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근대소설과 번역·창작의 복합주체

        손성준(Son, Sung-Jun) 한국현대문학회 2015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47

        이 연구는 염상섭과 현진건의 통속소설 번역에 주목하여 그들의 창작세계 형성과 소설관의 유동을 새롭게 해석해보고자 한것이다. 두 인물은 활동 초기부터 통속소설의 번역을 병행했지만 번역의 태도는 다르게 나타난다. 염상섭은 번역을 통해 통속소설에 대한 적극적 평가에 이르게 되는 반면, 현진건은 통속적 신문연재소설을 번역하는 경우에는 일회성 필명만을 내세우며 거리두기로 일관하였다. 이후 두 작가의 행보는 엇갈린다. 염상섭은 소설의 통속성을 자신의 문예주의 노선에 결합시킴으로써, 당대의 대표적인 장편작가이자 다작(多作)의 문인으로서 자리매김한다. 한편 현진건의 경우 일찌감치 기교와 묘사 방면에 강점을 지닌 작가의 위상을 얻었지만, 갈수록 침묵의 문인으로서 기억되었으며 특히 장편의 생산에 많은 난관을 겪게 된다. 두 문인이 보여주는 이러한 엇갈림의 이면에는 소설의 통속성에 대한 그들의 관점 차이가 놓여 있었으며, 통속소설의 번역은 그러한 관점을 지닌 주체를 형성하는 데 중요한 계기를 제공했다. 훗날 염상섭과 현진건은 각기 자신의 문학적 도정에 결핍되어 있던 것들을 비판적으로 성찰하며 새로운 변화를 꾀한다. This study intends to newly interpret the formation of Yeom Sang-seop"s and Hyun Jin-geon"s creative worlds and the transition of their perspectives on fiction, paying attention to their translation of Tongsok Soseol (popular fiction,). Although the two figures were involved in the translation of foreign popular fiction from their early literary activities, they showed different attitudes in relation to the translation. While Yeom Sang-seop came to make a positive evaluation of popular fiction in the course of translating it, Hyun Jin-geon consistently kept his distance from it, using a temporary pen name whenever translating a low-brow novel serially in a newspaper. Afterwards, the two writers trod different paths. Yeom Sang-seop established himself as a representative novelist and prolific writer of the time by integrating the popular nature of fiction into his own literary tendency.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Hyun Jin-geon, although he early gained status as a writer having strengths in techniques and portrayal, he was increasingly remembered as a literary man of silence, and in particular, he had much difficulty in producing long novels. Behind such a discrepancy between the two writers lie differences in their viewpoints on the popular nature of fiction. The translation of popular fiction provided important momentum in the formation of their such subjective viewpoints. Later on, Yeom Sang-seop and Hyun Jin-geon attempted new changes, reflecting critically on what were lacking in their respective literary journey.

      • KCI등재

        텍스트의 시차와 공간적 재맥락화

        손성준(Son, Sung Jun) 동악어문학회 2014 동악어문학 Vol.62 No.-

        본 연구는 염상섭의 초기 번역 활동에 주목하여 텍스트 선택의 경위와 그 의미를 궁구하고, 이와 염상섭 소설들의 관련 양상을 고찰한 것이다. 염상섭은 메이지 일본의 문인 후타바테이 시메이를 경유하여 러시아 소설에 접속했다. 시메이의 번역문은 그 문체적 혁신으로 말미암아 일본 문단에서 큰 권위를 확보하고 있었다. 염상섭의 선택에는 그 권위에 대한 고려가 반영되어 있었으며, 번역태도 역시 저본을 꼼꼼하게 옮겨내는 방식이었다. 하지만 내용적 측면에서는 전혀 다른 방점을 찍으며 번역소설 자체가 자신의 문제의식을 대변하게 했다. 염상섭은 가르쉰의 ?四日間?을 통해서는 조선의 전쟁 체험, 즉 3?1운동의 죽음을 재현했고, 투르게네프의 ?密會?를 통해서는 여성해방이라는 화두를 던졌다. 이는 동시기의 소설 ?萬歲前?이나 ?除夜? 등에도 삽입된 메시지들이었다. 본격적 의미에서 처음으로 세계문학과 조우하며 나온 식민지 조선의 번역들은, 염상섭의 사례와 같이 저본과는 차별화 된 시공간적 조건의 차이와 번역자 개인의 문제의식이 빚어내는 각각의 맥락을 지니고 있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향후 다른 대상에게도 적용 가능한 방법론의 한 사례로서 일정한 의의를 획득할 수 있다. This study noticed in the early translation activity of Yeom Sang-seop, examined his choice of translation text and the meaning it contains. Also, determined the aspects of his novels as an extension of translation activity. Yeom Sang-seop accessed Russian novel through Meiji Japan"s writer, Hutabatei Simei. Simei"s translation was renowned for it"s innovative style of writing in Japan"s literary circles. Yeom Sang-seop"s choice of texts reflected this authorities, and his translation attitude was also very simple and meticulous. But on the side of novel"s content, he tried very different way, and let translated novel represents his critical consciousness by itself. Yeom Sang-seop reenacted the horror of 3?1 independence movements, Chosun"s war experience through V. Garshin"s novel, Four days(四日間), and brought up women"s liberation issue through Turgenev"s Meeting(密會). These messages were also implied in other novels of the same period, such as Mansejeon(萬歲前) and Jeya(除夜). Colony Chosun was in the beginning stage of encountering international literatures in earnest, at that time of the Chosun"s translated literatures would have their own stories consisted of difference of time-space concept condition and translator"s personal concept of history, just like the Yeom Sang-seop"s case. So this study has significance as a example of translation study methodology which is applicable to other objects hereafter.

