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후위기 주제 지속가능발전교육 수업 설계와 실행에 있어서 예비과학교사들이 갖는 경험 분석 : 상호동료교수법 적용을 중심으로

        손연아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2021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Vol.14 No.3

        이 연구에서는 예비교사들이 기후위기 주제 교육자 료를 재구성하고, 상호동료교수법 활용을 통해 팀별로 수업실연 준비와 실제로 수업실연을 하는 과정에서 나 타나는 특징을 심층 분석하여, 과학관련 사회 이슈를 다루는 지속가능발전교육 교사 전문성 함양을 위한 시 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예비과학교사들 은 교육과정을 횡적으로 분석하여 교과통합적인 요소 를 추출해내는 전문성은 갖추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 나, 이를 실제 수업실연을 통해 사회문제해결 과정과 통합시켜 융합적인 과학수업을 실행하는 것에는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 연구를 통 하여 예비과학교사들은 상호동료교수법 활용 수업실 연 준비 및 경험을 바탕으로 현장과학교사가 되었을 때, 자신만의 특화된 전문성을 갖는 것의 중요성을 생 각하게 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연구에서 적용한 상 호동료교수법 활용을 통해 다양한 전공의 예비교사들 이 서로의 전문성을 공유하면서 융합수업 설계와 실행 의 과정을 함께 경험할 수 있도록 기회를 주는 것은 예비교사들의 융합교육 교사전문성 향상에 크게 도움 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This study is to implicate for analyzing the expertise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SD) dealing with science-related social issues by reorganizing educational materials on climate crisis topics and analyzing in-depth class performance preparation and actual class by pre-service science teacher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pre-service science teachers have the expertise to analyze the curriculum horizontally and extract subject-integrated elements, but it is difficult to perform convergent science classes by incorporating them into the social problem-solving process in actual classes. In addition, it was analyzed that through this study, pre-service science teachers came to think about the importance of having their own specialized expertise when they become school teachers through preparation for their classes integrating science-related social issues.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reciprocal peer teaching applied in this study, giving pre-service science teachers of various expertise an opportunity to experience the process of designing and implementing integrated science classes while sharing their expertise will greatly help them improve their convergence education.

      • KCI등재

        통합과학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설계의 이론과 실제

        손연아,최돈형,Pottenger, Francis M.,King, Arthur,Young, Donald B. 한국과학교육학회 2001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21 No.1

