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사진적 모더니즘의 담론적 공간에 관한 비평적 재고

        손영실 ( Young Sil Soh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6 기초조형학연구 Vol.17 No.3

        본 논문은 사진적 모더니즘을 형식주의 사진과 모더니즘 매체로서 사진의 위상을 구축하기 위해 기획된 뉴욕 현대미술관의 주요 전시들을 중심으로 분석한 후, 이에 관한 비평적 논의를 통해 사진적 모더니즘의 담론적 공간을 고려해보았다. 사진적 모더니즘의 담론은 매체특정적, 형식주의적 입장에 기반한 그린버그의 모더니즘 논의에 충실히 부합되며 사진 매체 자체의 내재적 본성을 강조하였고 사진에 예술 매체로서의 합법성을 부여하려는 일련의 시도로 이어져갔다. 그러나 이러한 논의는 현대 사진의 다양한 실천 속에서 확인되는 사진 매체의 역동성을 간과하게 했고 비평적 포스트모더니즘과 같은 1970년대 이후의 일련의 이론적 논의들은 역사, 이론, 미학의 중첩되는 영역 속에서 지속적인 변화의 동력을 제공하는 사진의 담론적 공간을 재고하게 했다. 본 연구는 사진적 모더니즘에 관한 논의를 살펴보고 이를 비평적인 관점에서 분석하는 가운데 지속적으로 변모하는 사진의 매체적 조건과 담론적 공간에 대해 사유하는 기회를 제공했다. This study have approached the discussion of photographic modernism through formalist photography andimportant exhibitions shown in Museum of Modern Art, to construct the position of photography as a modernist medium. And then we observed critically the discursive space of photographic modernism through a discussion on photographic history and discourse. The photographic modernism had emphasized the photography itself and its inherent essence and .has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a photographic discourse conformed with Greenberg``s Modernism, based in medium-specific and formalist position and in addition, the effort to give a legitimacy as an artistic medium, to construct the history faced with the art. But these discussions has made to ignore the diverse photographic practices and dynamics and The discussions after 1970s like a critical postmodernism has made to reconsider a complexity and diversity of photographic discourse which has offered the dynamics of continuous change in the intersection of history, theory and aesthetics. This study has offered the opportunity to think of a photographic discursive space and medium condition, through a critical discussion on photographic modernism.

      • KCI등재
      • KCI등재

        이론적 대상으로서의 사진: 지표성에 관한 재고를 중심으로

        손영실 ( Young Sil Soh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6 기초조형학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지표성을 크라우스의 논의를 출발점으로, 1960, 70년대 현대 미술에서의 다양한 사진적 실천 속에서 고찰하며 지표의 새로운 측면들을 밝혀내고 지표의 개념을 의미작용, 매체 특정성 등의 논의와 연계하여 다루었다. 퍼스의 기호 이론에 기반한 기호로서의 지표는 사진 이론 논의에서 핵심적인 개념으로 남아있는데 크라우스는 지표의 재발견 이후 이를 70년대의 현대 미술을 설명하는 유용한 개념적인 틀로 상정하며 사진과 현대미술과의 관계성을 연구했다. 그녀의 지표에 관한 관심은 그린버그의 매체 특정성에 관한 논의를 반박하는 차원에서 출발했고 이에 관한 논의는 1990년대 이후 현대 이론가들이 푼크툼, 사진의 의미작용, 매체 특정성에 관한 새로운 고찰을 할 수 있는 풍부한 논의의 출발점을 제공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사진적 실천을 단순화하고 과도하게 편중시키는 오류를 드러내기도 했고 도상으로서의 사진 개념에 다가가 있는 디지털 시대의 현대 사진을 설명할 수 있는 충분한 도구가 되지 못한다. 본 논문은 지표에 관한 논의를 재해석하면서 지표의 새로운 차원인, 수행성, 대체되는 의미에 관한 분석과 지표의 논의를 벗어나는 푼크품과 매체 특정성에 관한 재논의를 통해 매체를 재정의하며 진화하는 사진의 특성과 이론적 대상으로서의 사진을 재고하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했다. This study has observed the discussion of indexicality through diverse photographic practices in contemporary art of 1960s and 1970s, starting from the discussion of Rosalind Krauss and has discovered a new aspect of index and dealt the concept of index in association with signification, medium specificity and etc. Index, as a sign based on Peirce`s theory, remains a core concept in the discussion of photography theory and Krauss has studied the relationality of photography and contemporary art, considering the concept of index as a useful tool of explaining contemporary art of 1960s and 1970s. Although her interest of index had originated from the objection of Greenberg`s discussion of medium-specificity, but it has offered a starting point of abundant discussion of rethinking frame, punctum, signification, medium specificity. But on the other hand, it showed the mistake to simplify photographic practices and place too much emphasis on index and is not a enough tool to explain a contemporary photography in a digital environment which is related so much with the concept of photography as a icon. This study, through the reinvestigation of index by Krauss, has elaborated the expansion of the photographic, including diverse photographic practices and the evolving characteristics of photography which redefines a medium itself and offered to reconsider a photography as an object of theory.