      • KCI등재

        번역이라는 고투(苦鬪)의 시간 : 염상섭의 번역과 초기 소설의 문체 변화

        손성준(Son Sung Jun) 한국문학회 2014 韓國文學論叢 Vol.67 No.-

        This research examines the original works and translations of Western novels by Korean writer Yom Sang-seop(廉想涉, 1897–1963) to show how the change of style in his novels in the 1920s was deeply influenced by his experience as a translator. As seen in the trilogy written in his early days, Yom's sentences in his earlier novels featured heavy usage of word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even compared to other up-and-coming writers at that time, among whom the use of such words was prevalent. However, his style went through a drastic change. The novel Sunflower, which was his first novel written solely in native Korean without any Chinese characters, seems to have emerged due to the media condition as a series in the Dong-A Ilbo. However, we also need to understand the author's concurrent effort to pioneer his own novel language in order to understand this stylistic change. Before writing Sunflower, Yom had expanded the boundaries of the Joseon (Korean) language by translating three Western novels. These translations used significantly fewer words in Chinese characters than original novels written in Korea at that time, which likely influenced Yom's own original style. As this study shows, he moved from the use of the gender-neutral third-person pronoun “彼(he)” to the use of “그(he)”, a change which represents a break from the stylistic influence of Japanese novels and which appeared first in his translation of the novel Four days(四日間) instead of Teacher E(E先生), as has previously been understood. Furthermore, Yom learned the present-tense first-person narrative technique used in the process of adapting Graveyard(墓地) to Mansejeon(萬歲前) through his experience translating Meeting(密會). From the perspective of bringing novelty to the vocabulary of one's mother language, translation is located at the extreme opposite position from censorship, which blocks the same act. However, from the perspective of language, translation is an endless task of self-censorship. Translation forces the translator to distance himself from his own language under the demands of an external criterion, namely the original text. Thus, when Yom Sang-seop found impure elements in Joseon-language novels, he parted from them without hesitation. Obviously, this may not have been an easy process, and for Yom, in fact, translation was a process of struggle. However, it was this struggle that allowed him to rediscover the Joseon language and establish the style of his novel. 본 연구는 염상섭의 케이스를 중심으로 1920년대 소설의 문체 선회 현상에 작가들의 번역 체험이 핵심 변수로 놓여있었다는 것을 밝히고자 했다. 초기 3부작이 보여주듯, 염상섭의 초기 소설 문장은 당대의 신진 문인 중에서도 극단적이라 할만큼 한자어 비중이 높았다. 하지만 그의 소설 문체는 급격히 변화해간다. 염상섭이 최초로 선보인 순국문체 소설 는 일견『동아일보』연재라는 매체적 조건으로 인해 출현한 듯 보이지만, 이러한 판단에는 스스로의 소설어를 개척했던 개인의 노력에 대한 이해가 더해져야한다. 염상섭은 이전에 이미 세 차례에 걸친 서양소설의 번역 체험 속에서 자신이 구사하던 조선어의 경계를 확장시켜나가고 있었다. 그가 발표한 번역소설의 한자어 비중이 동시기의 창작 소설보다 현격히 낮았다는 것이 이를 반증한다. 아울러, 본 연구는 일본소설의 문체적 영향으로부터의 탈피를 대변하는 3인칭 대명사'彼'에서'그'로의 변화가 종래의 이해처럼 이 아니라 번역소설 에서 먼저 나타난 것이며, 에서 으로의 개작 과정에서 확인되는 1인칭 서술에서의 현재시제 활용이 의 번역 체험 속에서 획득되었다는 것을 제시했다. 자국어 언어장 속에 새로운 것을 가져온다는 측면에서,'번역'이란 그것을 차단하는'검열'과는 대척점에 있다. 하지만 언어적 측면에서'번역'은 끊임없이 자기를 '검열'하는 작업 그 자체이도 하다. 번역은 역자로 하여금 저본이라는 외적 준거를 통해 자기 언어와의 거리를 강제한다. 그렇게 자기 언어에서 조선어소설로서의 불순물을 발견한 염상섭은, 과감히 그것들과 결별했다. 이 과정에 쉬웠을리 만무하다. 염상섭에게 번역은'고투의 시간'이었다. 그러나 이 시간을 거치며 그는 조선어를 재발견하고 자신의 소설 문체를 확립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조명희 소설의 외래적 원천과 그 변용 : 투르게네프와 고리키를 중심으로

        손성준 ( Son Sung-jun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14 국제어문 Vol.62 No.-