        현재 세계 여러 나라는 학교교육을 통해서 어떻게 하면 학생들에게 광대한 양의 지식정보에서 자신이 필요한 지식을 선별하여 활용하는 방법과 과정, 그 지식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도덕적 ·윤리적으로 가치를 평가할 수 있는 방법과 과정, 이러한 가치평가 결과에 인간답게 대처할 수 있는 방법과 과정 등을 가르칠 수 있는가에 고심하고 있다. 이러한 세계적인 교육의 추세에 따라 과학교육도 미래를 장기적으로 대비하기 위한 개혁의 중심에 서 있다고 할 수 있다. 즉, 학교 과학교육을 통해서 학생들은 과학을 통합적이고 전체적인 지식체계 내에서 이해할 수 있어야 하며, 민주주의 사회 속에서 과학적 사업과 개인생활의 다른 측면들 간의 관계성을 충분히 이해하여 미래에 진정한 민주시민이 될 수 있는 바탕을 마련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통합과학교육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서는 학교 현장에서 실제로 적용할 수 있는 통합과학 교육과정이 개발되어야 함은 자명한 일이다. 그러나 교육과정 개발 이전에 반드시 먼저 숙고하여야 할 것은, 어떻게 여러 교육과정 이론들을 교육과정 실제와 연관지어 통합과학 교육과정을 개발할 수 있는지에 대해 규명해줄 수 있는 "통합과학 교육과정 설계이론"을 정립하는 일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관점에서 이루어졌으며,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에 대한 이론과 실례를 제시하였다. ·통합과학 교육과정을 설계할 때 적용할 수 있는 "지식중심 기초이론" (knowledge-based theory)은 무엇인가? ·통합과학 교육과정을 설계할 떼 적용할 수 있는 "학교중심 기초이론" (schooling-based theory)은 무엇인가? ·지식중심 기초이론, 학교중심 기초이론, 그리고 통합과학 교육과정 설계이론 간의 관계성은 무엇인가? ·실제로 상기의 이론들을 적용하여 통합과학 교육과정을 설계할 때 활용할 수 있는 준거 틀은 무엇인가? ·실제로 통합과학 교육과정을 설계할 때 포함시켜야 할 필수적인 구성 요소들은 무엇인가? ·어떻게 상기의 구성요소들을 기초로 통합과학 교육과정 설계이론을 정립할 수 있는가? ·상기의 통합과학 교육과정 설계이론을 실제적으로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 설계이론 내의 구성요소들과 연관지어 예시 · 설명할 수 있는 통합과학교육 프로그램은 무엇인가? Our world is becoming one of globalized sharing of a vast knowledge reservoir, and much of this knowledge is the product of science and associated technology Worldwide. nations have responded with new formulations of goals and standards for education, hoping to meet the challenge of vast new knowledge and the need for a citizenry capable of assessing, creating moral and ethical evaluation of social implications, and responding humanely to those implications. Envisioned in these reforms is a program for scientific literacy that balances conceptual understanding, skills, and application and presents a view of a socially and conceptually integrated science composed of disciplines. Experience exists for the creation of disciplinary curriculum ; however, historically few science curricula have been successful in representing the desired ideas of integrated science. To achieve these national goals curriculum designers must believe in the importance of integration and must begin conceptualizing the part to be played by integrated science curriculum (ISC) in the total science program. Most difficult to solve will be the problem of how to develop and implement ISC. This will require a new curriculum design theory that will achieve goals; guide identification of the concepts, principles, and theories to be included in an integrated science framework; and direct development of a system of supportive pedagogy and instruction. In search of such theory key questions discussed here are ·What knowledge-based theory of design can support ISC? ·What schooling-based theory of design can support ISC? ·What are the relationships between knowledge-based and schooling-based theories and curriculum design theory in ISC? ·What kind of operational framework will support development of ISC theory? ·How can one select components of ISC design? ·How can one design an ISC theory based on the above components? ·What program can be used to illustrate an ISC that is in keeping with the above curriculum theory?

      • 과학과 통합교육과정의 이해와 운영의 실제

        손연아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09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4 No.-

        과학교육에서 통합교육에 대한 가치와 필요성에 대해서는 많은 사람들이 의견을 같이하고 있으나, 통합과학을 하나의 학문으로 정립하기 위한 연구 노력, 현장 과학교육에서 통합교육 실시의 상황적 어려움과 그 해결책에 대한 논의, 통합교육의 현장 실현성을 위한 조건과 개인적·국가적 노력 등에 대한 연구는 적극적으로 진행되지 못하고 있다. 그동안 ‘통합과학’ 관련 관점이 과학교사의 개인적 신념으로만 받아들여, 국가 교육과정에서 표방하는 관점이나, 새로운 교수학습 방법론의 요구에 유연하게 대비하지 못하는 심각한 문제점이 오랜 기간 동안 그대로 남아 있는 실정이다. 본 발표에서는 과학과 통합교육에 대한 이론적 논의와 더불어 실제 통합과학 수업을 위한 교수학습 설계 전략, 이를 위한 교사전문성 향상 노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국제적으로 인정받고 있는 미국의 초·중등 통합과학교육 프로그램을 소개하여 우리나라 통합과학교육의 현장 적용을 위한 시사점을 찾고자 한다.

      • KCI등재

        환경 이슈에 대한 ESG기업 태도와 제품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손연아,우미원,전종우 한국광고홍보학회 2023 광고연구 Vol.- No.136

