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6세기 후반~17세기 전반 寺刹의 존립 실태 (1) - 경상도 지역 私撰 邑誌 ‘佛宇’ 조의 검토 -

        손성필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2019 南道文化硏究 Vol.0 No.36

        The Eupji, private local geography in the Late 16th Century to the Early 17th Century on Gyeongsang-do areas include Hamju-ji (Haman), Yeongga-ji (Andong), Jinyang-ji (Jinju), Sangsan-ji (Sangju), and Ilseon-ji (Seonsan). These Eupji have records of Buddhist temples. The study reviewed these records to understand the reality of the temples at that time. A brief summary of the results of the review follows: First, in the late 16th and early 17th centuries, the number of temples was far higher than the 1,600 listed in Dongguk-yeojiseungram, an official national geography. Second, there were not many Confucian educational institutions such as Seowon and Seodang in the region during this period. So the influence of the temple must have been great. Third, many temples were destroyed by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the late 16th century before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there were more temples and more activities such as publishing Buddhist books than after the war. Fourth, the diversion to public institutions and Confucian educational institutions was not the main reason for the ruin of the temple. Fifth, during this period, temples were maintained and rebuilt with the participation of various layers, such as bureaucrats, aristocrats and commoners. Therefore, a detailed study on the aspects of Buddhist temples being maintained in the local community during the Joseon Dynasty is needed. 이 논문은 16세기 후반~17세기 전반에 편찬된 현존하는 경상도 지역의 私撰 邑誌인『咸州誌』, 『永嘉誌』, 『晉陽誌』, 『商山誌』, 『一善誌』의 ‘佛宇’ 조에 대한 기초적인 검토를 통해 당시 사찰의 양적 실태와 존립 양상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연구 방법과 연구내용의 두 측면으로 나누어 검토 결과를 간략히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연구 방법의 측면이다. 첫째, 사찬 읍지의 불우 조는 『東國輿地勝覽』, 『東國輿 地志』 등과 같은 전국 지리지보다 수록 정보 및 기술 내용이 충실하다. 둘째, 사찬 읍지간에도 편찬 방침 및 수록 기준에 차이가 있고, 불우 조 수록 내용의 충실성에도 차이가있다. 셋째, 읍지에 따라 후대에 계속 추보하여 편찬된 경우가 있으므로, 해당 불우 조의정보가 어느 시기의 것인지 주의를 요한다. 넷째, 전국 지리지에는 해당 군읍의 사찰을대부분 수록한 것이 아니라 주요 사찰을 선별 수록한 것이다. 특히 『여지승람』은 ‘현존사찰 수록률’이 상대적으로 낮아, 현실에 존재하던 사찰이 다수 수록되지 않았으므로, 이 분야를 연구할 때 주의를 요한다. 다음으로 연구 내용의 측면이다. 첫째, 16세기 후반~17세기 전반 조선의 지역 사회에는 『여지승람』에 수록된 1,600여 개소를 상회하는 많은 수의 사찰이 존립해 있었다. 둘째, 16세기 후반~17세기 전반에는 아직 書院, 書堂 등이 사찰에 비해 지역 사회의경관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적었다. 셋째, 임진왜란으로 인해 많은 사찰이 망폐하였고, 그럼에도 다수의 사찰이 존립하였고 중창되었다. 임진왜란 이전인 16세기 후반에는 사찰의 수가 더 많았고, 불교서적 간행과 같은 사찰의 활동도 더 활발하였다. 넷째, 사찰건물과 遺址의 官司나 서원으로의 전용은 사찰 망폐의 주요 사유가 아니었다. 다섯째, 이 시기에도 사찰의 중창이 다수 이루어졌으며, 여러 계층의 참여로 여러 목적에 따라중창되었다. 이처럼 이 시기의 조선 사회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인적, 물적 토대없이 유지되기 어려운 사찰에 대해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으며, 유불 대립, 국가의억압 등의 이분법적 인식은 조선 사회의 이해에 유용하지 않아 보인다.