        본고는 기존의 조명희 연구에서 논의되지 않았던 측면인 참조 소설의 존재를 제시하고, 그것들이 창작 과정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변주되는지를 밝힌 것이다. 이는 곧 조명희의 의도가 집적되는 지점을 추적하는 작업과 상통한다. 본고의 목적은 조명희 소설 연구에 새로운 전환점을 마련하고 나아가 1920년대 조선 문인들의 창작방법론을 재고해보는 데 있다. 본고에서 밝힌 조명희 소설의 두 가지 원천은 투르게네프와 고리키다. 조명희의 회고나 번역에서 나타나듯 그의 문학관 형성에 있어서 그들이 갖는 위치는 각별했으며, 조명희는 그들의 소설에서 나타나는 미덕을 선택적으로 수용했다. 따라서 명백히 다른 성향의 문호임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소설은 조명희의 주요 참조 대상으로서 공존할 수 있었다. 조명희의 「땅 속으로」와 「한 여름밤」은 각각 고리키의 「마부」와 『밑바닥에서』에서, 「R군에게」와 「낙동강」은 각각 투르게네프의 「파우스트」와 『그 전날밤』의 서술방식 및 서사적 구도에서 모티브를 얻었다. 또한 투르게네프의 소설을 참조한 「파우스트」나 『그 전날밤』의 경우, 공통적으로 고리키의 『어머니』와도 관련성도 확인되는 만큼 전체적으로는 고리키의 지분이 큰 편이다. 이는 고리키의 삶과 문학을 일종의 정신적 푯대로 받아들였던 조명희의 태도에서 기인한 것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참조 소설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조명희 소설은 뚜렷한 메시지의 차별화를 보여준다. 그는 다른 소설의 요소를 끌어들이되 그 속에 식민지 현실의 비참함과 그 원인의 해부, 그리고 계급해방의 당위성 등을 채워 넣었다. 이 과정에서 최초에 참조했던 설정들 메시지에 최적화 된 형태로 재편된다. 조명희의 소설이 무엇을 말하고자 했는가는 이미 다양한 각도에서 분석되어왔다. 그러나 본고는 조명희가 직접 참조한 소설들을 비교항으로서 함께 고찰했기에, 그의 의식적인 차별화 지점에 대한 중층적 분석을 제시할 수 있었다. 조명희는 소설의 메시지를 통해 프로문학가로서의 자기 정체성을 확립해간다. 하지만 조명희가 창작 과정에서 참조한 프로문학 외부의 다양한 재료들 또한 조명희 소설의 정체성 일부를 구성했다. 조명희 연구에서 화두가 되어온 비(非) 전형적 프로문학 요소, 즉 서정성이나 낭만성 등의 존재는 이상의 견지에서도 고찰될 필요가 있다. 아울러, 본고의 방법론은 조명희 소설의 연구뿐 아니라 서구문학에 근간한 사숙과 습작이 본격화 된 1920년대 소설 전반을 연구하는 데 있어서 새로운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is writing helps to make public the existence of Cho Myeong-Hee`s reference novels, which was not discussed before regarding his works, and find how the creation process was variated. Thus, this effort would lead to clarify what was intended in them. This writing aims at providing a new turning point in working on Cho Myeong-Hee`s novel and then have an overall review on the creation methodology about Korean writers in the 1920s. Two sources here in the novel of Cho Myeong-Hee are originated from Ivan Turgenev and Maxim Gorky. As shown in recollections or translations, these two writers` position is noteworthy in the process of forming his literary view. He adopted the virtues featured in their novels, selectively. For this reason, their novels could coexist as main reference for him even though these distinguished writers had a clearly different styles. Cho`s Into the Ground and One Summer Night were written from the motif of Gorky`s The Coachman and The Lower Depths, To Mr. R and Nakdonggang(낙동강) from the motif of Turgenev`s Faust and On the Eve in terms of descriptive style or composition. In the case of Faust or On the Eve based on Turgenev`s novels, commonality was found in relation to Gorky`s The Mother. Therefore, it could be safely said that the influenced portion by Gorky is rather large, and from which Cho`s attitude is sensed that he accepted Gorky`s life and literature as a mental prop. With all the existence of other reference novels, Cho Myeong-Hee`s novel showed his own differentiation. Elements in other novels were taken in but he filled his writings with such different elements as miserable reality under colonial period, analytic dissection of it, and justification of class release. In this course, the initially related setups were also repositioned in the optimized form. What is said about in his novel has been already analyzed from the diverse facades. However, this article would look into among the novels he referenced himself and make comparison among them. As a result, the multi-level analysis could be obtained about his consciously differentiated point. Cho Myeong-Hee proceeded to his self-identity as a proletarian writer via messages in novel. A variety of other materials beyond the referenced proletarian literature were added as part of novel identity in his process of writing. Non-typical proletarian literary elements discussed in studies about him such as lyrical and romantic characteristics need to be taken into consideration in this context. Methodologies in this article would provide a new implication in approaching to overall research on novels, not to mention the examination about Cho Myeong-Hee`s novel, in the 1920s when emulations and practices about western literature were full-fledged in Korea.

      • KCI등재

        한국근대문학사와 「운수 좋은 날」 정전화의 아이러니

        손성준(Son, Sung-jun) 한국현대문학회 2016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50

        이 글은 「운수 좋은 날」의 정전화 과정을 시대별 평론 및 문학사 서술, 그리고 작가의 대표작에 대한 인식의 변천 등을 통해 살펴본 것이다. 「운수 좋은 날」은 1960년대 후반부터 대두된 리얼리즘론, 민족문학론, 그리고 노동문학이라는 현대문학의 쟁점 및 화두를 배경으로 재발견되어 한국 단편소설의 정점에까지 오르게 된다. 「운수 좋은 날」의 정전화 과정은 겹겹의 아이러니로 싸여있다. 식민지시기의 암울함을 증언했지만 현진건의 생전에는 문단의 주목을 받거나 작가의 핵심 작품으로 인정받지 못하다가 해방 이후 또 다른 시대적 폭력 속에서 조명된 사실도 그렇거니와, 번역을 통한 학습이 반영된 작품의 반어적 구조가 이후 한국 단편소설 최고의 기법적 성취로 평가받게된 점도 그러하다. 기왕의 정전들 역시 그 역사성을 고려한 정전화 과정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 각각의 특수한 사정과 역사적 맥락이 결합하여 지금의 형상이 되었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를 해명하는 작업은 문학사를 근본적으로 재구성하는 일과 직결되어 있다. This paper looked into the process of the canonization of Unsu joeun nal(A Lucky Day) by examining critiques and literature history descriptions according to periods, and changes in perceptions about the writer"s magnum opus. Unsu joeun nal was rediscovered against the background of the issues and topics of Realism theories, national literature theories, and contemporary literature called labor literature, which became conspicuous from the late 1960s, and ascended to the peak of Korean short stories. The canonization process of Unsu joeun nal is covered with layers of irony, as manifested in the facts that the ironical structure of the work reflecting his learning from translation came to be evaluated later as the foremost technical achievement in Korean short stories as well as that it did not attract attention from literary circles or was not recognized as Hyun Jin-geon"s major work during his lifetime, but received the spotlight amidst another violence of the times after national independence. The past canons also require re-examination about the process of their canonization in view of their historicity. Because their respective special circumstances and historical contexts are presumed to have been combined to generate their current forms. The work of elucidating this is directly linked with the work of fundamentally reconstructing the history of literature.