        Based on the perception of climate change, this study explores the factors affecting attitudes towardESG companies and purchase intentions of ESG companies' products. A survey was conductedon the general public to investigate personal characteristics, media use, and perception of seriousness.As a result of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women's attitudes toward ESGcompanies were favorable and their purchase intentions were high. People with high social conformityshowed high purchase intention. Social conformity did not affect attitude toward ESG companies.It was found that political orientation did not affect both company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s.In the case of media use, only news use had an effect on both attitudes toward companies andbehavioral intentions. People with a high perception of the seriousness of climate change have afavorable attitude toward ESG companies and a high purchase intention. These results have academic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antecedent factors constituting consumers' perceptions of corporateESG activities. 본 연구는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ESG기업에 대한 태도와 ESG기업의 제품에 대한 구매의도에 미치는 요인에 대한 탐구한 것이다.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여 개인적인 특성과 미디어 이용, 심각성 지각에 대해 조사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여성들이 ESG기업에 대한 태도도 호의적이고 구매의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순응이 높은 사람들은 구매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순응은 ESG기업에 대한 태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정치 성향은 기업태도와 구매의도 모두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이용의 경우 뉴스이용만이 기업에 대한 태도와 행동의도에 모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기후변화에 대한 심각성 지각이 높은 사람들은 ESG기업에 대한 태도도 호의적이고 구매의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기업의 ESG 활동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을 구성하는 선행요인에 대해 학문적인 의미가 있으며 실무적으로 시사점을 찾아볼 수 있다.

      • KCI등재

        중학생의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주는 변인연구

        손연아,신수지,손은령 한국진로교육학회 2014 진로교육연구 Vol.2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 variable affecting to career identity. This research used 2,713 people data of 9th grade that are provided from Korean Children & Youth Panel. In particular, we conducted HLM(Hierarchical Linear and Nonlinear Modeling) to examine a factor that is whether there is person level or school level effect. And it is used Frequency Study to ascertain experience and satisfaction in activities. Also, it was analysed by MRA(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ascertain factor related self-esteem, ego identity, life satisfaction, the goal of life, emotion, abuse & neglect.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chool level has found that there is no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Intra-class Correlation(ICC). Second, the goal of life has a higher effect size than others in the factor affecting career identity. Next in order of life satisfaction, ego identity, emotion, study habits, self-esteem, peer attachment, abuse & neglect. Third, students doesn't participate in activities more than 80% but students participating in activities are satisfied with them. 본 연구는 중학생의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주는 변인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에 한국정책연구원에서 수집한 한국․아동청소년패널에서 제공받은 중학교 3학년 2,173명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특히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개인 간에 존재하는지 학교효과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선형모형(HLM)을 활용하여 기초모형을 확인하였고, 체험학습활동이 진로와 관련이 있다는 선행연구의 검토에 따라 체험활동현황을 기술통계분석으로 확인하였다. 또,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주는 변인을 알아보기 위해 개인발달환경영역의 변인인 자존감, 자아정체감, 삶의 만족도, 삶의 목표, 정서, 학대방임, 또래애착, 학습습관, 학교생활적응을 중다회귀분석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집단 내 상관계수(ICC)를 확인한 결과 중학생의 진로정체감은 학교 수준에서 설명되는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주는 개인발달환경영역의 변인에 대해서는 삶의 목표>삶의 만족도>자아정체감>정서>학습습관>자존감>또래애착>학대방임 순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체험활동은 80%이상이 대부분 참여하지 않는 것으로 응답하였고, 체험활동에 참여한 학생들 중 90%이상은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통합성의 관점에서 본 지속가능발전교육 실천 교사연구회 적용 수업모델 분석