      • KCI등재

        Increased Temple Publication of Buddhist Texts in the Sixteenth and Seventeenth Centuries: Reading the Political and Cultural Significance of the Monastic Community

        손성필 서강대학교 종교연구소 2020 Journal of Korean Religions Vol.11 No.2

        The publishing of texts is a historical phenomenon with many social, political, intellectual, and cultural implications. In contrast to previous studies, this article adopts a quantitative method of examining the number of Buddhist texts published in each century and categorizing the texts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Moreover, the entire Chosŏn period is not characterized by anti-Buddhist state policies; rather, the shifting conditions of the temples are considered over the course of the centuries. Moreover, I consider the diverse factors that may have impacted the publication of Buddhist texts. Based on these methods, the findings contrast starkly with what has heretofore been understood about Chosŏn Buddhism over the sixteenth and seventeenth centuries. Based on a social and historical perspective, this study finds that the state policy on Buddhism and the publication output of Buddhist texts were entirely unrelated. Based on an examination of temple-published texts, it is found that Chosŏn temples selectively adopted from previous traditions, while after the Imjin Wars Buddhist institutions and culture came to be reformulated. Lastly, it is demonstrated how the temple publication of Buddhist texts was a precursor to the later popularization of book culture, the wide dissemination of texts, and the expansion of readership.

      • KCI등재

        15세기 강진 무위사의 국가적 위상 - 승정체제의 개혁, 운용과 관련하여 -

        손성필 동국대학교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22 동국사학 Vol.75 No.-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Seungjeong system, this paper examined the administrative status of Muwisa Temple in the 15th century. The main conten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uwisa Temple has been a temple belonging to the Seungjeong system since the early Goryeo Dynasty, but it became a general temple due to the reform of the Seungjeong system in 1406 and 1424. Second, the reform of the Seungjeong system in 1406 was not successful due to excessive attempts. This failure of the 1406 reform seems to have been the background of the 1424 reform. Third, in the 15th century, Suryuksa was a temple designated by the state or the royal family to pray for the repose of the ancestors. In the late 15th century, Muwisa Temple’s designation as Suryuksa was made at a time when the designation of Suryuksa by the state or the royal family increased. Therefore, research on individual temples in the 15th century needs to be conducted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the state system, and research on Seungjeong system in the 15th century needs to be supplemented through specific research on individual temples. 이 논문에서는 15세기 승정체제 개혁과 운용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15세기 무위사의 국가적 위상, 국가와 사찰의 상호관계에 대해 논해 보았다. 그 논의의 과정에서 1406년과 1424년 승정체제 개혁, 자복사, 수륙사 등에 대한 기존의 이해를 일부 수정·보완하기도 하였다. 주요 논의 내용을 간략히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무위사는 고려초기 이래로 승정체제에 소속된 ‘지정 사찰’이라는 국가적 위상을 대체로 유지해 왔으나, 1406년과 1424년의 승정체제 개혁으로 인해 ‘일반 사찰’이 되었다. 이에 무위사는 주지 임명, 사사전 지급 등을 통해 국가가 지원하고 관리하던 사찰에서, 국가의 지원과 관리를 받지 않는 사찰이 되었다. 그 자체적인 경제 기반의 유무나 확보에 따라 유지될 수도, 퇴락할 수도, 망폐할 수도 있는 일반 사찰이 된 것이다. 둘째, 무위사는 1406년 승정체제 개혁에 대한 1407년의 후속 조치에 따라 읍외의 ‘명산대찰’로서 읍내의 ‘자복사’를 대체하게 되었는데, 이 조치는 1412년 철회되었다. 1406년의 승정체제 개혁은 지방 군읍의 위계를 따른 승정체제의 대대적인 개편이 다소 무리하게 시도됨으로 인해 성공적이지 못했고, 이에 ‘읍내 자복사’의 혁거 여부가 계속 논란이 되었다. 1406년 개혁의 이러한 실패가 사실상 1424년 개혁의 배경이 되었던 것으로 보이며, 이에 1424년의 승정체제 개혁은 주요 ‘명산대찰’에 사사전을 분급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게 되었다. 셋째, 15세기에 ‘수륙사’는 국가나 왕실이 조종, 곧 선왕・선후들의 명복을 빌기 위해 지정한 사찰이었다. 15세기 후반에 국가나 왕실의 수륙사 지정은 증가하였고, ‘국행 수륙사’와 ‘내행 수륙사’의 구분이 모호하게 되었을 가능성도 있다. 무위사는 1476년경의 중창을 계기로 수륙사로 지정된 것으로 보이는데, 그 중창도 국가나 왕실의 일정한 지원 하에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없지 않다. 이처럼 15세기 후반 무위사의 수륙사 지정은, 승정체제 운용의 지속 하에 국가나 왕실의 수륙사 지정이 증가한 시기에 이루어진 것이었다. 그러므로 15세기 개별 사찰의 연구는 승정체제, 자복사, 수륙사 등의 국가 제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15세기 승정체체의 연구는 개별 사찰의 구체적인 사례 검토를 통해 보완될 필요가 있어 보인다.