      • KCI등재

        특집2: 동아시아 문화와 사상의 교류와 변전 : 식민지 번역장(飜譯場)과 검열 -조명희의 『그 전날 밤』 번역을 중심으로

        손성준 ( Sung Jun Son ) 반교어문학회 2015 泮橋語文硏究 Vol.0 No.39

        본 연구는 식민지시기에 검열이라는 변수가 번역자의 태도와 식민지 번역장(飜譯場)의 형성에 어떠한 방식으로 작용하였는지를 고찰한 것이다. 주요 분석대상은 투르게네프의 장편소설 『그 전날 밤』에 대한 조명희의 번역으로서, 그가 저본으로 삼은 일역본과 두 번역 판본(《조선일보》연재본과 박문서관의 단행본)을 각기 비교 검토하여 검열의 흔적을 밝히고 조명희의 검열 인식 및 대응을 살펴보았다. 러시아 여성 옐레나와 터키의 압제 하에 있던 불가리아 출신의 유학생이자 독립운동가인 인사로프의 비극적 사랑을 그린 『그 전날 밤』은, 그 서사적 성격상 1920년대 식민지 지식인들의 폭넓은 호응을 이끌어냈다. 식민지인들이 식민지 출신 주인공에게 각별한 관심을 보이는 것은 당연할지도 모른다. 그러나 그관심이 그대로 문자화되기 어려운 곳도 식민지였다. 1924년 8월부터 10월 사이발표된 조명희의 《조선일보》연재본은 저본에 충실하게 번역되다가 후반부에 이르러 갑자기 발췌역과 역자의 자체 요약 방식으로 바뀌게 된다. 한편 1925년에 나온 단행본 버전의 경우 신문연재 당시 축약된 내용이 정상적으로 번역되었다. 그 대신 연재본에는 없던 수백 자에 이르는 복자(覆字)가 새겨지게 된다. 이러한 훼손된 번역들의 배후에는 검열이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전날 밤』을 온전히 번역하겠다는 조명희의 의도는 끝내 성취되었다고 볼 수 있다. ‘복자’의 경우는 원문이 존재하는 이상 ‘복원’이가능하기 때문이다. 단행본 『그 전날 밤』의 원문은 신문연재본이다. 비록 연재는 막다른 길에 봉착했지만 이미 원작분량의 약 80% 지점까지가 신문을 통해 충실히 번역·배포된 상태였던 것이다. 한편 단행본의 경우 많은 복자로 뒤덮여 있었음에도 신문연재 당시 축약된 부분만큼은 복자가 부재했는데, 이는 조명희가 복자 배치의 주체였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요컨대 단행본의 복자는 신문을 통한 확인이 가능하며, 신문연재에서 축약되었던 부분은 단행본을 통한 확인의 길이 열리게 된 것이다. 이렇듯 조명희는 신문연재본과 단행본을 번역상의 상호보완적 관계에 놓이도록 하였다. 식민지의 합법 출판물은 예외 없이 한 차례 이상의 검열을 거친 결과물이지만, 검열납본 원고와 대조해보지 않는 이상 그 과정에서 ‘걸러진 것’이 무엇인지는 알 수 없다. 문제는 ‘남은 것’만을 분석의 대상으로 삼을 경우, 해당 텍스트의 존재 의미를 제대로 간취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그런데 다음의 두 가지 경우는 ‘걸러진 것’의 실체, 즉 검열 이전과 이후의 텍스트 편차를 파악할 수 있는 여지가 허락되어 있다. 하나는 신문에 연재된 후에 단행본으로 간행되는 경우이고, 다른 하나는 번역물이다. 전자는 식민지 조선에 적용되던 신문지법과 출판법의 편차로 인해 ‘신문연재본’이 원형으로서 남아 있고, 후자는 애초에 다른 법역(法域)으로 인해 훼손 없이 유통된 ‘번역 저본’(주로 일본어로 된)이 원형으로서 남아 있기 때문이다. 조명희의 번역소설 『그 전날 밤』은 두 가지의 ‘원형’이 모두 남아 있는 사례다. 본고는 이 조건들을 활용하여 복자를 복원하거나 조명희의 텍스트 개입 및 검열 대응 방식을 추적할 수 있었다. 이러한 방법론은 보다 폭넓게 적용될 필요가 있다. 식민지시기 번역문학 연구에서의 검열과, 검열 연구에서의 번역문학이라는 요소는 공히 필수적 참조항으로서 재발견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considered how the variable of censorship worked on translators`` attitudes and the formation of the field of translation in the colonial period. With Cho Myeong-Hee``s translation of On the Eve, a novel by Turgenev, as its main object of analysis, this study compared a Japanese translation of the novel, which Cho Myeong-Hee used as an original script, and its two translation versions by Cho Myeong-Hee(a version run serially in The Chosun Ilbo and a version of an independent volume published by Bakmunseogwan); and revealed traces of censorship and considered Cho Myeong-Hee``s perception on the censorship and his response to it. On the Eve, which depicted tragic love between Elena, a Russian girl, and Insarov, a foreign student and independence activist from Bulgaria that was suffering from Turkish oppression, was much acclaimed by intellectuals of the colony in the 1920s. It may be natural for colonial people to have paid special attention to the hero who was from a colony. However, it was also in the colony that it was hard to put such attention into print as it was. The translation version published in The Chosun Ilbo August through October 1924 was faithful to the original script; from the latter half, however, it suddenly changed into an excerpt translation and the translator``s own summary.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independent volume published in 1925, parts abridged during serial publication in the newspaper were translated normally. Instead, hundreds of bokja (覆字, text smearing, fuseji), which were not shown in the serial publication, were written into the volume. Censorship was behind the damaged translation. Nevertheless, it may be said that Cho Myeong-Hee``s intention to translate On the Eve I in its intact form was ultimately accomplished. For, in the case of bokjas, restoration is possible as long as an original script exists. The original script of the independent volume On the Eve is the version run serially in the newspaper. Although the serial publication reached a dead end, about 80% of the original script had been faithfully translated and distributed through the newspaper. On the other hand, in the independent volume covered with a lot of bokjas, bokja was not found among the parts abridged during serial publication in the newspaper, which was possible because Cho Myeong-Hee was the subject who placed bokja. In short, it has become possible to check bokja in the independent volume against the newspaper and to check the abridged parts run in the newspaper with the independent volume. Like this, Cho Myeong-Hee put the newspaper version and the independent volume version in complementary relationship. Without exception, legitimate publications in the colonial period are results that passed censorship one time or more; however, it is not possible to know what were ``filtered out`` during the process of censorship unless they are checked against their original copies submitted for censorship. The problem is that if only ``what is left`` is analyzed, it is difficult to grasp properly the meaning of the existence of the relevant text. But as for the following two cases, there is the potential for detecting the true nature of ``what is left,`` that is, differences in the texts between before and after censorship. One is a case where a translation is published in an independent volume after being run in a newspaper; and the other is translation materials. As the former, the original copy of the serials in the newspaper exists due to time difference between the Newspaper Law and the Publication Law that were enforced in Joseon; and as the latter, ``original scripts`` (mainly in Japanese) of the translation circulated undamaged are left in its original form because it belonged to different jurisdiction from the outset. On the Eve translated by Cho Myeong-Hee is a case where both the two types of ``originals`` are left. This paper was able to restore bokja using the above conditions, and to track Cho Myeong-Hee``s methods for intervening in the text and responding to censorship. This methodology needs to be applied more widely. Both censorship in the studies of translated literature during the colonial period and the element of translated literature in the studies of censorship will have to be rediscovered as essential references.

