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음악감상활동을 통합한 미술활동이 유아의 미술표현능력에 미치는 영향

        손윤경(Son Yun Kyoung),김신덕(Kim Sin Duk),김규수(Kim Kyu Soo)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5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0 No.1

        본 연구는 음악을 강상하고 유아들이 자신의 생각을 정리하여 그림을 그려보게 함으로써 유아의 미술표현능력 증진에 효과가 있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대상은 사립유치원 만 5세아로 실험집단의 유아에게는 11주간에 걸쳐 1주일에 1회씩 음악감상활동을 통합한 미술활동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미술표현력이 비교집단에 비해 실험집단의 유아들의 접수증가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하위요인 중 내용 표현력의 증가 차이가 가장 컸으며, 색체 표현력의 차이가 가장 작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음악감상활동을 통합한 미술활동이 연구대상 유아의 미술표현능력 증진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입증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볼 때 유아미술교육에서 음악감상활동과 통합한 미술교육 방법이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effect of art activity connected with music-listening on children's expressing in painti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five year old children from a kindergarten and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art activity connected with music-listening for a 11-week period(11 times).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children of experimental group showed statistically a more significant increase in expressing in painting than those of comparative group. As a result of the sub-factors of expressing in painting, it indicated that the children's expressing of line in painting be the highest increased and the children's expressing of subject matter in painting be the lowest increased. The results showed that art activity connected with music-listening could improve children's expressing in painting. Thus, these results suggest that art activity connected with music-listening is an effective method for children's art education.

      • 공간통사에 의한 공간분석에서 수직통시의 적용 : 아트리움적 공간에 있어서 Case of Atrium-like Space

        손윤경,장성준 대한건축학회 2003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계획계/구조계 Vol.23 No.1(계획계)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pplication of "vertical vision" in space analysis when we use Space Syntax as a key method. As a case study we chose a lecture building in a university campus, and analyzed space organization in three ways of floor plan assumption: for each applied normal way analysis and also new "vertical vision" analysis: We found that this new trial represents better than normal method in case of "atrium-like" major space in a building in terms of integ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