      • KCI등재

        16세기 사찰판 불서 간행의 증대와 그 서지사적 의의

        손성필 한국서지학회 2013 서지학연구 Vol.54 No.-

        Bibliographical analysis on the existing Buddhist texts from the Joseon Korea suggests that the Buddhist society in the 16th century experienced a significant increase in quantity of published materials. In the 16th century, a great number of Buddhist texts were published and this period can be called as the era of Buddhist publication in the entire history of the Joseon Korea. In the 1530s, a significant quantity of Buddhist text was published and it was quadrupled compare to the earlier period. The size of Buddhist publication stayed unchanged till 17th century. In 20 years from 1570s to 1580s, before the 1592 Invasion of Hideyoshi, the publication quantity was doubled and a massive amount of Buddhist book was published during that time. Existing accounts of Buddhist history and general understandings of bibliographical history can not properly explain this phenomenon, the increase of Buddhist publication at the time. When one considers the publishing fashion of Confucian texts and Chinese publishing trend at the time, it is possible to assume that the 16th century witnessed the general increase of publication and popularization of book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duct an overall examination of the expanding tendency of the publication in the 16th century and elucidate its significance of the history of publishing culture. 본고에서는, 조선시대에 간행된 불서의 간행 시기를 분석함으로써, 16세기에 사찰판 불서의 간행량이 크게 증대되었음을 밝히고, 그 서지사적 의미에 대해 시론하였다. 현존 조선시대 불서의 간행 시기 분석을 통해 볼 때, 16세기에 사찰판 불서의 간행이 크게 증대되었다. 중종중반인 1530년대에 그 간행이 4배 가량 증가하여 17세기까지 그 간행량이 대체로 유지되었으며, 특히 임진왜란 전인 1570~80년대, 선조 전반은 증가된 간행량의 두 배에 이르는 불서가 간행된 시기로서, 조선시대를 통틀어 불서 간행이 가장 활발한 시기였다. 16세기가 임진왜란 이전임을 고려한다면, 16세기는 17세기에 비해 더 많은 불서가 간행된 시기였을 가능성이 큰 한편, 불서 간행이 뚜렷한 증가 추세인 시기였다. 이는 중종대와 선조전반이 불교계의 극심한 침체기였다고 하는 일반적인 조선시대 불교사 인식으로는 설명하기 어려운 현상이므로, 근래에 불교사적 관점의 해명이 시도되고 있기는 하나, 서지사적 관점에서도 그 의미가 해명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 四書의 간행량 추이, 서적 간행과 보급에 관한 당대의 기록, 유교전적의 간행 경향, 중국의 출판물 간행 추이 등을 통해 볼 때, 16세기는 불서 뿐 아니라 서적의 간행과 보급이 전반적으로 크게 확대되기 시작한 시기였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16세기 사찰판 불서 간행의 증대는 16세기에 서적 간행과 보급이 전반적으로 확대되고 있었다는 데 대한 근거인 동시에, 그러한 거시적인 문화사 변동에 따라 나타난 현상이었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곧 개별 판본과 인쇄기술 중심의 연구, 유교서 중심의 조선시대 서지사 이해로는 해명하기 어려운 현상이므로, 서지문화사적 관점에서 그 양상과 의미가 종합적으로 검토될 필요가 있다고 본다.

