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FAST program 과 중등 과학 교과서 의 탐구 활동 비교 분석

        손연아,이학동 한국과학교육학회 1994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1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whether the FAST program is the Inquiry Science Curricular Materials, through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Inquiry Activities between the FAST program and our Secondary Science Book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FAST has 226 tasks of the Inquiry Activities, which is analyzed over two times than our text. 2. In level one, FAST holds the parts of Synthesizing Results and Evaluation, Hypothesizing and Designing an Experiment but these aren`t found in our text. 3. In level two, our text is analyzed No Discussion 72.2%, Demonstraing or Verifying the Content of the Text 82%, but FAST has Discussion Guided 81.8, and isn`t found any tesk of Demonstrating or Verifying the Content of the text. 4. In level three, our text is exposed a typical type I and analyzed Inquiry Index 15-25 (Middle), but FAST is found type IV, excepting Manipulating Apparatus and Observation and analyzed Inquiry Index over 35 (Very - High). Therefore, FAST Program is proved to be the desirable Inquiry Science Curricular Materials. In future, this worker is to arrange the results of the following paper as follows ; 1. The verification of the FAST Program by means of the Integrated Science Curricular Materials. 2. The development of the Inquiring, Integrated Science Curricular Materials through the results of the preceding study.

      • KCI등재

        초·중등학교에서 진행되는 환경 관련 수업의 현황 분석

        손연아,박정은,민병미,최돈형 한국환경교육학회 2007 환경교육 Vol.2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atus of environment-related teaching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the study. Items in the questionnaire were developed based on the theory of environmental education and integrated education. The questionnaire was responded to 501 elementary school teachers, 273 middle school teachers, and 210 high school teachers in the city of Seoul and Kyunggi Province. The survey analysis revealed that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recognized 'environmental action skills' as the most important objective for school environmental education. Contrary to the teachers' expectations, it was found that there is insufficient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for teaching in the domain of 'environmental action skills' and they could not confidently teach the skills in environment-related classes.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of teachers in integrated environmental education, pre- and in-service programs will be developed systematically in a workshop to give teachers an opportunity to analyze teaching materials, design instruction plan, perform class trial, and evaluate the class situation for feedback.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serve as a basic reference for improvement of environment-related subject education.

      • KCI등재

        기후위기 주제 지속가능발전교육 수업 설계와 실행에 있어서 예비과학교사들이 갖는 경험 분석 : 상호동료교수법 적용을 중심으로

        손연아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2021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Vol.14 No.3

        이 연구에서는 예비교사들이 기후위기 주제 교육자 료를 재구성하고, 상호동료교수법 활용을 통해 팀별로 수업실연 준비와 실제로 수업실연을 하는 과정에서 나 타나는 특징을 심층 분석하여, 과학관련 사회 이슈를 다루는 지속가능발전교육 교사 전문성 함양을 위한 시 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예비과학교사들 은 교육과정을 횡적으로 분석하여 교과통합적인 요소 를 추출해내는 전문성은 갖추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 나, 이를 실제 수업실연을 통해 사회문제해결 과정과 통합시켜 융합적인 과학수업을 실행하는 것에는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 연구를 통 하여 예비과학교사들은 상호동료교수법 활용 수업실 연 준비 및 경험을 바탕으로 현장과학교사가 되었을 때, 자신만의 특화된 전문성을 갖는 것의 중요성을 생 각하게 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연구에서 적용한 상 호동료교수법 활용을 통해 다양한 전공의 예비교사들 이 서로의 전문성을 공유하면서 융합수업 설계와 실행 의 과정을 함께 경험할 수 있도록 기회를 주는 것은 예비교사들의 융합교육 교사전문성 향상에 크게 도움 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This study is to implicate for analyzing the expertise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SD) dealing with science-related social issues by reorganizing educational materials on climate crisis topics and analyzing in-depth class performance preparation and actual class by pre-service science teacher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pre-service science teachers have the expertise to analyze the curriculum horizontally and extract subject-integrated elements, but it is difficult to perform convergent science classes by incorporating them into the social problem-solving process in actual classes. In addition, it was analyzed that through this study, pre-service science teachers came to think about the importance of having their own specialized expertise when they become school teachers through preparation for their classes integrating science-related social issues.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reciprocal peer teaching applied in this study, giving pre-service science teachers of various expertise an opportunity to experience the process of designing and implementing integrated science classes while sharing their expertise will greatly help them improve their convergence education.

