 제시한다. 이 글은 『신앙의 평화』를 해석하는 토대가 되는 쿠사누스의 『유식한 무지(De docta ignorantia )』(1440)와 『추정(De coniecturis)』(1440-1444)에 나타나는 인간 인식의 조건과 가능성에 대한 철학적 설명에 비추어 ‘하나의 종교’와 ‘의 례의 다양성’이 어떻게 대립하지 않고, 공존하는 원리인지 규명한다. 이 공존은 종교 의례의 다양성을 해석하는 쿠사누스의 관점에 달려있다. 그에 따르면 의례 는 진리 자체가 아니라, 진리의 감각적 표지이다. 하나의 진리가 다양한 표지로 표현될 수 있듯, 하나의 종교는 다양한 의례로 표현될 수 있다. 이는 쿠사누스 가 밝힌 인간 인식의 조건, 즉 인간의 인식은 진리의 정확한 인식에 도달할 수 없는 까닭에 추정하는 것이고, 따라서 같은 실재에 대해 다양한 관점이 있을 수 있다는 것에서 비롯된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troduce Nicholas of Cusa’s Peace of Faith with thorough analyses of the text. Peace of Faith is one of the best known works written by the medieval Christian authors on interreligious dialogue. The work, which appeared immediately after the fall of Constantinople in 1453, depicts a fictional conversation held in heavenly Jerusalem among the seventeen people representing nearly all nations and religions known at the time. The European Christians, overwhelmed by the fear of Islam, vehemently argued for the resumption of the Crusades to take revenge on the invasion of the Turks and check their advance. Against this backdrop, the author wrote this work with a conviction that the solution to the religious conflict is not war but dialogue. For Cusanus, religious conflict results from considering the old customs of each religious tradition as the truth. He thus presents “one religion in a variety of rites (una religio in rituum varietate)” as the central principle for the dialogue for peace among religions. In this article we explore, in light of the philosophical explanations on the conditions and possibilities of human knowledge, presented in the two works of Cusanus, Learned Ignorance (De docta ignorantia, 1440) and On Conjectures (De coniecturis, 1440-1444), how ‘one religion’ and ‘a variety of rites’ aren’t contradictory but can coexist. This coexistence depends on his conception of the variety of rites. He considers rites not as the truth, but as signs of the truth. Just as one truth can be represented by various signs, one religion can be represented by diverse rites. This results from the human condition of knowledge, which is not precise but only a conjecture, and as a consequence, there are diverse points of view on the same reality.

      • KCI등재

        서양 중세교회의 장애인 인식 -토마스 아퀴나스, 성 루이 9세, 여성 신비가들을 중심으로-

        손은실 한국교회사학회 2013 韓國敎會史學會誌 Vol.35 No.-

        This paper examines how the disabled were considered in the Western Medieval Church. It centers on Thomas Aquinas, St. Louis IX, and some women mystic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 disability was not always associated with a sin in the Medieval Church. Secondly, the intellectually disabled, who lack cognitive ability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sacrament, were not excluded from the Sacrament of Baptism. Thirdly, contrary to the rigorous prohibition against the disabled performing sacred rituals in Leviticus, medieval priests were not prevented from holding their office just because of physical impairment. Finally, disabled people were not considered miserable or beneficiaries of charity but spiritually valuable and beneficial in maintaining a spiritually healthy society. In view of our findings, the general assumption of modern authors that medieval societies saw a link between sin and disability to the extent that the Church sanctioned the abuse of disabled people turns out to be a prejudice. On the contrary, the disabled in the Medieval Church were never excluded from the order of grace. As H.-J. Stiker, the author of a classical monograph on the history of disability, said, disabled people in the Middle Ages, when compared with those in the previous and following ages, can be found under the influence of ethical and divine love.

      • KCI등재

        「한국교회사학회지」(1979년~2019년)에 게재된 중세교회사 연구의 결산과 전망

        손은실 한국교회사학회 2020 韓國敎會史學會誌 Vol.55 No.-

        이 글은『한국교회사학회지』에 게재된 논문들을 대상으로 중세교회사 연구 40년사를 결산하고 향후 연구과제와 방향을 전망해 보려는 시도이다. 본고에서 중세교회사 범위에 포함시킨 연대는 통상적으로 ‘중세 천년’이라 일컬어지는 500년에서 1500년대이다. 학회지에 발표된 이 시기에 관한 논문 34편을 대상으로 양적 지표와 주제별 연구 현황과 추이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국내에서 황무지와 같았던 서양 중세 연구 분야에 용기 있게 도전한 연구자들이 라틴어와 자료접근의 어려움과 같은 열악한 연구 조건을 딛고 발표한 논문의 질은 그동안 국내 연구역량의 강화와 함께 점차 발전해 온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본고에서 분석한 34편의 논문에서 다루어진 주제는 다양하고 풍부한 중세교회사 주제에 비춰볼 때 매우 협소하다. 따라서 연구자층과 연구 지평의 확대가 절실하게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review the articles on medieval church history published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Church History Society during 40 years (1979-2019), and to forecast future research issues and directions. In this paper, the medieval church history covers that of church from 500 to 1500, commonly referred to as the "medieval millenniu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quantitative indicators and the trends of 34 articles published in the Journal are as follows: The quality of papers published by courageous challengers in the field of Western medieval research, which was like a wasteland in Korea, under tough research conditions such as knowledge of Latin and data access difficulties, have been gradually developed with the strengthening of domestic research capacity. However, the subjects covered in the 34 papers analyzed in this paper were very narrow in light of the rich and varied themes of medieval church history, and show an urgent need to expand the researchers and the research horiz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