      • KCI우수등재

        조선 태종・세종대 ‘혁거’ 사찰의 존립과 망폐- 1406년과 1424년 승정체제(僧政體制) 개혁의 이해 방향과 관련하여 -

        손성필 한국사연구회 2019 한국사연구 Vol.- No.186

        Reformation of the Seungjeong (僧政) system in 1406 and 1424 has generally been understood as a decisive event in the strong suppression of Buddhism (抑佛). So, in this paper, we will first discuss the purpose, object and contents of this reform in general. Then, we reviewed the status of the designation (指定) and abolition (革去) of temples belonging to the Seungjeong system at the time, and whether the designated and abolished temples were maintained or ruined through the geographical record. To summarize the main contents of this paper, the following: First, the reforms in 1406 and 1424 were for the existing Seungjeong system. The reform was a reduction and reorganization of the Seungjeong system, part of the existing state system at the end of Goryeo and early Joseon, and the subject of the reform was a national system of supporting and managing temples, and protecting and controlling monks by appointing a chief monk (住持) and providing tax-free land (寺社田). Second, the reforms of 1406 and 1424 established a Seungjeong system consisting of two sects (宗), 36 designated temples, and about 8,000 sets of tax-free land, which operated in a stable manner for more than 80 years. Third, because the abolition of temples from the Seungjeong system did not mean it was ruined, many of the temples abolished under the reform were maintained until the 16th, 17th and 18th centuries. Aside from the temple's designation, there were also a number of temples in Joseon society. 1406년과 1424년의 승정체제 개혁은 일반적으로 강력한 억불 정책의 상징적 사건이자 불교계의 몰락과 사원경제의 해체를 초래한 결정적 사건으로 이해되어 왔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1406년과 1424년 승정체제 개혁의 목적, 대상, 내용 등을 개괄적으로 논의한 다음, 당시 국가의 승정체제 소속 사찰의 지정과 혁거 실태를 검토하고, 『세종실록지리지』, 『경상도속찬지리지』, 『신증동국여지승람』 등의 지리지를 통해 지정 및 혁거 사찰의 존립과 망폐 여부를 검토해 보았다. 우선 이 논문의 논의 내용을 간략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1406년과 1424년의 개혁은 기존의 승정체제에 대한 개혁이었다. 국가가 주지 임명, 사사전과 사노비 지급 등을 통해 사찰을 지원하고 관리하며 승도를 보호하고 통제하는 국가적인 시스템(체제)을 개혁한 것으로, 기존 국가 체제의 일부인 승정체제(또는 교단체제, 비보사찰체제)를 감축하고 재편한 것이었다. 이는 국가가 주지를 임명하고 사사전(수조지)을 지급하는 승정체제 소속 사찰에 대한 개혁이었으므로, 전국의 모든 사찰을 대상으로 한 것이 아니었다. 둘째, 1406년과 1424년의 개혁으로 2개 종단, 36개 지정 사찰, 사사전 약 8,000결의 승정체제가 성립하였다. 이는 기존 승정체제를 국가와 왕실이 중시한 사찰을 중심으로 감축하고 재편한 조선의 승정체제였으며, 연산군대에 이르기까지 80여 년간 큰 변동 없이 안정적으로 운영되었다. 셋째, 사찰이 승정체제로부터 혁거된다고 해서 망폐한 것은 아니었으므로, 1406년 개혁과 1424년 개혁에 따른 혁거 사찰, 연산군대 말과 중종대 초 승정체제 폐지에 따른 혁거 사찰은 16세기, 17세기, 18세기에 이르기까지 상당수 존립하였으며, 사찰의 지정 및 혁거 여부와는 별개로 조선 사회에는 다수의 사찰이 존재하고 있었다. 1406년과 1424년 개혁에 대한 이러한 이해는 기존의 일반적 이해와는 크게 다른 것이므로, 만약 이 논문의 논의가 타당하다면 기존의 부정확하고 불명확한 이해가 통용되어 온 이유에 대한 성찰도 필요해 보인다. 이를 크게 세 가지로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 연구에서는 불교와 관련한 국가 정책의 대상을 엄밀히 구분하지 않았고, 정책의 목적, 성격에 대한 이해가 불명확했으며, 승도와 사찰의 다양한 층위, 복합적 성격 등과 같은 불교계 현실에 대한 고려가 부족했다. 둘째, 기존 연구에서는 국가의 불교 정책과 불교계의 현실을 파악하고 해석하면서 여말선초의 변화를 지나치게 강조한 반면, 조선 500여 년간의 변화는 간과하였으며, 이에 따라 조선시대의 불교는 시기별 변화가 계기적으로 파악되지 않은 채 피억압의 역사, 퇴행적 존재로 일반화되었다. 셋째, 조선의 숭유억불 정책은 비단 조선시대뿐 아니라 한국사의 전개를 해석하는 강고한 프레임으로 작용하고 있는 듯하다. 그러나 1406년과 1424년 개혁에 대한 오해처럼, 이른바 억불 정책은 상당수 잘못된 사실과 인식에 근거하고 있는데, 이에 대해 엄밀한 논의와 비판적 성찰은 부족했고, 관념적인 해석의 악순환이 이루어져 왔다.