      • KCI등재

        예비과학교사들의 지속가능발전교육 전문성 향상을 위한 교육실행 분석 : 지속가능한 행복과 복잡성 이론 접목을 중심으로

        손연아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2022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Vol.15 No.3

        이 연구에서는 예비과학교사들이 지속가능한 행복 개념과 복잡성 이론을 구성하고 있는 주요 요소들을 초점으로 하여 과학교육과 지속가능발전교육을 통합 한 수업자료와 수업시연을 분석하고, 이러한 교육실행 에 참여하기 전과 후의 인식 변화를 다각도로 분석하 였다. 이를 바탕으로 예비과학교사들이 지속가능발전 교육의 다차원적인 교사전문성을 키우기 위한 시사점 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보면, 먼저 예 비과학교사들이 설계한 수업자료와 수업시연에 대한 동료평가 결과, 지속가능한 행복 접목에 대한 평균이 복잡성 이론 요소들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지속가능한 행복과 복잡성 이론의 요소들은 전반적으로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요소들과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예비과학교 사들은 연구에 참여한 이후, 개인과 사회의 행동 양식 을 배우고 실천하는 것을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의미로 중요하게 생각하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과학 교육과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접목할 필요성에 대해, 예 비과학교사들은 지속가능한 삶의 방식을 이해하기 위 한 지속가능한 행복 개념을 과학교육에서도 다룰 필요 가 있다고 생각하였다. 한편, 지속가능한 행복과 복잡 성 이론의 요소들은 전반적으로 지속가능발전교육과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예비과학교사들이 과학수업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접목하는데 있어서의 자신감은 연구에 참여하기 전보 다 참여 이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예비과학교사들이 기존에 가졌던 과학 교사에 대한 지향점으로 학생들과의 소통과 행복한 삶 을 함께 생각해볼 수 있는 교사의 역할을 좀 더 생각 하게 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전체적으로 예비과학교사 들은 지속가능한 행복 개념과 복잡성 이론의 요소를 접목한 과학교육과 지속가능발전교육의 통합이라는 새로운 교수학습 전략의 관점을 실제 수업시연에 적용 해봄으로써, 좀 더 다차원적인 과학교사 전문성을 갖 추게 된 것으로 생각된다. In this study, class demonstrations conducted integrating science education and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SD)' by pre-service science teachers were analyzed, focusing on the concept of 'sustainable happiness' and the main elements of 'complexity theory'. In addition, changes before and after participating in such education implementation were analyzed from various angles. Through this, pre-service science teachers tried to derive implications for developing multidimensional teacher professionalism in ESD.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peer evaluation of class materials and class demonstrations designed by pre-service science teachers, the average of the integration for ‘sustainable happiness’ was relatively high. Next, it was analyzed that the elements of ‘sustainable happiness’ and 'complexity theory' generally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ESD. In addition, after participating in the study, pre-service science teachers considered individual and social behavioral patterns as important in the sense of ESD. Regarding the need to integrate science education and ESD, pre-service science teachers thought it was necessary to deal with the concept of ‘sustainable happiness’ in science education to understand a sustainable way of life. It was analyzed that the elements of 'sustainable happiness' and 'complexity theory' generally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ESD. It was found that pre-service science teachers' confidence in incorporating ESD in science classes was significantly higher after participation in the study. In addition, it was analyzed that pre-service science teachers have come to think more about the role of teachers who can communicate with students and think about happy lives together than before. Overall, it is thought that pre-service science teachers have come to think of multidimensional science teacher professionalism by applying the perspective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y of the new ESD, which integrates the concept of ‘sustainable happiness’ and elements of ‘complexity theory’.