      • KCI등재

        논문 : 투르게네프의 식민지적 변용 -『사냥꾼의 수기』와 현진건 후기 단편소설을 중심으로

        손성준 ( Sung Jun Son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4 민족문학사연구 Vol.54 No.-

        본 연구는 현진건이 투르게네프로부터 받은 영향을 단편소설을 중심으로 탐색한것이다. 현진건은 활동 초기부터 투르게네프의 중·장편소설들을 번역하고 여러 방면에서투르게네프를 참조했지만 1926년부터는 더욱 적극적으로 ‘투르게네프의 식민지적 변용`을시도했다. 그 중심에는 투르게네프의 연작 단편집 사냥꾼의 수기가 있었다. 현진건의 후기 단편에서 나타나는 1인칭 관찰자 시점의 특징과 단편집 조선의 얼굴의 구성 전략은사냥꾼의 수기와 상통한다. 무엇보다 1926년 이후 단편소설들의 서사적 틀은 사냥꾼의수기에 크게 의존하고 있었다. 하지만 현진건은 시점이나 서사의 틀만을 가져온 것이 아니라 사냥꾼의 수기에 담긴 모든 핵심적 성취들을 욕망했다. 묘사의 방식, 고귀한 가치를지닌 인간으로서의 하층민 형상화, 그리고 국가 체제의 폭력성 고발까지 현진건 소설에 나타나는 여러 특징들은 곧 사냥꾼의 수기와 연동되어 있다. 그중에서도 핵심은 투르게네프가 ‘지주-농노`의 구도 속에서 보여준 메시지를 현진건이 ‘제국-식민지`의 구도로 치환시켰다는 것이다. 사냥꾼의 수기에 구현된 서사적 틀을 반복적으로 끌어들였다는 사실은, 어쩌면 현진건이라는 작가에 대한 문학사적 평가에 가벼움을 더하는 요소가 될 수도 있다. 그러나 역으로 생각해보면 이것은 익숙한 문학사적 평가를 뒤집는 것일 수도 있다. 이를테면 현진건에게 꼬리표처럼 따라다닌 ‘기교파 작가`라는 수사는 그가 걸어갔던 길을 온전히 담아내지 못한다. 현진건은 의도적으로 사냥꾼의 수기에 집착한 작가다. 사냥꾼의 수기가 지닌 지배체제에 대한 대항서사로서의 성격을 욕망했던 그는 조선의 현실을 반영한 또 하나의 사냥꾼의 수기를 써나가고자 했던 것이다. This study explored the influences Hyun Jin-gun received from Turgenev, focusing on his short stories. Hyun Jin-gun translated Turgenev`s medium-length and full-length novels and referred to them in many ways from his early part of activities, but since 1926, he attempted `Turgenev`s colonial adaptation` more actively. There was A Sportsman`s Sketches, Turgenev`s series of short stories, in the center of it.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rst-person point of view presented in Hyun Jin-gun`s later short stories and the composition strategy of A Sportsman`s Sketches are in line with those of A Sportsman`s Sketches. Most of all, the narrative frame of the short stories written after 1926 greatly depended on that of A Sportsman`s Sketches. However, Hyun Jin-gun`s not only brought the point of view or narrative frame from A Sportsman`s Sketches, but also desired all the essential accomplishment contained in the literature. Many features seen in Hyun Jin-gun`s stories including the method of description, the imagery of the lower class as a human being with no bel values, and the accusation of violence of the national system are in connection with the techniques of A Sportsman`s Sketches. Among them, the core is that Hyun Jin-gun substituted the messages Turgenev demonstrated in the confrontation composition of `landowner-serf` with the confrontation of `imperialism-colony`. The fact that he drew the narrative frame embodied in A Sportsman`s Sketches repeatedly may be an element that adds lightness to Hyun Jin-gun`s evaluation in Korean literature history. When considering the other way, however, this can be what turns over his estimation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For instance, the sobriquet of `technical writer` which followed Hyun Jin-gun like a tag does not wholly represent the way he took. Hyun Jin-gun was the novelist who desired another A Sportsman`s Sketches that reflected the reality of Korea. In other words, he intentionally clung to A Sportsman`s Sketches. What he truly wanted was to reproduce the system-overthrowing resistance inherent in A Sportsman`s Sketches in the system of colony.