      • KCI등재

        寺刹의 혁거, 철훼, 망폐: 조선 태종․세종대 승정체제 개혁에 대한 오해

        손성필 진단학회 2019 진단학보 Vol.- No.132

        The study discussed the correct direction of understanding by carefully examining the Joseon Dynasty records to understand the Seungjeong(僧政) system reform in the early Joseon period. First, the concept of the temple's abolition, demolition and ruin should be distinguished. The abolition(革去) means that the temple will be de-designated by the Seungjeong system. The demolition(撤毁) means physically demolishing the temple building. The ruin(亡廢) is a term used to describe the ruins of a temple. Second, In previous research achievements, the concepts of abolition, demolition and ruin were not strictly distinguished. The 242 or 36 temples designated for reform were not demolished or destroyed. Third, the subjects of the 1406 and 1424 reforms were the national system in which the state protected and managed temples and monks. It seems that the existing system at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can be defined as a ‘Seungjeong system’. This reform was clearly an event that triggered the dissolution of the existing system, but the Joseon Dynasty's Seungjeong system of 36 temples was established according to follow the reform. Fourth, there were many temples in Joseon society in the 15th and 16th centuries, apart from the system reform. Judging from the Donggukyeoji-Seungram and private local geography, it seems that there were many temples in Joseon society with a large number of over 1,650 units. Thus, in the context of regime reform, Buddhist reality, including temples and monks, should be properly interpreted in the context of Buddhist reality. 이 논문에서는 조선초기인 1406년(태종 6)과 1424년(세종 6)의 승정체제 개혁의 실제에 대한 이해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실록』 기사의 검토를 바탕으로 기존 연구 경향을 비판하고 올바른 이해 방향에 대해 논해 보았다. 태종․세종대의 승정체제 개혁에 대한 그간의 불명확한 이해가, 사찰 ‘혁거’, ‘철훼’, ‘망폐’ 개념에 대한 불명확한 이해와 긴밀한 연관성을 지님에 주목하고, 이를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논의 내용을 간략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찰의 ‘혁거’, ‘철훼’, ‘망폐’ 개념은 구분되어야 한다. ‘혁거’는 승정체제에서 해당 사찰을 지정 해제한다는 의미이고, ‘철훼’는 사찰의 건물을 물리적으로 철거한다는 의미이며, ‘망폐’는 폐허화되거나 퇴락한 사찰의 상태를 형용하는 표현이다. 둘째, 기존의 연구 성과에서는 ‘혁거’, ‘철훼’, ‘망폐’ 개념을 엄밀히 구분하지 않았고, 태종․세종대 승정체제 개혁에 대한 이해도 명확하지 않았다. 이에 따라 ‘공인 사찰’, ‘본산’ 등의 개념이 통용되고 있으나 재검토가 필요해 보인다. 셋째, 1406년과 1424년 개혁의 대상은 국가가 주지 임명, 사사전과 사노비 지급 등을 통해 사찰과 승도를 지원하고 관리하는 국가적인 시스템(체제)이었다. ‘지정 사찰’, 소속 종단, 사사전과 사노비의 수, 상주승의 인원, 승정 기구의 기능 등을 통합하고 감축하여 새롭게 재편함으로써, 여말선초의 기존 체제를 개혁하고자 한 것이다. 개혁의 대상인 이 체제를 ‘비보사찰 체제’, ‘교단체제’, ‘승정체제’ 등으로 규정할 수 있으나, 일반적인 용어인 승정체제로 일단 규정해 둔다. 이 개혁은 기존 승정체제의 해체를 촉발한 사건임에 분명하지만, 개혁에 따라 성립한 2종 36사 중심의 승정체제가 세종대부터 연산군대까지 80여 년간 운영되었다는 점도 간과해서는 안 된다. 넷째, 15~16세기 조선 사회에는 승정체제 개혁과는 별개로 많은 수의 사찰이 존재했다. 『여지승람』, 사찬 읍지 등을 통해 볼 때, 『여지승람』에 수록된 사찰 1,650여 개를 크게 상회하는 많은 사찰이 조선 사회에 존재했음이 분명해 보인다. 그러므로 승정체제 개혁으로 지정된 242개, 36개 사찰을 불교계의 전체 규모와 동일시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으며, 승정체제 개혁은 승정체제 개혁의 맥락에서, 사찰과 승도를 포함한 불교계 현실은 불교계 현실의 맥락에서 제대로 해석해 가야 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1760년 상송 읍지’의 성립과 전래, 그리고 현존본-한국교회사연구소 소장 ‘여지도서’와 신발굴 ‘여지승람’ 2종에 대하여-