      • KCI등재

        환경 이슈에 대한 ESG기업 태도와 제품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손연아,우미원,전종우 한국광고홍보학회 2023 광고연구 Vol.- No.136

        Based on the perception of climate change, this study explores the factors affecting attitudes towardESG companies and purchase intentions of ESG companies' products. A survey was conductedon the general public to investigate personal characteristics, media use, and perception of seriousness.As a result of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women's attitudes toward ESGcompanies were favorable and their purchase intentions were high. People with high social conformityshowed high purchase intention. Social conformity did not affect attitude toward ESG companies.It was found that political orientation did not affect both company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s.In the case of media use, only news use had an effect on both attitudes toward companies andbehavioral intentions. People with a high perception of the seriousness of climate change have afavorable attitude toward ESG companies and a high purchase intention. These results have academic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antecedent factors constituting consumers' perceptions of corporateESG activities. 본 연구는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ESG기업에 대한 태도와 ESG기업의 제품에 대한 구매의도에 미치는 요인에 대한 탐구한 것이다.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여 개인적인 특성과 미디어 이용, 심각성 지각에 대해 조사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여성들이 ESG기업에 대한 태도도 호의적이고 구매의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순응이 높은 사람들은 구매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순응은 ESG기업에 대한 태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정치 성향은 기업태도와 구매의도 모두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이용의 경우 뉴스이용만이 기업에 대한 태도와 행동의도에 모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기후변화에 대한 심각성 지각이 높은 사람들은 ESG기업에 대한 태도도 호의적이고 구매의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기업의 ESG 활동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을 구성하는 선행요인에 대해 학문적인 의미가 있으며 실무적으로 시사점을 찾아볼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재적응형 대안교육 고등학교의 과학실험수업과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 분석 -일반계 고등학교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손연아,지덕영,김태훈,이미혜,민병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08 敎員敎育 Vol.24 No.4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observe science classes and to determine students' attitudes as an examination of science education in Specialized High School for Alternative Education and in General High School. Three science classes (one class for Alternative School, two classes for General School) were chosen for science laboratory class observations. A 5-point Likert scale examination on students' science attitudes was developed based on Lee (1998). The science laboratory class observations reveal that two schools had unique features. This was especially evident in the way teacher introduced basic inquiry skills (observation, classification, measurement) in classroom experiments in Specialized High School for Alternative Education. Examination of student attitudes indicated that students in both schools prefer classes oriented toward experimentation rather than lectures.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provide a basic reference in improving science education in Specialized High School for Alternative Education. 본 연구에서는 재적응형 대안교육 고등학교인 D고등학교와 일반계 고등학교인 Y고등학교의 과학과 교육과정 분석, 과학실험수업 분석, 과학/과학실험에 대한 학생 특성을 비교하였다. 이를 위하여, 두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과학 수업을 관찰ㆍ분석하고, 수업을 담당한 교사와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과 면담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두 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과학 및 과학실험활동에 대한 태도를 분석하였다. 두 학교의 과학실험수업을 분석한 결과, D고등학교에서는 Y고등학교보다 수업시 학생들의 의견에 좀 더 수용적인 반면, 실험활동의 전 단계를 교사 주도로 이끌어가는 측면에서 일반학교 보다 교사의존적인 수업분위기를 나타냈다. 다음으로 과학에 대한 태도를 분석한 결과, 살아가면서 과학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정도와 과학을 신뢰하는 정도가 Y고등학교가 D고등학교보다 좀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과학실험활동에 대한 태도 분석 결과, 두 학교 학생들 모두 과학실험과 같은 탐구활동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재적응형 대안교육 고등학교 교사와 학생들의 요구에 부합하는 과학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의미있는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