        손연아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문화연구 Vol.2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tegration of th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SD) instructional models applied by the ESD Practice Teacher Association in 2016 and to find out the implications of improving secondary school teachers' professionalism in the integrated ESD. As a result of the study, 2 4 instructional models were analyzed with among the 50 models which incorporate the integration into the ESD model. More than half of the instructional models have integrated 'shared' integration type. The subjects that a re integrated into the instructional models applied to the teacher's group for the integration of the subject, the integration of 'environmental, social, and science' subjects showed remarkably. Only about 38% of the instructional models have been combined with time and spa ce dimensions, and about 29% of the instructional models with ethical and moral thinking. Therefore, at the beginning of the application of ESD at the national level, we developed the program development and diffusion efforts to expand awareness about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ESD.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more support should be provided for teachers' professionalism in the development an d appl ication of instructional models for integrated education. 이 연구에서는 2016년 교육부에서 운영한 중학교와 고등학교 지속가능발전교육 실천 교사연구회에서 적용한 지속가능 발전교육 수업모델에 대한 통합성을 분석하고, 앞으로 통합성이 높은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해 학교현장에서 어떤 노력을 해야 하는지를 다각도로 파악하여 중등교사의 통합적인 지속가능발전교육 전문성을 향상시키는데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우선 사전연구를 통하여 지속가능발전교육 수업모델에 통합성을 접목하여 수업을 구성하고 적용한 연구회의 수업모델은 전체 50개 수업모델 중에 24개 수업모델로 분석되었다. 실제적으로 통합성의 특징을 분석한 수업모델 24개에 대한 분석 결과를 보면, 과반수이상의 수업모델에서 ‘공유형’의 통합 유형을 접목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교과 통합을 위해 교사연구회 적용 수업모델에 접목한 교과를 분석한 결과, ‘환경, 사회, 과학’ 교과의 통합이 눈에 띄게 많이 나타났다. 한편 지속가능발전교육의 다원적인 접근과 윤리 가치적인 경험에의 참여와 실천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연구대상이 된 수업모델의 약 38% 정도만이 시간과 공간적인 차원을 함께 접목하였고, 약 29% 정도의 수업모델에서 윤리적이고 도덕적인 사고와 더불어 자신의 가치관을 생각해보는 활동을 포함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국가차원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의 학교현장 적용 초기에 강조하였던 지속가능발전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에 대한 인식 확대를 위한 교사 프로그램 개발과 확산 노력에 더하여, 향후에는 통합성이 높은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수업모델 개발과 적용에 대한 교사 전문성을 갖추기 위한 제반 지원이 좀 더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예비과학교사들의 과학과 예술 융합 수업 준비와 시연과정에서의 STEAM 교육에 대한 인식 변화 및 수업 분석과 피드백 : 영화와 연극 접목 융합 수업을 중심으로

        손연아 韓國生物敎育學會 2012 생물교육 Vol.4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pre-service science teachers' perception of STEAMeducation and science and art STEAM class by pre-service science teachers. 12 pre-service scienceteachers at college of education and 6 school teachers who have professional careers of STEAMeducation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participated in this study. 11 research's steps wereapplied to this study: analyzing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perception on STEAM class beforethis study→lecture of STEAM education by researcher→analyzing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perception on STEAM class after lecture of STEAM education→first workshop for design of scienceand art class→self & peer group feedback and interview→second workshop→microteaching andvideo-taping on the class of science and art→self and peer group evaluation→analyzing of preservicescience teachers' changed perception on STEAM class→analyzing of video-taping on theclass of science and art by science teacher STEAM professional group→analyzing of instructionalprocess applying in this study to develop science and art class professionalism. This study could helpthat pre-service science teachers and school science teachers find significant suggestions to designand teach science and art class for STEAM education.

      • KCI등재

        초등교사의 환경관련 수업에 대한 교사전문성

        손연아,김경란,민병미,최돈형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05 초등과학교육 Vol.2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rofessionalism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o draw out factors which elementary teachers should try to improve their professionalism for environmental education. For the study, both Quantitative analysis and qualitative methodologies were applied: First, randomly selected 483 elementary teachers from Seoul and Gyeonggi self responded to 5 evaluation areas by Hungerford et al. (1994) to evaluate their environmental education professionalism through the use of five point Likert scale. Second, 2 elementary teachers' environmental classes were observed for the purpose of analyzing strengths and weaknesses in classroom instruction, and then the results of self-evaluation on environmental education professionalism and teacher professionalism as shown in the classes were compared. It was found that 483 elementary teachers including 2 teachers for analyzing classroom instruction who performed a self-evaluation gave themselves mid-scores on the Hungerford et al.'s 5 evaluation areas. However, the result of self-evaluation did not correspond with the result of actual class observation and teacher interview. That is, the actual environmental classes conducted by 2 teachers did not seemed to reflect the evaluation areas which were the foundation of the study: the conceptual awareness, the investigation & evaluation, environmental action skills, and educational appli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the basis reference to develop teaching-learning program and in-service programs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of teachers for successful applicat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clas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