        손성필,김준섭 한국고전번역학회 2021 고전번역연구 Vol.12 No.-

        This study analyzed the records of Yeoji-doseo and reviewed three existing manuscripts of the 'Eupji submitted nationwide in 1760', including two newly discovered ones. The main contents of the discussion, focusing on the three existing manuscripts, are as follows. First, Yeoji-doseo, which is kept in the research foundation of Korean church history, is the original version of 'Eupji in 1760'. Contrary to what is generally known, Yeoji-doseo cannot be said to be a national name because it is named by Seo Myeong-eung in a manuscript kept in his house. Second, the newly discovered Yeoji-seungram, which is kept in various places such as Keimyung University, is the original version of 'Eupji in 1760'. In this manuscript, a new Eupji in seven regions that are not in the Yeoji-doseo, which is kept in the research foundation of Korean church history', was discovered. Third, the newly discovered Yeoji-seungram, which is kept in the the museum of silhak, is a manuscript that reproduces the 'Eupji in 1760'. In this manuscript, a new eupji in four regions, which is not in the Yeoji-doseo, which is kept in the research foundation of Korean church history, was discovered. 이 논문은 ‘여지도서’의 성립과 전래에 대한 기록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 발굴된 2종을 포함한 ‘1760년 상송 읍지’ 현존본 3종을 비교, 검토하여 논의한 것이다. 현존본 3종을 중심으로 주요 논의 내용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교회사연구소 소장 ‘여지도서(55책)’는 ‘1760년 상송 읍지’의 원본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는 달리 영조 41년(1765) 12월 8일에 서명응은 ‘여지도서’를 영조에게 진상하기 위해 입시한 것이 아니었다. 서명응은 ‘1760년 상송 읍지’ 원본 중의 1건을 입수하여 소장하였고, ‘여지도서’라는 명칭은 서명응이 이 ‘1760년 상송 읍지’ 원본 1건을 소장하고 장정하면서 임의로 명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여지도서’는 서명응의 개인 소장본을 지칭하는 것일 뿐, 국가적이거나 공식적인 명칭이라고 할 수 없다. 한국교회사연구소 소장 ‘여지도서’는 이 서명응 가문에 소장되어 전래된 ‘1760년 상송 읍지’ 원본이며, 이른바 ‘여지도서’라는 문헌의 실체는 ‘1760년 상송 읍지’ 원본 중의 1건인 것이다. 둘째, 새로 발굴된 계명대 등에 분산 소장된 ‘여지승람(8책)’은 ‘1760년 상송 읍지’의 원본이다. 1759년부터 홍문관이 하달한 범례에 따라 각 군읍에서 읍지를 찬집하여 홍문관, 감영 등으로 3건 또는 5건 상송했다. 홍문관에 상송된 읍지는 2건인데, 그중 어람용 1건은 홍문관에 보관된 것으로 보이나 1765년 이래 그 존재나 전승이 불분명해졌으며, 1건은 이은에게 분아되었는데 이를 서명응이 입수하여 ‘여지도서’로 명명한 것이다. 한국교회사연구소 소장 ‘여지도서’와의 비교를 통해 볼 때, 계명대 등에 분산 소장된 ‘여지승람’은 ‘1760년 상송 읍지’의 원본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 ‘1760년 상송 읍지’의 계명대 등 분산 소장본에서는 한국교회사연구소 소장본에 누락된 40여 군읍의 읍지 중에 7개 읍지의 존재가 확인된다. 셋째, 새로 발굴된 실학박물관 소장 ‘여지승람(6책)’은 ‘1760년 상송 읍지’를 복제한 정사본이다. ‘1760년 상송 읍지’ 원본은 각 군읍에서 찬집, 필사한 것이기 때문에 필체, 지도의 화풍 등이 군읍별로 각각 다른 반면, 실학박물관 소장본의 경우 전체 군읍 읍지의 필체가 유사하며, 채색 지도의 화풍도 유사하다. 또한 ‘1760년 상송 읍지’ 원본은 각 군읍별로 광곽과 계선의 형식, 색상이 다른 반면, 실학박물관 소장본은 동일 목판으로 광곽과 계선을 인출한 다음 필사한 괘인사본이다. 그러므로 실학박물관 소장 ‘여지승람’은 ‘1760년 상송 읍지’ 원본의 복제를 위해 조직적이고 체계적으로 필사, 채색하여 제작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실학박물관 소장본에서는 한국교회사연구소 소장본에 누락된 4개 군읍의 읍지가 확인된다.

