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용접선 추적 비전장치를 이용한 원형-사각 파이프의 T형 조인트 레이저용접

        손영일,박기영,이경돈 한국레이저가공학회 2008 한국레이저가공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8 No.-

        Because of its fast and precise welding performance, laser welding is becoming a new excellent welding method. However, the precise focusing and robust seam tracking are required to apply laser welding to the practical fields. In order to laser welding of a type of T joint like a circular pipe on a square pipe, which could be met in the three dimensional structure such as an aluminum space frame, a visual sensor system was developed for automation of focusing and seam tracking. The developed sensor system consists of a digital CCD camera, a structured laser, and a vision processor. It is moved and positioned by a 2-axis motorized stage, which is attached to a 6 axis robot manipulator with a laser welding head. After stripe-type structured laser illuminates a target surface. images are captured through the digital CCD camera. From the image, seam error and defocusing error are calculated using image processing algorithms which includes efficient techniques handling continuously changed image patterns. These errors are corrected by the stage off-line during welding or teaching. Laser welding of a circular pipe on a square pipe was successful with the vision tracking system by reducing the path positioning and defocusing errors due to the robot teaching or a geometrical variation of specimens and jig holding.

      • KCI등재

        수치심의 두 얼굴― 자아와 타자의 관점으로 읽어내기 ―

        손영일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24 감성연구 Vol.- No.28

        이 글은 흔히 긍정 혹은 부정이라는 양태로 파악되는 수치심이라는 감정을 자아와 사회라는 개념틀로 새롭게 이해해보려는 시도이다. 수치 감정이 가지는 결과적 양가성에 근간한 이해를 넘어, 이 연구는 한 사람이 경험하는 수치심을 구성하는 원인에 주목하고 이를 자아와 사회라는 용어로 풀어나간다. 수치심은 그것을 경험하는 주체가 자신을 특정한 방식으로 경험한다는 측면에서 자기 평가적 감정으로 규정할 수 있다. 다른 한편, 감정 주체가 소환하는 자기규제적 규범의 원천에 주목할 때 수치심은 사회가 주체에게 부여하는 비판적 평가에 대한 심적 반응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런 접근은 단지 긍정과 부정이라는 양태로만 이해하려 했을 때 드러나지 않았던 수치심의 개념적 이해 지평을 확장시킨다. 수치 감정은 사적이고 수동적일 수밖에 없는 정서적 경험이 아니라, 수치를 경험하는 사람과 관계되어 있는 사회적 조건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에 더 입체적이고 풍성하게 이해될 수 있는 경험으로 재정식화될 수 있다. This article is an attempt to newly understand the emotion of shame, which is often understood as positive or negative, through the conceptual framework of self and society. Beyond the fundamental understanding of the resulting ambivalence of shame feelings, this study focuses on the causes that constitute the shame experienced by a person and explains this in terms of self and society. Shame can be defined as a self-evaluative emotion in that the subject experiencing it experiences himself or herself in a specific way. On the other hand, when paying attention to the source of self-regulatory norms summoned by the emotional subject, shame can be understood as a psychological response to the critical evaluation given to the subject by society. This approach expands the horizon of conceptual understanding of shame that was not revealed when trying to understand it only in terms of positivity and negativity. The emotion of shame is not a private and passive emotional experience, but can be reformulated into an experience that can be more three-dimensional and richly understood because it is closely related to the social conditions related to the person experiencing shame.