      • KCI등재

        특집논문 : 전기와 번역의 ‘종횡(縱橫)’ -1900년대 소설 인식의 한국적 특수성-

        손성준 ( Sung Jun Son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3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51

        한국의 1900년대는 기존 소설에 대한 신랄한 비판과 위기의식을 근대 인쇄매체를 통해 표출한 최초의 시기이다. 이전에도 존재해 온 소설은 이 시기에 이르러 새 것으로 거듭나야 하는 당위성을 요구받았는데, 이는 중국 및 일본 소설론의 영향 속에서 본격화 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여기에는 중국이나 일본과는 차별화되는 특수성이 나타난다. 1900년대 한국에서 소설의 위기 및 극복 담론은 박은식, 신채호 등의 주도로 이루어졌다. 그들의 이론과 실천은 한국 소설사에 뚜렷한 족적을 남겼는데, 본고에서는 그 원동력을 ‘전기’와 ‘번역’으로 보았다. 전자는 구소설의 전들을 부정한 후 새로운 소설로서의 ‘전’을 제시했다는 의미에서 시간의 ‘종축(縱軸)’이고, 후자는 새로운 소설이 될 내포를 외부에서 끌어들였다는 의미에서 공간의 ‘횡축(橫軸)’이다. 량치차오의 소설론과, 그 영향을 크게 받은 것으로 알려진 박은식 및 신채호의 소설 관련 작업 사이에는 근본적 차이가 있었다. 그것은 바로 ‘전기’와 ‘소설’ 사이의 경계 설정에서 나타난다. 번역이든 창작이든 줄곧 ‘소설’과는 구분된 독자적 공간을 확보하고 있던 량치차오의 전기에, 소설이라는 정체성이 부여된 것은 한국에 소개되면서부터였다. 박은식은 작금의 국문소설을 비판하면서 의도적으로 전(傳)류 ‘구소설’을 집중적인 공격 대상으로 삼았다. 그리고 ‘신소설’로 제시한 것이 바로 서양 영웅의 ‘전’이었다. 그는 ‘전’을 선호하는 대중의 취향을 포섭하되, 번역을 통한 새로운 내용으로 대중의 취향 자체를 개척하고자 했다. ‘전’이라는 기표를 통해 소설 독자를 포섭하고자 한 노력은 『대한매일신보』나, 여러 근대잡지의 <소설>란, 단행본 소설의 발간 등을 통해서도 확인된다. 이 같은 전략은 장지연, 신채호에 의해서도 관철되었으며, 특히 신채호는 두 가지 측면에서 진전된 모습을 보였다. 하나는 새 국문소설의 전범을 만드는 데 장애가 되는 이인직 류의 신소설 작가를 정면으로 비판하는 것이었고, 다른 하나는 역술뿐 아니라 저술을 통해서도 스스로의 실천을 확장시켜 나간 것이다. 필자는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론을 토대로, 한문소양을 갖춘 이들은 ‘전(傳)’을 선호한 반면 국문 독자들은 ‘소설’을 선호했다는 도식, 1900년대의 계몽지식인들이 소설의 효용론에만 천착하여 끝내 독자들과 괴리될 수밖에 없었다는 시각, 소설 언어의 경합에서 국한문체가 도태되었다는 주장 등에 기존 연구의 인식에 이의를 제기하였다. In 1900s, Korea experienced the expression of caustic comments and consciousness of crisis through modern print media regarding novels for the first time. Novels which had existed before had to show a certain level of appropriateness to become something new at that time. Such a trend was activated under the influence of the novel discussions from China and Japan. However, there was a special feature which was different from that of China or Japan. In 1900s, the discussions regarding the crisis and the process of overcoming it in Korea were led by such eminent intellectuals as Park, Eun-Sik(朴殷植) and Shin, Chae-Ho(申采浩). Their theories and practices left a clear mark in the history of Korean novels. This paper considers that the driving force for such a mark consisted of ‘biographies’ and ‘translations’. ‘Biographies’ represent the ‘vertical axis’ of time since they suggested a new kind of novel by denying the traditional features of novels. Meanwhile, ‘translations’ represent the ‘horizontal axis’ of space since they brought in new properties of novels from outside. There are fundamental differences between the novel discussions suggested by Liang Qi Chao(梁啓超) and the novel-related works carried out by Park, Eun-Sik and Shin, Chae-Ho. Such differences are shown on the boundary between ‘biographies’ and ‘translations’. Liang Qi Chao`s Biographies, which had possessed their own space which was different from that of ‘novels’, regardless of translations or original copies, were combined with the identity of novels when they were introduced in Korea. Park, Eun-Sik criticized new Korean novels while intentionally focusing on the ‘traditional novels’ reflecting the features of ‘biographies’ as the exclusive targets. He suggested the ‘biographies’ of Western heroes as ‘new novels’. While attracting the attention of the public that preferred ‘biographies’, he tried to exploit the entire preference of the public through new contents based on translations. It is possible to see his effort to attract readers of novels through ‘biographies’ in such media as the ‘novel’ column of Korea Daily Newspaper(大韓每日申報), various modern magazines and the publication of books. Such a strategy was also applied by Jang, Ji-Yeon(張志淵) and Shin, Chae-Ho. In particular, Shin, Chae-Ho showed a progress in two aspects. One of them was the direct criticism towards the writers of new novels, including Lee, In-Jik(李人稙), who were considered to be obstacles against new Korean novels. The other one was the expansion of the boundary for practices not only through translations but also through writings. Based on the conclusion drawn by this paper, I believe that those who had the knowledge of Chinese characters preferred ‘biographies’, while those who wanted to read Korean preferred ‘novels’. Also, I suggest an objection regarding the recognition of the previous studies focusing on the opinion that the enlightened intellectuals in 1900s tried to follow the effective theory of novels, failing to establish a connection with readers, and the elimination of the mixed style between Korean and Chinese characters in the competition for the words used in novels.