      • KCI등재

        ‘사진적인 것’의 진화 : 1980년대 이후의 타블로 사진을 중심으로

        손영실 ( Sohn Young Sil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7 기초조형학연구 Vol.18 No.6

        본 연구는 198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등장한 타블로 사진이 대형 사이즈, 컬러 프린트의 적용과 사진과 관람객의 대면적 경험을 강조하며 자율적인 형식으로 정립되는 가운데 전통적인 사진 체계로부터 분리를 가속화시키며 픽처로서의 사진의 위상을 부여했음을 보여주었다. 타블로 사진의 대표적인 작가인 제프 월, 토마스 루프, 토마스 스트루스, 안드레야스 구르스키의 사진들은 지표성에 기반한 사진 이론 논의의 무력함을 드러낸다. 새로운 타블로 사진은 회화의 의미화 방식을 지향하면서도 작품과 관객 간의 강화된 거리를 통해 관람자와의 새로운 관계를 형성하는 방식의 타블로의 사진적 재구축을 통해 사진으로서의 예술을 지향한다. 1990년대 디지털 기술이 보편화되면서 사진에서 지표성을 넘어선 도상적 전략의 논의가 가속화되는 가운데 타블로 사진은 새로운 사진적 모델로 구축되며 상호학제적(interdisciplinary) 특성과 재현물인 동시에 인공물로 의도된 사진 이미지의 파라독스한 측면을 통해 사진적 재현의 문제를 급진화하고 사진 매체의 예술적 확장을 위한 인터페이스로 작용하며 사진적의 것의 진화를 보여주었다. This study have pursued the evolution of the photographic begun from the sudden transition by new art photography of tableau form after 1980s. Tableau photography is characterized by big size, color print, edition, without regard to traditional photographic practices. The artists such as Jeff Wall, Thomas Ruff, Thomas Struth, Andreas Gursky had started this tendency and revealed feebleness of the theoretical discussion of photography concerning index. Tableau photography has aimed the way of signification of painting and also asserted the unicity as photography and approached art as photography more than photography as art.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in 1990s has accelerated the discussion of iconicity beyond indexiality. Tableau photography constructed as a new photogrpaic model, have evolved, radicalizing the problem of representation with interdisciplinary and paradoxical aspect.

      • KCI등재

        사진의 메타 역사 정립을 위해

        손영실 ( Young Sil Soh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0 기초조형학연구 Vol.11 No.6

        사진사의 메타 역사에 관한 논의를 통해 우리는 대략의 사진사의 지형도를 그려볼 수 있었다. 사진 역사의 범위는 새로운 재료들을 포함하고 핵심적인 상호 학제적 장을 전제하는 새로운 분석적인 도구를 포함하면서 확대되었고 사진사의 저술은 좀 더 다양한 동인들을 흡수하며 각 사진가들의 작품들에 대한 정확한 평가를 내리기 위한 노력을 해왔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근대 미학 이론은 예술의 자율성에 초점이 맞춰져 왔지만 원근법, 사진, 가상 현실에 관한 논의가 사진의 장에 흡수되기 시작하면서 사진적 담론의 발전은 예술, 과학, 개념, 문화가 깊이 혼재된 역사로 진행될 것임을 예측하게 한다. 따라서 사진사는 철학적인 측면에서는 이런 하이브리드한 형태의 인식론적, 존재론적 위치를 의문시해이만 한다. 사진은 확실히 역사적 도큐먼트를 확장시켰고 사진의 역사는 현대 역사 전체 속에서 자신의 자리를 고수하며 아날학파(Annales)에 의해 지지된 새로운 역사에 기여했다. 여기서 사진의 역사는 일반화된 역사 속에서, 역사의 이러한 개념 체계 제공 속에서 그 역할을 해 왔다. 본고는 각각의 범주로서의 사진사들은 위계적으로 구획될 수 있으며 각각의 사진사들 간의 거리와 인접성을 관념적으로 사유할 수 있게 하며 사진사의 체계화를 돕는 것과 동시에 앞으로의 사진사 저술의 방향을 제시하고 사진의 메타 역사 구성을 위한 토대를 제공하고자 했다. We have assumed the map about the history of photography through the discussion about meta-history about the history of photography. The domain of history of photography has been extended, absorbing the new analytic tool the inter-disciplinary integral domain with new material. The writing on the history of photography has absorbed more diverse factors and pursed the adequate evaluation. The modem aesthetic theory have focused on the autonomy of art and the development of photographic discourse will be directed as the mixed histories between art, science and concept, culture, absorbing the virtual reality. Therefore the history of photography must ask the epistemological, existential position of this kind of hybrid form in the philosophical context. Photography has extended the historical documents and the history of photography has contributed to the new history supported by the School of the Annales. The photographic history has played the role by providing system of the conception of history in the generalized history. This study has tried to provide the basement for the meta-history, by classifying the photographic history as such, helping to think of the proximity and distance from histories of photography through the more multi-directed discussion and indicating the way of writing the photographic histor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