      • KCI등재

        도덕성의 원천으로서의 감정과 그 교육적 의의: 찰스 테일러의 『자아의 원천들』의 논의를 중심으로

        손영일 한국교육철학학회 2019 교육철학연구 Vol.41 No.4

        This paper aims to argue the significance of emotion in morality with the help of Sources of the Self by Charles Taylor. I first examine the historical transition of the understanding of emotion in relation to reason in Western philosophy from the ancient Greeks to the modern age. And I focus on Taylor’s idea of authenticity as the moral tendency and argue that we need to pay attention to this tendency today. First, emotion has been neglected exhaustively when it compared to reason in terms of a source of morality from the beginning of Western philosophy. For instance, Plato considers human emotion just as an interruption or obstacle. Reason, by contrast, is the main source of morality due to its intimate relationship with Ideas. While human reason has been considered important in order to become a moral being, emotions have been simply ignored. Secondly, human emotion comes to be recognized as a source of morality with the coming of the early modern age. Descartes and Locke understood reason as a human agent who is able to remake himself by self-mastery. In this respect, emotion is understood to be controlled by reason as an instructive and valuable constituent for morality. Thirdly, emotion has come to be understood as almost an absolute source for morality around the eighteenth century. Proponents of moral sentimentalism claim that all human being has a natural tendency towards the good. This goodness as a source of morality must be found from the inside of human being. Rousseau also argues that emotion is a significant standard on which the right or wrong is determined. Here emotion, though it needs help of reason at times, is equated to reason in terms of morality. Suggesting the historical and philosophical understanding of emotion, this paper exhorts to gain a new understanding of emotion as a potential source of morality in a comtemporary society. Emotion is still occupying an important position today as a form of the ethics of authenticity. Moral education, therefore, should focus on this type of emotion and its dynamics among much of the youth today. 이 연구는 오늘날 도덕성과 관련하여 감정이 어떤 사상사적 변천을 거치면서 현대사회에서 중요한 위치를 점하게 되었는지 탐구하고, 감정의 교육적 시사점을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고대부터 근대에 이르는 서양 사상사를 살펴보면, 감정은 항상 이성에 대비되어 부정적으로 간주되거나 하위의 요소로 간주되곤 하였다. 그러나 근대 이후 최근에 이르기까지 감정의 위상은 점차 변화해왔고, 도덕성의 중요한 원천으로 인정받고 있다. 그러나 감정이 도덕성에 있어서 어떻게 이런 지위를 확보할 수 있었는지, 그 과정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찰스 테일러의 연구를 바탕으로 플라톤, 데카르트, 로크, 도덕감정론자, 그리고 루소 등 각 철학자들의 감정에 대한 관점을 탐색하면서 고대에서 근대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감정이 이성과 어떤 방식으로 관계 변화를 겪는지 집중적으로 살펴본다. 플라톤으로 상징되는 서양 고대에서, 이성은 불변하는 외적 실재를 직관하고 그 의미를 통찰하는 기관이었으나, 근대로 접어들어 한 인간을 합리적으로 통제하는 주체처럼 변했다. 이 과정에서 감정은 순전히 부정적인 지위를 탈피하고 도덕성에 있어 점차 중요한 원천으로 상승하기 시작한다. 근대적 인간은 더 이상 외부에서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기준을 찾을 수 없었기에 자신의 내면으로 들어가서 도덕성의 원천을 찾기 시작하는데, 이 때 감정은 중대한 고려사항으로 자리 잡는다. 이후 도덕감정론자를 거쳐 루소에 이르러 마침내 감정은 올바름을 말해주는 중요한 지위를 얻게 된다. 한편 찰스 테일러는 “자기진실성”이라는 개념을 통해 감정이 현대사회만의 독특한 윤리형식을 구성하는 한 가지 요소라고 주장하고 있는데, 오늘날 우리나라의 젊은이들은 자기진실성에 충실한 방식으로 살아가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오늘날 우리나라 교육현실에서 감정은 그 중요성을 좀처럼 주목받지 못하고 있으며 학생들은 외적인 이유들로 자기진실성에 기초한 삶의 방식을 배우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만일 감정이 자기진실성의 윤리와 관련하여 도덕성의 원천으로 간주될 수 있으며 옳고 그름을 발견하고 삶의 의미를 찾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면, 우리는 감정에 대한 선입견을 벗고 그 교육적 가능성을 적극적으로 모색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