      • KCI등재

        대리전(代理戰)으로서의 세계문학 : 검열된 『김영일의 사(死)』와 번역된 『산송장』

        손성준 ( Son Sung-jun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7 민족문학사연구 Vol.65 No.-

        본 연구는 『김영일의 사(死)』의 출판에서 『산송장』의 번역까지 조명희가 일 년여 사이 진행한 희곡 관련 작업들을 '반(反)검열'의 견지에서 고찰한 것이다. 『김영일의 사』는 동우회(同友會) 순회연극단의 주요 레파토리로 기획되어 1921년 여름 전국적 반향을 얻는 데 성공했지만 사전허가, 현장검열, 그리고 각본집의 출판검열 속에서 지속적인 부침을 겪은 작품이기도 했다. 특히 각본집은 원고검열을 재차 시도한 끝에 1923년 2월에야 간행될 수 있었는데, 그 과정에서 각본은 대폭 수정될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조명희는 새로운 창작희곡 「파사(婆娑)」의 발표와 톨스토이 원작 『산송장』의 역간(譯刊)을 통해 못다 한 식민지체제와 제도권 권력에 대한 비판을 표출해나간다. '훼손'된 『김영일의 사』를 『산송장』을 통해 보완할 수 있었던 것은 창작 단계에서부터 조명희가 톨스토이와 『산송장』의 영향을 받은 데서 기인한다. 조명희가 완역본이 아닌 고바야시 아이유(小林愛雄)의 축역본(縮譯本)을 『산송장』의 번역 저본으로 택한 것은 그의 목적이 『산송장』의 소개 자체에 있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결국 『김영일의 사』에서 삭제된 문제제기이자 '악'을 향한 부르짖음은 『산송장』의 주인공 폐쟈를 통해 대리전의 형태로 치러질 수 있었다. 식민지 문학장의 특수성을 감안할 때, 작가들이 주도한 세계문학 번역의 의의는 그들의 창작과 연동된 반검열의 맥락에서 재탐색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from the viewpoint of 'anti-censorship' Cho Myeong-hee's work on plays, ranging from the publication of Kim Yeong-il's Death to the translation of The Living Corpse, carried out by him for more than one year. Kim Yeong-il's Death was planned as a staple of repertoire for thxe Dong-u-hoe(同友會) Travelling Theater. It was a work that succeeded in creating a nationwide sensation in the summer of 1921, but also experienced continuous vicissitudes due to prior permission, field censorship and the publication censorship of scenario collections. Particularly, the publication of a scenario collection was permitted as late as February 1923 after repeated attempts to pass manuscript censorship. The scenarios could not help being drastically changed in the course. Cho Myeong-hee, however, continued to express his criticism against the colonial system and the mainstream power by publishing his new original play, Pasa(婆娑), and translating The Living Corpse written by Tolstoy. The supplementation of the 'damaged' Kim Yeong-il's Death with The Living Corpse was made possible by Cho Myeong-hee's being influenced by Tolstoy and The Living Corpse from the stage of his creation. By selecting Kobayashi Aiyu(小林愛雄)'s abridged translation version, not a complete translation version, as the original script of The Living Corpse for his translation, Cho Myeong-hee revealed that he did not aim at the introduction of The Living Corpse itself. In the last analysis, problem-posing and a cry against 'evil', which were removed from Kim Yeong-il's Death during censorship, could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roxy war through Fedor, the protagonist of The Living Corpse. Given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the literary field in the colony, it is necessary to explore again the significance of world literature translation, which was led by the writers, in the context of anti-censorship interlocked with their creative writing.