      • KCI등재

        17세기 순천 선암사의 중창과 수행 전통 성립

        손성필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2021 南道文化硏究 Vol.- No.42

        이 논문에서는 17세기 순천 선암사의 중창과 수행 전통 성립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는 선암사의 중창과 수행 전통의 역사적 맥락을 이해하기 위한 것이면서, 조선 후기 청허 휴정과 부휴 선수 문도 중심의 불교계 재편 과정, 사찰의 역사 현창 등에 대한 구체적인 사례 연구의 일환이라고 할 수 있다. 16, 17세기는 기존 불교계가 재편되고 새로운 수행 전통이 정립된 시기였다. 정통성 인식인 임제·태고 법통, 강학체계인 이력, 수행체계인 삼문 수행 등을 특징으로 하는 수행 전통은, 16세기에 성립하기 시작하여 임진왜란 이후 17세기에 청허계, 부휴계 문 도를 중심으로 불교계에 확산되었다. 임진왜란으로 소실된 선암사는 전란 직후부터 중창 되기 시작했으며, 17세기 후반에 대대적으로 중창되어 대찰의 면모를 갖추게 된다. 중창을 일단락한 후, 침굉 현변의 전법 제자인 호암 약휴, 계음 호연 등이 주도하여 1704년 「선암사사적」을 찬술하고, 1707년 「선암사중수비」를 건립하였는데, 이는 선암사의 유 구한 역사, 임진왜란 이후의 대규모 중창을 현창하기 위한 것이었다. 아울러 이는 17세 기 후반 현변이 선암사에 주석하면서 수행 기풍을 일신한 사실을 현창하기 위함이기도 하였는데, 실제로 현변은 선암사의 구습을 일신하고 이력 강학, 간화선 수행 등을 통해 승도를 지도하고 교화하였다. 이처럼 순천 선암사는 17세기 후반 청허계 문도인 현변에 의해 수행 전통이 정립되었다고 할 수 있으며, 「선암사사적」의 찬술과 「선암사중수비」 의 건립은 이를 현창하기 위한 것이기도 하였다. The 16th and 17th centuries were a time when the existing Buddhist community was reorganized and a new tradition of Buddhist practice was established, centered on disciples of the Cheongheo Hyujeong and Buhyu Seonsu. The Seonamsa Temple in Suncheon was rebuilt in the 17th century after it was destroyed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he Seonamsa Temple was constructed extensively in the late 17th century and became a large temple. Soon after that, Seonamsa-sajeok was written and Seonamsa-jungsubi was established. Hoam Yakhyu and Gyeeum Hoyeon spread the long history of Seonamsa Temple and the reconstruction of Seonamsa Temple in the 17th century through Seonamsa-sajeok and Seonamsa-jungsubi. They also promoted the work of their teacher, Chimgoeng Hyeonbyeon, who renewed the Buddhist practice of Seonamsa Temple. In fact, Hyeonbyeon changed the traditional customs of Seonamsa Temple and guided Buddhist book learning and Zen practice. Thus, the tradition of Buddhist practice in Seonamsa Temple was established in the late 17th century by Hyeonbyeon, a disciple of the Cheongheo lin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