      • KCI등재

        번역문학의 재생(再生)과 반(反)검열의 앤솔로지 - 『태서명작단편집(泰西名作短篇集)』(1924) 연구

        손성준 ( Son Sung-jun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8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66

        『태서명작단편집』(1924)은 서양[泰西]의 여러 단편소설을 번역하여 엮은 책으로서, 한국 최초의 서양 단편 앤솔로지로 알려져 있다. 『태서명작단편집』의 근간은 홍명희, 진학문, 염상섭, 변영로 등 4인의 번역자가 과거 『동명』, 『개벽』, 『학지광』, 『신생활』에 역재(譯載)했던 단편소설 15편이었다. 번역자들은 주로 일역본을 경유한 중역(重譯)의 방식으로 서양 단편을 소개했지만, 변영로의 번역작 3편은 모두 영역본의 중역이었다. 기획 및 편집을 맡은 변영로는 우선 번역진을 구성한 후, 각자의 과거번역을 추적하여 모으는 단계를 밟았다. 그 결과 15편 중 9편이 러시아 소설로 편중되는 구성의 불균형이 나타났다. 이는 『태서명작단편집』이 철저히 발신자 중심의 기획이라는 것을 방증한다. 변영로와 동료들은 이미 각자의 기준에서 조선의 독서계에 필요하다고 판단한 서양 소설들을 선보였고, 현재는 그것을 한 데 엮여 재차 선보이고자 할 따름이었다. 최초 발표된 원고의 형태와 『태서명작단편집』으로 재편집된 판본을 비교해보면, 일부 표기를 제외하고는 큰 차이를 확인할 수 없다. 기점이 된 4개의 잡지는 합법적 영역에서는 최고 수준의 ‘불온함’을 장착하여 검열체제와의 갈등이 일상화되어 있던 잡지였다. 검열의 강도가 격화되고 있던 시기적 특수성을 감안하면, 『태서명작단편집』은 과거의 문제적 번역들을 ‘태서명작’의 이름으로 ‘재생’시킨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었다. 사전검열의 결과 비록 최남선이 번역한 「마지막 課程」(알퐁스 도데 원작)은 삭제되었지만 활자화된 15편의 소설 역시 상당수가 식민지 조선의 억압된 상황에 대한 은유, 애국심과 독립정신의 고취, 계급투쟁의 당위성 등 검열의 기준에 저촉될 만한 여러 가지 요인을 내재하고 있었다. 나아가, 『태서명작단편집』의 수록작 가운데 10여 편은 공통적으로 ‘타자와의 관계 속에서 오는 깨달음’의 문제를 다루었다. 이러한 일관된 메시지는 이 앤솔로지가 1923년 9월 1일에 발생한 관동대지진로부터 얼마 지나지 않아 기획되었다는 점에서 더욱 문제적이다. ‘타자’였던 탓에 죽임당해야 했던 조선의 비참한 역사 직후에, 공교롭게도 『태서명작단편집』은 ‘타자가 틀린 것이 아니다’라는 목소리를 집결시킨 형태로 등장했던 셈이다. 『태서명작단편집』은 결국 식민지 조선에 대한 발화였다. The Taeseo Myeongjak Danpyeonjip (Anthology of Occidental Short Story Masterpieces)(1924) is a compilation of translated Western short stories, and is known as the first anthology of Western short stories in Korea. The Taeseo Myeongjak Danpyeonjip is based on 15 short stories previously translated and published in Dongmyeong, Gaebyeok, Hakjigwang, and Sinsaenghwal by four translators of Hong Myeong Hui, Jin Hak Mun, Yeom Sang Seop, and Byeon Yeong Ro. While the translators mostly introduced Western short stories by second-hand translation via Japanese, Byeon Yeong Ro’s three translations were all translated from English versions. Byeon Yeong Ro, the planner and editor of the compilation, selected the translators, and then tracked and collected their past translations. As a result, the compilation showed such an imbalance of composition that Russian short stories were predominant with 9 of the 15 short stories. This corroborates that the Taeseo Myeongjak Danpyeonjip was planned on an entirely sender-centered basis. Byeon Yeong Ro and his colleagues had already introduced Western stories judged by them as necessary for the reading public of Joseon according to their own criteria, and then only intended to publish them again in the form of a compilation. The comparison between the texts of the manuscripts initially published and their re-edited versions in the Taeseo Myeongjak Danpyeonjip shows no great difference except for some expressions. The four magazines that originally had published the works were routinely in conflict with the censorship system due to their top-level ‘rebelliousness’ within the legal limits. Given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the period when the intensity of censorship was increased, the Taeseo Myeongjak Danpyeonjip had the significance that it ‘regenerated’ problematic translations of the past under the title of ‘Occidental masterpieces.’ Although only The Last Lesson (originally written by Alphonse Daudet) translated by Choi Nam Seon was removed as a result of the censorship, most of the 15 stories put into print also included factors that might be in conflict with the criteria of censorship, such as a metaphor for the situation of oppressed colony Joseon, the infusion of patriotism and the spirit of independence, and the justification for class struggle. Further, 10 works in the the Taeseo Myeongjak Danpyeonjip commonly dealt with the issue of ‘realization from relationship with the other.’ Such a consistent message was more problematic in that the anthology was planned shortly after the Great Kanto earthquake in September 1, 1923. For the appearance of the Taeseo Myeongjak Danpyeonjip as much as gave voice to ‘The other is not wrong’ just after the miserable history of Joseon where Joseon people had to be killed because they were the others. The Taeseo Myeongjak Danpyeonjip was utterances about the colonial Joseon after al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